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디멘션(Dimension)압축을 통한 추상적 그래픽 표현 연구

Title
디멘션(Dimension)압축을 통한 추상적 그래픽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bstract Graphic Expression through Dimension Compression : Focusing on Expression of Emotion Perception Form with Application of Light and Shadow
Authors
박유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병권
Abstract
모든 사물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형태를 어떻게 표현하고 인지하는가는 디자인을 하거나 조형 활동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시각 대상들을 접하고 그 형태들은 각기 개별적인 감각을 가진 사람들의 감성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인지된다. 그러나 우리는 보여 지는 사물이나 현상을 그대로 잘 그려낸 재현(再現)적 형태 보다는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은 형태가 더 많은 개별적 감성의 개입을 허용한다. 즉 그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모호함 때문에 보는 이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무엇을 표현 하였는지 상상하게 만든다. 이런 형태는 이렇게 혹은 저렇게도 보이면서 형태 그 자체가 유희적 기능을 획득하고 수행함으로써 감성의 자율성을 느끼게 하는 형태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런 시각 인지 방법에 착안하여 감성지각이 확대되는 형태를 표현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대상의 형태를 인지할 때는 시각 정보를 단순하게 정리하여 수용하려는 우리의 본능적인 심리 때문에 형태가 단순하면 단순 할수록 더욱 정확히 형태를 지각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화된 형태는 우리에게 형태심리학에서 말하는 좋은 형태의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형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각 정보 지각과 형태 인지의 관계에 그 의미기반을 두고 디멘션 압축을 통한 단순화 표현 방법으로 추상적 형태 표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감성 지각이 확대를 시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형상이 모호한 형태의 표현을 의도하여 현실 ‘재현’을 위한 일루젼illusion의 공간 지각과 형태 인지와는 다르게 형태가 만들어 내고 설정해 내는 형태 ‘제시’에서 오는 공간 지각과 형태 인지의 특징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인지 시스템 안에서 유목화의 정보 수용 방법을 기준으로 따라 사실 정보와 감성 정보를 분류하였다. 그림이란 것이 논리적인 수학 공식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그림 안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감성 정보와 사실 정보를 정확히 구분하기는 힘들지만 두 가지 정보 내용의 포함 정도에 따라서 구분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주로 사실 정보 지각을 통해서는 구체적이고 재현적인 형태가 인지되고, 사실정보를 줄이고 감성 정보를 확대해서 지각하면 주로 추상적인 형태가 인지됨을 문헌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추상적 형태는 대상 그 자체를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표현하려는 사람의 내재된 충동에 의해 조형 요소로 환원하여 표현한 것이고 그 형태를 보는 사람들에게는 각자의 정신적인 경험에 대한 환기를 통해 형태를 인지하게 된다. 본 연구자 작품에서의 추상적 형태는 사실성과 추상성을 둘 다 함유하면서 이 둘 사이에 위치한 형태를 말한다. 이 형태에서 최소한의 사실 정보만을 남겨두고 불필요한 것들을 삭제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단순화 된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본인의 경험이나 학습에 따라서 형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 즉 관람자의 내적 기억 이미지와 외부 대상의 보여 지는 형태를 대응시키는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결국 이는 개별적 감성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그 결과 감성 지각을 확대시키는 형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추상적 형태가 드러나 보여 지도록 유도, 강화 하는 본인 작업의 표현 방법은 사실 정보를 줄이고 감성 정보 지각을 확대하여 조형성 인지의 자율성 확대를 의미 한다. 추상적 단순화의 구체적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 “디멘션 압축의 형태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디멘션 압축이란 빛을 통해서 형성되어지는 대상이 갖는 3D의 볼륨감과 그림자의 2D의 차원에 대한 시각적 상호 관계를 2D의 시점(viewpoint)으로 재해석하고 형태들 간에 외관상 서로 단절되어 보이는 문제들을 줄이면서 하나로 압축시킨 새로운 형태를 제시 하는 것이다. 즉 3차원의 대상이 빛의 속성과 대상의 속성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투영된 2차원의 그림자를 만들어 내고 이 두 차원을 하나의 차원으로 압축시켜 평면적인 실루엣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그 결과물은 다양한 시점과 압축 방법에 따라 관람자에게는 그것이 입체로 보이기도 하고 때론 평면으로 보이기도 하므로 볼륨과 평면이 하나의 형태로 관람자에게 인식하게 하여 인식의 변형을 유도한다. 이렇게 압축된 오브제의 실루엣에서 인위적 생략과 강조를 통하여 대상이 갖는 최소한의 본질적인 형태 정보와 특징만을 유지하도록 남겨둠으로 해서 조형성 인지의 확대를 유도하였다. 본 작업 프로세스의 핵심은 바로 빛과 그림자의 속성에 따라 변화하는 3차원의 대상과 2차원의 그림자를 압축시켜 하나의 조형 요소인 형태를 생성(生成)하여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추상적이고 단순한 형태가 주는 암시성과 개별적 시각 경험을 통한 호기심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감성 지각이 확대 되고 조형성 인지가 강화된 추상적 형태 표현을 위해 그림자를 모티브로 디멘션 압축을 통하여 단순화 된 작품을 제작하였다. 아쉽게도 본 연구와 작업에서는 형태 인지를 설명함에 있어 문헌조사에만 의존하고 있고, 표현의 대상을 빛과 그림자에 국한하고 있어 후행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 및 형태 표현 프로세스가 기초 조형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창조적 사고 와 유연한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시각적 표현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조금이라도 일조하길 바란다.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와 평면과 입체의 디멘션(차원)적 사고를 통한 형태 표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창조적 사고 와 유연한 사고를 가능하게 하여 시각적 표현 능력에 도움을 줄 것이다.;All things have a form. How a form is expressed and recognized becomes an important interest in designing or doing formative activity. We face numbers of visual objects every day. Its forms come to be perceived and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emotion of people, who have each individual sense. However, we allow intervention of more individual emotions in a form, which isn't clear in what was expressed, rather than the representational form, which well depicted literally the object or phenomenon of being shown. In other words, owing to ambiguity that is difficult to grasp the object correctly, this comes to allow a seer to imagine what was expressed by causing curiosity about object. As for this form, the form itself acquires and performs the playful function while being shown either in this way or in that way, thereby coming to make it possible for recognizing a form, which makes autonomy of emotion felt. This researcher aims to express the form that is expanded the emotion perception, by having views on this visual perception method. Owing to our instinctive psychology of aiming to accept by simply arranging visual information generally when we recognize a form of object, the simpler form leads to the more accurate perception in a form. Accordingly, the simplified form is also a form of satisfying a condition in a good form that the Gestalt psychology says to u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suggested the abstract form expression through dimension compression and attempted expansion in emotion perception through this, by putting its significant found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information perception and the form cognition. Through this study,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space perception and the form cognition, which come from the 'suggestion' for a form of making and establishing a form differently from the space perception and the form cognition in illusion for 'revival' of reality with the intention of expressing a form whose shape is ambiguous. For this, first of all, the fact information and the emotion inform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a method of accepting information in classification within visual cognition system. A picture is not logically mathematical formula. Thus, it is difficult to correctly divide the emotion information and the fact information, which are functioning complexly in one drawing. However, the division was made according to level of including the contents on two kinds of information. It could be known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generally that the specific and representational form is recognized mainly through perceiving fact information and that the abstract form is recognized mainly when perceiving by reducing fact information and expanding emotion information. The abstract form is not what expressed object itself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but what expressed by changing it into formative element by the immanent impulse in a person who tries to express it. People who see the form come to recognize the form through awakening on each person's spiritual experience. The abstract form in this researcher's work implies the form that is located between these two while containing both factuality and abstraction. The simplified form is expres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leaving only fact information at least and deleting unnecessary things in this form. Thus, seers are given time to spare available for analyzing diversely on a form according to own experience or learning. In other words, it leads to causing associative function of making it corresponded the viewer's internal memory image and the seen form in the external object. Ultimately, this can be said to be expression of a form, which positively induces intervention of individual emotion, and which consequently expands emotion perception. Accordingly,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person in question, which induces and reinforces so that the abstract form can be revealed to be seen, implies expansion in autonomy in cognition of formativeness by reducing fact information and expanding emotion information perception. As a specific method of abstract simplification, this study is suggesting "a method of expressing a form in dimension compression." In this study, the dimension compression is what suggests a new form that compressed it into one while re-analyzing the visual interrelation with 2D viewpoint as for 3D volume and 2D dimension in shadow of being possessed by a shadow, which is formed through light, and reducing problems, which seem to be mutually discontinued externally among forms.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making it into two-dimensional silhouette by which 3D object makes 2D shadow, which was projected in severally diverse forms, and compresses these two dimensions into one dimension, according to the light property and the object property. The result is either seen dimensionally or seen two-dimensionally sometimes by viewer according to diverse time points and compression methods. Thus, it induces a transformation in recognition by allowing volume and plane to be recognized as one form by audience. The expansion in cognition of formativeness was led by leaving only the minimally essential form information and feature that the object has through artificial omission and emphasis in silhouette of object, which was compressed in this way. The core of this work process is just what leads to giving viewers the implication that the abstract and simple form gives, and the curiosity through individual visual experience, by compressing 3D object and 2D shadow, which are varied according to property of light and shadow, and by creating a form, which is one formative element. In this way, this researcher made the simplified work through dimension compression by having shadow as a motive for expressing the abstract form, which is expanded the emotion perception and is reinforced the cognition of formativeness. Regrettably, this study is relying only upon a documentary survey in describing the form cognition and is limiting the object of expression to light and shadow. Thus, a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research subjec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process of form expression are desired to play a role even if being just a little in the perspective of expanding visual expression of making creative thinking and flexible thinking possible in the basic formative design education field. It suggested a method of expressing a form through data available for supporting a research and through dimensional idea in plane and dimension, thereby being likely able to be helpful for ability of visual expression by allowing creative thinking and flexible thinking to be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