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해금정악의 반복선율에 관한 연구

Title
해금정악의 반복선율에 관한 연구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고에서는 자연의 섭리와 인체 생명학적인 구조적 반복현상과 흡사한 양태를 가진 한국음악의 반복요소가 해금정악 선율에서는 과연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연주가나 감상자들에게 분석적 통계에 의하여 교육적 효과를 동반할 수도 있으리라고 보아 그 필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아직 논의된 바가 없어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해금 정악 중 가진회상과 평조회상, 그리고 관악영산회상의 각 곡 안에서 반복선율이 몇 가지 유형으로 존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의 빈도수에 따르는 반복의 비중을 구성비로 환산하며 차례대로 알아보았다. 나아가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 특징을 본영산장단을 가지고 있는 악곡과 도드리장단을 가지고 있는 악곡, 그리고 타령장단을 가지고 있는 악곡으로 나누어 살펴본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진회상의 반복선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영산회상 각 악곡의 동일선율 유형과 유사선율 유형을 모두 합한 반복선율의 비중은 타령, 군악, 가락더리, 중영산, 염불도드리, 상영산, 삼현도드리, 세영산, 하현도드리의 순서로 나타났다. 영산회상의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는 64.0%의 비율로 나타났다. 단, 영산회상 중 하현도드리에서는 반복선율의 비중이 7.7%의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어 하현도드리는 독립적 선율 또는 독창적 선율의 연속흐름을 가진 악곡으로 연주자 또는 감상자 모두에게 다른 악곡과는 다른 독특한 음악적 경험과 느낌을 줄 수 있는 악곡임을 알 수 있었다. 도드리 각 악곡의 동일선율 유형과 유사선율 유형을 모두 합한 반복선율 구성비는 밑도드리와 웃도드리에서 각각 72.2%와 59.7%의 비율로 나타났고, 도드리 전체의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는 66.0%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로서 도드리 전체 단위의 2/3이상에서 반복선율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년만세 각 악곡의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는 79.0%의 비율로 나타나며 이로써 천년만세의 선율 중 4/5정도에서 반복유형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조가락도드리에서 90.3%의 매우 높은 비율로 반복선율이 나타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며 이는 우조가락도드리의 거의 모든 선율에서 반복요소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조회상의 반복선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조회상 각 악곡의 동일선율 유형과 유사선율 유형을 모두 합한 반복선율의 비중은 타령, 군악, 가락더리, 상영산 · 염불도드리, 삼현도드리, 중영산 · 세영산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복선율의 평균 구성비는 66.9%의 구성비로 나타나며 이로써 평조회상의 선율 중 2/3이상에서 반복유형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관악영산회상의 반복선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악영산회상 각 악곡의 동일선율 유형과 유사선율 유형을 모두 합한 반복선율의 비중은 군악, 타령, 염불도드리, 중영산, 세영산, 삼현도드리, 가락더리 · 상영산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복선율의 평균 구성비는 64.6%의 구성비로 나타나며 이로써 관악영산회상의 선율 중 2/3이상에서 반복유형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영산장단의 악곡들은 각 곡의 거의 매 장단의 끝에서 각각 동일한 반복선율이 나타남으로서 마치 하나의 악곡으로 연결된 것처럼 흘러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드리장단의 악곡들은 동일하게 반복되는 선율이 일정한 위치에서 나타남으로서 통일성을 주면서도 반복되는 선율이 속도 혹은 중심음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령장단을 가지고 있는 타령과 군악에서 반복선율 구성비가 타령 80.6%와 군악 77.1%로 특별히 높게 나타난 것은 타령음악의 쓰임새로부터 기인된 것이라 추정된다. 다섯째,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 구성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악영산회상을 제외한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본영산장단, 도드리장단, 타령장단의 악곡 내 반복선율 구성비는 타령장단, 본영산장단, 도드리장단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평균반복선율의 구성비의 수치가 동일하지 않게 나타난 것은 4도 아래로 이조된 평조회상이 단순 이조된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독자성을 가진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관악영산회상의 구성비의 순서는 타령장단, 도드리장단, 본영산장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산회상 세 종류 중 관악영산회상이 가장 후대에 만들어진 곡으로 관악기만의 합주로 이루어진 악곡이라는 점과, 동일한 장단수를 가진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에 비해 관악영산회상의 장단수가 약간씩 줄어들었다는 사실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를 장단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본영산장단 평균 57.2%, 도드리장단 평균 53.0%, 타령장단 평균 78.4%의 비율로 나타나며, 영산회상 세 종류 전체 장단에 대한 반복선율 평균 구성비와 각 악곡의 장단에 따른 평균 구성비는 거의 오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영산회상 세 종류의 반복선율들이 일정한 규칙으로 통일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해금정악곡 중 연주 빈도가 높은 가진회상과 평조회상, 그리고 관악영산회상을 대상으로 반복선율의 유형과 비중, 그리고 특징을 연구하였다. 연주를 통해 막연히 해금 정악곡 내 반복선율이 많을 것이라는 정성적인 추론을, 정량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실제 값으로 환산함으로써, 해금정악곡 내에 절반 이상 반복선율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반복선율은 일정한 유형과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각 악곡에서 약간의 변화를 통해 단순함을 피하면서도, 해금정악곡 선율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점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repetitive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has similar patterns to the way of nature and the human biological structural repetitive phenomena are reflected in the tunes of Haegeum Classical Music; the author accordingly studied the repetitive tunes of such Haegeum Classical Music through analyzing its melodies. The necessity of studying on this area has been emphasized on the ground that this study would be expectedly accompanied by educational effect for the music players or appreciators via analytic statistics and it has yet to be discussed; that's why the author conducted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plored how many patterns of repetitive tunes have existed in each piece of music of various Haegeum Classical Music types including Gajinhoesang, Pyeongjohoesang, and Gwanakyeongsanhoesang; and figured out the ratio of repeti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indicated on the respective Haegeum Classical Music type. Furthermore, the autho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repetitive tunes of Yeongsanhoesang by dividing them into the tunes with Bonyeongsan Rhythm, Dodeuri Rhythm, and Taryeong Rhyth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ajinhoesang showed the following repetitive tune patterns: The repetitive tunes all putting together the same tune types and other similar tune types of each piece of music of Yeongsanhoesang were mostly heard in Taryeong, which was followed by Gunak, Garakdeori, Jungyeongsan, Yeombuldodeuri, Sangyeongsan, Samhyeondodeuri, Seyeongsan, and Hahyeondodeuri. The average ratio of repetitive tunes of Yeongsanhoesang accounted for 64.0%. Note, however, that Hahyeundodeuri among other Yeongsanhoesang tunes showed the very low repetitive tune ratio of 7.7%, suggesting that Hahyeundodeuri - a music that has continuous flow with independent or creative tunes - could give unique musical experiences and feelings different from any other pieces of music to both players and appreciators. The repetitive melodies including all the same tune types and other similar tune types of each piece of music of Dodeuri were sounded in Mitdodeuri and Utdodeuri in the ratio of 72.2% and 59.7%, respectively. The average ratio of repetitive tunes of Dodeuri accounted for 66.0%, revealing that more than two-thirds of the whole tunes of Dodeuri sounded repetitive melodies. The average ratio of repetitive tunes of each piece of music of Cheonyeonmanse accounted for 79.0%, which suggested that as many as four-fifths tunes of Cheonyeonmanse consisted of repetitive melodies. Particularly note that the tunes of Ujogarakdodeuri were composed of as high as 90.3% of repetitive melodies, meaning that repetitive tunes were inherent in the almost tunes of Ujogarakdodeuri. Second, Pyeongjohoesang showed the following repetitive tune patterns: The repetitive tunes all putting together the same tune types and other similar tune types of each piece of music of Pyeongjohoesang were mostly heard in Taryeong, which was followed by Gunak, Garakdeori, Sangyeongsan - Yeombuldodeuri, Samhyeondodeuri, and Jungyeongsan - Seyeongsan. The average ratio of its repetitive tunes accounted for 66.9%, suggesting that more than two-thirds of the whole tunes of Pyeongjohoesang sounded repetitive melodies. Third, Gwanakyeongsanhoesang showed the following repetitive tune patterns: The repetitive tunes including all the same tune types and other similar tune types of each piece of music of Gwanakyeongsanhoesang were mostly sounded in Gunak, which was followed by Taryeong, Yeombuldodeuri, Jungyeongsan, Seyeongsan, Samhyeondodeuri, and Garakdeori - Sangyeongsan. The average ratio of its repetitive tunes accounted for 64.6%, revealing that repetitive melodies existed in more than two-thirds of the entire tunes of Gwanakyeongsanhoesang.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repetitive tune patterns of Yeongsanhoesang are as follows: The pieces with Bonyeongsan Rhythm sounded the same repetitive tune patterns at almost every end parts of each piece, flowing as if they had been connected to one piece of music. The pieces with Dodeuri Rhythm sounded the same repetitive tune patters at regular intervals, showing unity but also being expressed in various ways by changing speed and main notes. Taryeong and Gunak both with Taryeong Rhythm showed the particularly high ratio of repetitive tunes of 80.6% and 77.1%, respectively; which was assumed attributable to the usage of Taryeong music. Fifth, the review on the ratio of the three repetitive tune patterns of Yeongsanhoesang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repetitive tune ratios within the pieces of music with Bonyeongsan Rhythm, Dodeuri Rhythm, and Taryeong Rhythm of both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except for Gwanakyeongsanhoesang were the same as indicated in Taryeong Rhythm, Bonyeongsan Rhythm, and Dodeuri Rhythm. The reason why the average repetitive tune ratios were not the same in the pieces of music of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however, seemed because of the fact that Pyeongjohoesang - whose keys were shifted down by 4 keys - was not merely shifted its keys but consisted of independent melodies to some extent. Meantime, the average repetitive tunes of Gwanakyeongsanhoesang were mostly sounded in Taryeong Rhythm, which was followed by Dodeuri Rhythm and Bonyeongsan Rhythm, suggesting that Gwanakyeonghoesang among the three types of Yeongsanhoesang came in latest of them all and assumingly seemed related to the facts that it was a piece of music played only by wind orchestra and had little smaller number of rhythms compared to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In addition, the author found out that the average repetitive tune ratios of the three types of Yeongsanhoesang had a certain rule: judging from the review on the average repetitive tune ratios of those three types of Yeongsanhoesang according to rhythm, Bonyeong Rhythm sounded 57.2% of repetitive tunes on average; 53.0% for Dodeuri Rhythm; and 78.4% for Tryeong Rhythm. The average repetitive tune ratios of the three rhythm of Yeongsanhoesang and the average repetitive tune ratios of each piece by rhythm showed little error.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the three kinds of repetitive tunes of Yeongsanhoesang sounded unity under a certain rul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Gajinhoesang, Pyeongjohoesang, and Gwanakyeongsanhoesang - the most frequently played pieces of Haegeum Classical Music - to figure out the pattern,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repetitive tunes. We have assumed that there sounded so many repetitive melodies in Haegeum Classical Music when listening to its play; it was this study that converted such qualitative reasoning into the actual figures via quantitative method, which revealed that repetitive tunes existed in more than half of pieces of Haegeum Classical Music.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ose repetitive melodies sounded in a certain pattern and under a specific rule, and that each piece could remain in a unity as Haegeum Classical Music at the same time when it avoided boring tune via a few chan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