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여성의 인터넷 이용동기, 만족,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여성의 인터넷 이용동기, 만족,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 연구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for lack of academic approach to understanding on women Internet users whose number is sharply increasing recently. From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Internet users, it was found that women's relationship-orientation, which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men, became a major factor in their use of the Internet. Compared to men, women showcased the higher rate of the Internet use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cused on such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women's internet motives,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paradigm of this study was the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which has been frequently utilized in new media users-related research due to its emphasis on audience activene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the total of 284 women users of the women portal site, sabiz.co.kr. Eight types of motives were found among women use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convenience-seeking, information-seeking, social interaction, economic, pass-time, entertainment, escape/relaxation, reducing loneliness. Convenience-seeking, information-seeking, social interaction, economic motive had salient explanatory power among them. And those four motiv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ternet satisfactio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e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omen's tendency to avoid face-to-face communication reveale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ch motives as 'reducing loneliness', 'pass-time', 'escape/relaxation' motive.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interaction motive. This implicates that women who tend to avoid face-to-face communication less likely to use the internet as a tool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anwhile, women with high opportunity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were more likely to use the internet for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summary, this study categorized eight motives among women internet users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women's internet motives,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led to the conclusion that women use internet for the instrumental purpose rather than ritualized one and the instrumental aspect of the internet use decides the level of satisfaction. Also, Women's internet use was only another revela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omen with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use the internet to enlarge their scop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owever, the internet did not function to make up the low level of interpersonal interactivity among women with the low lev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여성 인터넷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학문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인터넷 이용자 관련 문헌들을 검토해본 결과 일반적으로 여성의 특성이라고 알려진 관계지향성이 여성들의 인터넷 이용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대인 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을 위한 인터넷 이용 비율이 높았고, 이 점이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결과에 주목하여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여성의 인터넷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 (correlations)를 탐구하여 여성 인터넷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터넷 이용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상호영향력을 예측해보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인터넷 이용 동기 (motive)가 무엇이며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았고, 동기와 만족 (satisfaction)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대인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심리적인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사회적인 측면에서 대인 상호작용성 (interpersonal interaction)이 인터넷의 이용동기 및 만족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여성의 일상생활에서의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인터넷 이용이 서로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이론적 패러다임으로는 수용자의 능동성을 강조하여 최근 뉴미디어 관련 이용자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이용과 충족 연구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를 택하여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여성포탈사이트 사비즈 (Sabiz.co.kr)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전자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84명의 응답결과를 본 조사에서 활용하였다. 먼저 여성의 인터넷 이용동기 구조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해낸 동기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을 한 결과 8개의 동기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8개의 동기 유형에는 '편익 추구', '정보 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경제적', '시간 보내기', '오락', '도피/휴식' 동기가 있었으며, 이중에서도 여성이 중요시하는 동기는 편익추구, 정보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경제적 동기로 모두 목적 지향적 (goal-oriented)이고 도구적인 (instrumental) 이용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동기 유형들은 모두 인터넷 만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여성이 인터넷에서 능동적으로 추구하는 바가 만족되고 있고, 이러한 만족이 여성의 지속적인 인터넷 이용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터넷 이용 동기 및 만족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기 및 만족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상관 관계 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는 여성의 성향은 '외로움 해소', '시간 보내기', '도피/ 휴식' 동기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만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대인 상호작용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었고, 만족과는 정적인 수치를 보였으나 근소한 차이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는 소극적인 성향의 여성들, 즉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욕구가 낮다고 말할 수 있는 여성들은 인터넷을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외로움 해소'나 '시간 보내기'를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여성들은 인터넷을 또 다른 대인 상호작용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성향 및 대인 상호작용성이 인터넷 만족과 갖는 상관관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인터넷 이용 결과인 만족에는 다른 요소들이 다양하게 개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성의 인터넷 이용 특성이 무엇인지 밝혀낼 수 있었고, 인터넷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성향 및 대인 상호작용성은 서로 대치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긍정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