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정연-
dc.creator임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97-
dc.description.abstract바울은 자신이 세운 교회들에 편지를 써서 그들을 향한 자신의 변함없는 애정과 관심을 표현했다. 나아가서 그 교회들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특정한 지침을 주고자 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도 역시 분열과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처한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무언가를 설득하고 있다. 바울과 고린도 교회 사이에 실제로 어떠한 의사소통의 과정이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고린도 교회에서 실제로 일어난 일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우리는 단지 바울 자신의 글들을 통해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바울 자신의 입장에서, 바울의 소리를 통해서만 고린도 교회의 사정과 문제점들에 대해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린도 교회 여성들에 대한 우리의 견해 역시 바울 자신의 견해를 그대로 반복하는 것일 수밖에 없었다. 고린도 교인들이 도덕적 무질서와 부패, 분열을 일삼는 자들이었다면 고린도 교회 여성들이야말로 그 중심에 있는 자들로 이해되었다. 고린도전서 전체에서 바울은 때로는 드러내 놓고, 때로는 암묵적으로 여예언자들을 비판하고 있다. 고린도전서 11:2-16에 의하면 머리를 가리지 않는 여성들의 행동은 교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린도교회 여예언자들에 대한 평가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바울의 목소리를 통해서 부정적으로만 평가되어왔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 여성들의 목회 사역에까지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만일 고린도 교회 여성들이 바울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 스스로 말할 수 있었다면 무엇이라고 했을까? 만일 그들 스스로 발언권이 있었다면 어떤 주장을 폈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을 추구해나갈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현대 수사학비평에서 발견했다. 고린도전서 11:2-16은 바울이 고린도교회 여예언자들의 행동에 대해서 집요하게 비판하고, 그들의 행동을 시정하고자 하는 본문으로서 둘 사이의 첨예한 입장 대립이 전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구체적 행동에 대한 견해차가 신학적 견해차로까지 환원될 수 있는 본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1:2-16에 대한 수사학 비평적 연구를 통해 고린도 교회 여예언자들 자신의 관점에서 그들의 소리를 다시 살려내고자 했다. 그리고 그들의 모습을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생생하게 살려내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방법들과 연구결과들을 받아들였다. 즉 고전 그리스로부터 초기 로마제국, 유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접목시켰으며, 오늘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해방적 성서해석의 관점을 끌어들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제I장에서는 논문의 목적과 의의를 기술하고 제II장에서는 방법론을 기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린도교회에서 바울의 적대자들이 누구였는지 규명하는 데 사용되었던 기존 방법론들의 연구 결과들과 그 한계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수사학 비평을 소개했다. 제III장에서는 직접 고린도교회 여성들의 상황을 고찰하기 전에 고린도사회가 자리했던 헬레니즘사회 전반에서 여성들의 상황들을 살펴보았다. 제IV장에서는 사회학적 연구를 토대로 고린도의 상황과 고린도교회 회중들의 사회적 지위, 고린도교회 여성들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고린도교회 여성들의 하느님 체험이 일어난 구체적인 사회적 자리를 규명하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하느님 체험이 지니는 사회학적 의미까지도 규명하고자 했다. 제V장은 본 논문의 중심적 부분으로서 고린도교회 여성들과 바울의 논쟁 상황을 드러내는 고린도전서 11:2-16의 본문을 수사학적 비평을 사용하여 주석했다. 마지막으로 제VI장에서는 앞 장의 주석을 근거로 하여 고린도교회 여예언자들의 그리스도교적 정체성과 신학적 주장이 무엇이었는지 추측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묻혀져왔던 고린도 교회 여예언자들의 목소리를 다시 살려내고, 그럼으로써 더 나아가서는 오늘의 교회 안에서 무시되고 있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들리게 하는 데 기여를 하고자 했다.;Paul revealed his constant love and interest for the churches he built by sending letters to them. Furthermore, he wanted to give specific guiding principles to solve problems within the church. In the letters to the Corinthians, Paul is also trying to persuade something to the Corinthians, who are facing disruption and other problems among themselves. What actually happened and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occurred between Paul and the Corinthian churches can only be guessed at based on what we can find through Paul's own letters. In other words, we can only learn about the situations and problems that the Corinthian churches faced in Paul's position and Paul's words. On that account, our view on the Corinthian churches' women is also a repetition of Paul's own view. If Corinthians are viewed as ethically absent, corrupt, and disrupted, the Corinthian churches' women were viewed as the ones in the center of all these chaos. Paul criticizes prophetess throughout the Corinthians, sometimes explicitly and in other times tacitly. According to chapter 11:2-16 in Corinthians, women not covering their heads caused a serious problem in the church. Therefore, Corinthian church prophetesses were evaluated negatively through Paul's voice until today. And this results in influencing today's women's pastoral work negatively. However, what would Corinthian churchwomen say if they could have spoken for themselves instead of speaking through Paul? If they had the rights to speak, what would have been their opinion? This thesis started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Today's rhetoric criticism was used as concrete methodology in order to pursuit these questions. The contents of the chapter 11:2-16 in the Corinthians is about Paul persistently criticizing prophetess' behavior in the Corinthian church and trying to rectify their acts, having their acute conflict as premises. The perspective on these specific behaviors in this content can be induced as perspective in theology.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bring out the voices of the Corinthian prophetess in their perspective through rhetoric criticism using Corinthians 11:2-16. In order to give life to their voices and be specific, many previous research methodologies and research results were used. Namely, This is the research on women's social status during ancient Greece until th e early Roman Empire and allied societies, and today's perspective of hermeneutics based on women's liberation movements. This thesis writes about the following issues: in chapter I, thesis object and significance, and in chapter II, research methodology. Also in this chapter, research results and its limits of previous methodologies that were used to examine who were Paul's antagonists in the Corinthian church, and as rhetoric criticism is introduced as its solution. In chapter III, in depths look into overall women's status in Hellenism society, where the Corinthian church was situated, before examining Corinthian women. In chapter IV, a look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Corinthian society, congregation's social status, and Corinthian women based on sociological studies. In doing so, not only the specific social place of Corinthian women's experience of God. but also the soci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 is examined. Chapter V is the focal point of this thesis, where the contents of Corinthians 11:2-16, which conveys controversy between Paul and the Corinthian women, are annotated using rhetoric criticism. And las tly, in chapter VI, speculation on Corinthian prophetess' Christian identity and theological opinion based on the annotation is made. Rebirth of the Corinthian prophetess' previously unrevealed voice and in doing so, contributing in magnifying women's voices in today's church, where it is still neglected, is des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및 구성 = 6 II. 바울서신에 대한 연구 방법론들 = 9 A. 종교사적 방법론 = 10 B. 사회학적 방법론 = 13 C. 수사학적 비평 방법 = 17 1. 수사학의 정의 = 17 2. 수사학의 기원 = 19 3. 고전 수사학과 현대 수사학 = 25 a. 고전 수사학 = 26 b. 고전 수사학 적용의 문제 = 29 c. 현대 수사학 = 31 III. 헬레니즘사회 속의 여성들의 일반적인 상황 = 34 A. 헬레니즘 로마세계 전반에서의 여성의 위치 = 34 1. 전통적 그리스-로마 사회의 여성 = 34 2. 헬레니즘 시대의 여성 = 38 3. 초기 제국 시대의 로마와 동부 속주들의 여성 = 41 4. 헬레니즘 유대교의 여성 = 43 B. 도시 계급 구조 안에서의 여성 = 45 1. 로마제국 도시들에서의 계급구조 = 45 2. 상류계층과 하류계층 여성들의 상황 = 49 C. 여성과 관련된 긴장 = 51 D. 초기 제국시대의 여성 = 52 E. 고린도전서에 나타나는 가부장제와 여예언자들의 갈등 = 54 IV. 고린도교회 여성의 사회적 상황 = 63 A. 고린도의 상황 = 63 B. 고린도교회의 사회 계층 = 65 1. 고린도교회 회중들의 사회 계층 = 65 2. 신분상의 불일치를 경험한 여성들 = 72 C. 바울과 고린도교회 여성 예언자들의 사회적 상황 = 74 1. 고린도교회 여성 예언자들의 사회적 지위 = 74 2. 사회적 지위와 신학적 주장 = 78 V. 고린도전서 11:2-16에 나타난 고린도교회 여성 예언자들 = 83 A. 본문의 수사학적 구조 = 83 1. 고린도전서의 수사학적 장르와 전체 본문 구조 = 83 2. 고전 수사학 장르에 근거해서 본 고전11:2-16 = 89 B. 고린도전서 11:2-16에 나타나는 바울의 수사학적 논증 양식들 = 89 1. 유사 논리적 논증 = 91 2. 실재의 구조에 관한 논증 = 91 3. 실재의 구조를 수립하는 논증 = 92 4. 개념의 분리에 의한 논증 = 93 C. 고린도전서 11:2-16에 대한 수사학적 연구 = 94 1. 칭찬과 결과 진술이 있는 정의 = 95 2. 창세기로부터의 논증 = 99 3. 정의, 수치, 일반 관행으로부터의 논증 = 104 4. 고전 11:2-16의 수사학적 상황 = 109 VI. 결론 = 116 참고문헌 = 119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04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고린도교회 여예언자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린도전서11:2-16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