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혜진-
dc.creator윤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20-
dc.description.abstract일차적으로 발생된 상악동염 모델에서 자연 개구부의 완전한 개방, 즉 중비도상악동개방술(middle meatal antrostomy)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비점막에서의 기능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의 변화에 대하여 알려진 사실이 없다. 따라서 임상에서 원발성으로 발생된 상악동염의 치료에 있어서 중비도상악동개방술이 상악동 점막 외에 비점막의 기능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의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만성 상악동염을 유발한 후 자연 개구부를 재개방하는 중비도상악동개방술을 시행하였을 때 이 개방술이 시간 경과에 따라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다. 35마리 정상 토끼(Pasturella-free New Zealand white rabbit) 중 30마리에 대하여 양측 상악동 자연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한 후 녹농균을 주입하여 상악동염을 유발시켰다. 유발 4주 후 30마리 토끼의 상악동을 재개방하는 시점에서 5마리의 상악동과 하비갑개 점막을 양측에서 채취하여 섬모운동횟수와 병리조직학적 형태를 관찰하였다. 나머지 토끼 25마리에 대하여는 자연 개구부를 재개방시킨 다음 2주, 4주, 6주,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5마리씩 희생시켜 상악동과 하비갑개 점막을 양측에서 채취하여 섬모운동횟수와 병리조직학적 형태를 관찰하였다. 다른 정상 토끼 5마리는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섬모운동횟수와 병리조직학적 관찰상의 염증 점수에 대하여 대조군 및 6개의 실험군을 통계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상악동 점막 상피세포의 섬모운동횟수는 중비도상악동개방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의미 있게 개선되었지만 12주 후에도 정상 수준까지는 회복되지 못하였다. 하비갑개 점막 상피세포의 섬모운동횟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의미 있게 개선되어 12주 후에는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한편 상악동 점막과 하비갑개 점막의 염증 점수는 중비도상악동개방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의미 있게 감소되었지만 12주 후에도 정상 대조군 수준까지 개선되지는 못하였다. 즉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만성 상악동염을 유발한 후 자연 개구부를 재개방하는 중비도상악동개방술을 시행하였을 때 상악동 점막과 하비갑개 점막의 섬모운동횟수와 염증은 시간 경과에 따라 의미 있게 개선되었고, 특히 하비갑개 점막 상피세포의 섬모운동횟수는 중비도상악동개방술 12주 후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일차적 만성 상악동염에 대하여 시행된 중비도상악동개방술은 상악동 점막의 염증 외에 이차적으로 발생된 하비갑개 점막의 염증도 기능적 및 형태학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It remains unclear how middle meatal antrostomy, opening the natural ostium of the maxillary sinus, in primary chronic maxillary sinusitis affects time-dependent changes of function and morphology of the nasal mucosa.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middle meatal antrostomy on time-dependent changes of ciliary beat frequency and histopathology of the nasal mucosa in experimentally induced maxillary sinusitis in rabbits. Maxillary sinusitis was induced in both maxillary sinuses of 30 Pasturella-free New Zealand white rabbits by partially occluding the natural ostium and inoculating the maxillary sinus with P. aeruginosa. After 4 weeks, mucosa was obtained from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inus and the inferior turbinate in 5 rabbits. In the remaining 25 rabbits, the ostia were reopened. Five rabbits were sacrificed 2, 4, 6, 8, and 12 weeks after ostial reopening, respectively and the maxillary sinus and inferior turbinate mucosae were obtained from both sides.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inus and the inferior turbinate mucosa in another 5 normal rabbits were used as control group. Ciliary beat frequency (CBF) was measured by video-computerized analysis and degree of inflammation in histopathology was graded using a 100-point scale of inflammation score. CBF and inflammation score were compared among the 6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BF of the maxillary sinus mucosa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middle meatal antrostomy in time-dependent pattern, but did not reach a normal level even after 12 weeks. CBF of the inferior turbinate mucosa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middle meatal antrostomy in time-dependent pattern, and reached a normal level after 12 weeks. Inflammation scores of the maxillary sinus and the inferior turbinate mucos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middle meatal antrostomy in time-dependent pattern. However, they did not reach a normal level of the control group even after 12 weeks. In conclusion, middle meatal antrostomy can improve not only primary inflammation of the maxillary sinus mucosa but also secondarily developed inflammation of the inferior turbinate mucosa functionally and morphologically in experimentally induced maxillary sinusitis in rabbi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연구재료 및 방법 = 3 A. 연구재료 = 3 B. 연구방법 = 3 1. 녹농균 부유액의 제작 = 3 2. 상악동염의 유발 = 4 3. 검체 채취 및 실험군의 분류 = 5 4. 대조군 선정 = 6 5. 섬모운동횟수의 측정 = 7 6. 광학현미경 관찰 및 염증의 정량분석 = 8 III. 결과 = 11 A. 도립현미경 관찰에 의한 섬모운동횟수 = 11 B. 광학현미경 관찰에 의한 조직의 염증 점수 = 12 IV. 고안 = 25 V. 결론 = 30 참고문헌 = 31 영문초록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4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험적으로 유발된 토끼 상악동염에서 중비도상악동개방술이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 3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