View : 1065 Download: 0

한국 성인의 음주 실태 분석과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축약 검사의 절사값 조사 및 문제음주군 선별을 위한 새로운 축약 검사의 제안

Title
한국 성인의 음주 실태 분석과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축약 검사의 절사값 조사 및 문제음주군 선별을 위한 새로운 축약 검사의 제안
Other Titles
Analysis for Drinking Behavior in Korean Adultsand Proposal of Screening Tool for At-risk Drinking : Result from the Fourth Korea 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uthors
이재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영진
Abstract
To reduce the problems related to alcohol drinking, therapeutic access and intervention combined with discriminating the “problem drinking” has critical importanc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which was developed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s the most widely used screening test for the problem drinking. However, it is hard to perform the AUDIT consisted of 10 questions in emergency room or primary clinic crowded with patients. Therefore, several abbreviated versions of AUDIT have been recommend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I tried to 1) analyze alcohol drinking behaviors of Korean adults, 2) present optimal cut-off values of abbreviated versions of AUDIT in Korean adults, and 3) recommend new abbreviated test to screen the problem drinking effectively, compensated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abbreviated tests, using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distribution of current drinker, former drinker, and lifetime abstainer in adults aged over 19 years was assessed using the data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7 to 2009. In addition, cut-off values of AUDIT-Q3 alone, AUDIT_QF (Quantity, Frequency), AUDIT-C (Consumption), AUDIT-4, and AUDIT-PC (Primary Clinic), which were defined as the problem drinking based on whole AUDIT score, in male, female, and elderly groups were estimated, respectively. Lastly, the distribution of score of AUDIT 10 item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raw the new abbreviated test for screening the problem drinking. After that, the items were extracted using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and comparison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mong various combinations of items. As the results, the proportion of current drinker was high in 20s, education level over university graduates, upper economic level, unmarried, and office workers. The proportion of problem drinking was high in 20s, high school, unmarried, and technicians / mechanics. The cut-off values of abbreviated version of AUDIT-Q3 alone were 2, 2, and 1 in male, female, and elderly groups, respectively. AUDIT-QF showed 5, 3, and 3. AUDIT-C were 6, 5, 3, AUDIT-4 were 7, 5, 5, and AUDIT-PC were 5, 4, and 4, respectively. Additionally, AUROCs of AUDIT-Q3 alone, AUDIT-QF, AUDIT-C, AUDIT-4, and AUDIT-PC were 0.956, 0.973, 0.981, 0.990, and 0.990, respectively. New abbreviated test of AUDIT (Screening Test for At-risk Drinking, STAD) was consisted of 3rd and 8th items for below 65 year-old, 3rd 8th 1st items for over 65 year-old adult. Cut-off values in male, female, and elderly groups were 3, 2, and 3. Sensitivity / specificity were 80.56/97.49, 92.31/91.81 and 95.42/90.97, respectively. To validate new abbreviated test, the test was performed after application of AUDIT for trauma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in 2010. Sensitivity / specificity were 80.99/97.83, 93.33/96.21, 100/88.8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ROC compared to other abbreviated tests except male younger than 65 years old. In this study, drinking behaviors of Korean adults were analyzed, role of the test was emphasized as screening test by estimation of the optimal cut-off values from abbreviated versions of AUDIT in Korean adults, and new effectively alternative abbreviated test was recommended to compensate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abbreviated tests. As these analysis and recommendation, I’m looking forward to make easy to screen the problem drinking from population.;음주로 인한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현재 음주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 음주군을 판별하여 치료적 개입, 접근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문제 음주군을 선별하는 검사로써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검사(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이다. 그러나 응급실이나 외래 진료실과 같이 환자가 붐비는 환경에서는 10문항으로 구성된 AUDIT을 시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AUDIT에서 파생된 간단한 축약 검사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및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1) 한국 성인의 음주 실태를 분석 2) 한국 성인에서 AUDIT 축약 검사들의 적절한 절사값 제안 3) 기존 축약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문제 음주군을 선별하기 용이한 새로운 축약 검사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행된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음주 항목의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비음주자, 이전 음주자, 현재 음주자의 분포 및 정상 음주군, 문제 음주군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AUDIT 총점을 기준으로 문제 음주군을 정의하여 AUDIT-Q3 alone, AUDIT_QF (Quantity, Frequency), AUDIT-C(Consumption), AUDIT-4, AUDIT-PC(Primary Clinic)에 대한 절사값을 남성, 여성, 노인 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축약 검사를 도출해 보고자 AUDIT 10문항의 점수 분포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고, 기존 연구된 AUDIT 10문항에 대한 요인 구조 및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문항을 일차로 선택 후, 본 연구의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문항의 조합에 대한 반응자 작용 특성 곡선 하 면적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과 민감도, 특이도 비교를 통하여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음주자의 분포는 20대, 대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 수준인 경우, 소득 수준이 높은 경우, 미혼, 사무직에서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문제 음주자는 20대, 고등학교 졸업, 미혼, 기능원과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문제 음주자일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축약 검사들의 절사값은 남성, 여성, 노인에서 AUDIT-Q3 alone은 각각 2, 2, 1, AUDIT-QF는 5, 3, 3, AUDIT-C는 6, 5, 3, AUDIT-4는 7, 5, 5, AUDIT-PC는 5, 4, 4이었으며 각 축약 검사들의 AUROC는 각각 AUDIT-Q3 alone 0.956, AUDIT-QF 0.973, AUDIT-C 0.981, AUDIT-4 0.99, AUDIT-PC 0.99이었다. AUDIT 10문항의 분석 결과 65세 미만의 남성과 65세 미만의 여성, 65세 이상 노인 군 간에 점수 분포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경우 음주 빈도를 묻는 첫 번째 문항에서 다른 군에 비해 높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와 확인적 요인 분석 및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새로운 축약 검사 (Screening Test for At-risk Drinking, STAD)의 문항을 세 번째와 여덟 번째 질문으로 선택하였고, 65세 이상의 경우 첫 번째 문항을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STAD의 절사값은 65세 미만 남성, 65세 미만 여성, 65세 이상 노인에서 각각 3, 2, 3점이었고, 이 때의 민감도/특이도는 각각 80.56/97.49, 92.31/91.81, 95.42/90.97 이었다. 새로운 축약 검사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0년 일개 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AUDIT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남성, 여성, 노인에서 민감도/특이도는 80.99/97.83, 93.33/96.21, 100/88.89이었고, 다른 축약 검사들과의 AUROC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우리나라 음주 실태를 파악하고, AUDIT 축약 검사들의 우리나라 절사값을 정립함으로써 올바른 선별 검사로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축약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검사를 제안함으로써 문제 음주군의 선별이 더욱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