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현수-
dc.creator서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50-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표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내면적 욕구를 표현한다. 인간에게 예술이라는 의미가 이해되기 시작한 중세 이후로부터 우리는 인간이 자신의 혼을 담아 자신의 입장에서 내면의 욕구를 표현한 것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예술로서 인정하게 되었다. 예술은 인간이 자신의 내면을 나타내는 거울이며, 자신의 영혼을 담을 수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이다. 예술은 표현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표현 도구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 개인의 표현은 표현자의 독특한 개성이나 경험에 따라 표현 방식 역시 다르게 나타난다. 다양한 표현 방식 중에서도 특히 시(詩)는 인간의 감정을 가장 진솔하게 표현한 예술로서 인정받아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자언어로 표현된 시(詩)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복식 디자인 을 통해 조형화 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조형(造形)이란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하여 어느 관념에서 형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하며 어떤 물질을 빌려 이것에 필요한 형태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또한 인간이 표현 의지를 가지고 그 의지를 물(物)로써 객관화하는 과정이며, 인간이 창조한 모든 기법을 가지고 모양을 꾸미는 것이며, 물질적 재료를 사용하여 사물을 유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인간의 손이나 기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조형화 하는 과정은 예술에 있어서 문학적 요소인 시를 조형적 요소인 복식으로 표현해 보려는 시도인 동시에 문자 언어인 시와 시각 언어인 복식 디자인의 특성을 찾아 조화시키고 표현하기 위한 시도이며, 표현 과정에서 시가 지니는 언어적 한계의 전달 기능에서 벗어나 시각적 이미지화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조형화 한 결과물로서 복식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은 조형예술을 통해 비슷한 이미지로 느낄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문자언어로서 표현된 인간의 심상은 시각적으로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다. 또한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번역하여 복식에 표현함으로써 시와 더불어 복식 또한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예술적 존재라는 사실을 재확인 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의 객관적 시각 조형화 작업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시각 조형화 대상으로 삼은 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문자를 표현 방법으로 하는 시는 인간의 감성을 잘 표현 할 수 있는 예술인 동시에 함축된 의미 해석이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시각적 형태를 표현 방법으로 하는 예술로의 변환을 시도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근거를 재정립 한다. 둘째, 조형화 대상으로서의 시의 선정에 있어서 비를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를 선정한 이유와 근거에 대해서 알아본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문조사 결과의 적용단계에서 더욱 객관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각 시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에 대해 알아보고, 조형예술과의 차이점인 문자언어에 대한 이해와 문자언어의 한계를 찾아내어 조형화 과정에서 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문자언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시를 조형화 하는 작업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시의 요소 중 심상을 조형화 대상으로 삼았으므로 심상에 대해 알아보고, 심상을 시각 조형화 하는 과정에 있어서 조형에 대한 입장의 정립을 위하여 조형의 개념과 조형 사고의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다섯째,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객관적으로 도출해 내어 시각 조형화 시키기 위하여 감성공학적 접근 방법을 바탕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여섯째,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조형화 작업의 한 과정으로서 비를 소재 로 한 한국 현대시 네 편에 대한 설문 조사와 그 결과의 복식디자인에의 적용을 위하여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과 복식디자인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형용사 어휘를 추출한다. 일곱째, 설문조사 방법은 앞에서 선정한 비를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 네 편을 피험자에게 읽도록 한 후 앞에서 추출된 20개의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조사하는 SD인이 측정법을 이용한다. 설문지에는 앞에서 선정한 형용사 20개 이외에 색채 이미지 조사를 위한 명도, 채도, 색상과 관련된 '밝은-어두운', '맑은-탁한', 그리고 색상의 톤을 나타내는 단어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여덟째,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은 7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형용사 어휘에 대해 각 단계마다 1점부터 7점까지의 점수를 낸다. 결과를 종합하여 각 형용사 어휘 항목에 대한 평균점을 내어 복식디자인의 요소에 적용시킨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를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 네 편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설문이 이루어진 네 편의 시에 대해 느껴지는 심상에 관한 이미지를 형용사 이미지 로 얻어낼 수 있었으며, 시에서 느껴지는 색채 이미지는 명도, 채도, 색상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시각적인 색채 이미지로의 재현이 가능했다. 둘째,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조형화 한 결과물의 창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복식 디자인에 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복식을 통해 시에서 느꼈던 심상을 비슷한 이미지로 느낄 수 있었으므로 문자언어로서 표현된 인간의 심상은 시각적으로 재현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번역하여 복식에 표현함으로써 시와 더불어 복식 또한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예술적 존재라는 사실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행해진 시의 조형화 작업으로서의 복식디자인은 복식을 시에서 느껴지는 심상을 시각적으로 조형화한 객관적 결과물로서 제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자언어로 표현된 예술적 감성은 조형예술로써도 표현이 가능한 것이며, 복식 디자인은 문자언어의 한계로 인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감성까지도 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하나의 시도로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오늘날에 행해지고 있는 예술로서의 복식 디자인이 진정한 예술로서 자리 매김 하는데 본 연구가 작은 보탬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며, 앞으로도 이를 위한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어 고부가 가치성이 있는 복식 디자인이 소모성 상품으로서 만이 아닌 작품의 가치로서의 고부가가치성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Art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inside of man and a means of expression to expose his soul. It takes various forms by expressional methods and can be understood in many ways by expressional tools. Particularly, poetry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most frank genre of art toward human feelings. Therefore, the author of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shapes of images from poetry in a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images expressed in literary language can be visually represented and similar images can be gotten through a formative working by presenting a fashion design as a result of visual formation of poetic images. Also this study is to reaffirm the fact that fashion, like poetry, is an artistic genre that can deliver various emotions of man by actually executing a formative process.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as follows First, carry out a questionnaire research based on aesthetic and technological approaches to extract poetic images objectively and represent them visually. Second, sample adjective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poems about rain and fashion design as one procedure of formation based on aesthetic and technological approaches. Third, in research, use SD language measurement method to examine poetic images of the twenty adjectives sampled above. Fourth, in analyzing the results of research, give marks from one to seven on seven steps of adjectival vocabulary, synthetize the results and calculate the mean. Fifth, apply adjective images resulted to fashion design elements. And the consequences of research via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questionnaire research on the images from poetry, a conclusion was drawn that human feelings can be expressed with adjectival vocabularies. Second, human images expressed in literary language can be represented visually. Third, it was reaffirmed that fashion, along with poetry, is an artistic genre that can deliver various emotions of man.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as an attempt to provide a possibility of delivering even feelings that can not fully reach man due to the limit of literary language. The author hopes this study can be a little help for fashion design to establish its correct position as a genuine genre of art and further studies could make fashion design acknowledged as having not only high consumable value but also high value added as a work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II. 시의 일반적 고찰 = 4 A. 시의 개념 = 4 B. 문자언어로서의 시 = 8 C. 시의 조형화 요소 = 13 III. 심상의 시각조형화 = 26 A. 조형의 개념 = 26 B. 조형사고의 방법 = 27 C. 심상의 시각조형화 방법 = 30 IV. 시의 조형화 = 39 A. 시의 선정 및 해석 = 39 B. 설문조사 = 55 C. 결과 및 분석 = 61 V. 작품제작 및 해설 = 72 A. 제작의도 및 방법 = 72 B. 작품 및 해설 = 75 VI. 결론 = 113 참고문헌 = 115 부록 = 119 영문초록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312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의 조형화 작업으로서의 복식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를 소재로 한 한국현대시를 중심으로-
dc.format.pagex,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