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우연-
dc.creator김우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52-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아주 오래전부터 자연에 의해 형성된 공간속에서 거주해 왔으며, 차츰 외부와의 벽을 만들기 시작하였고, 신체 보호와 생리적 활동의 기본적 생활은 물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지금의 실내 공간이 생기게 되었다. 정보화 사회속의 21C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재색의 높은 건물 그늘안에서 자연과 단절되어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편히 쉴 수 있는 휴식의 공간을 더욱더 희구하고 있는 것이다. 실내 공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대인들은 휴식의 공간을 만족시킴과 더불어 가족 구성원과 개인의 개성과 자아표현이 두드러질수 있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기위해 무한한 창조와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렇게 현대 실내 공간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또한 도구들을 필요로하게 되면서 그에 상응될 수 있는 예술품들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인간과 친숙한 흙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도자 오브제를 제작함으로써 실내 공간안에서의 미적 효과를 발휘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자는 예술가들의 영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어린 시절의 기억속의 가장 행복했던 장면들을 소재로 하여 10작품을 통해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어린 시절은 대략 초등학교 입학 전후를 가리키며 손가락을 구부려가며 숫자 놀이를 하였던 기억, 공터에서 동네아이들과 숨박꼭질하던 기억, 아빠로부터 바둑을 배우며 떼를 써 이기려했던 기억, 동화책속의 주인공이 되어 상상의 세계에 빠져있던 기억, 키가 크기 시작하면서 담넘기를 놀이 삼았던 기억 그리고 놀다 지쳐 엄마품에 꼭 안겨 잠들었던 기억들을 작품의 소재로 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이야기는 다분히 주관적일수도 있지만 누구나 겪는 것이고 인간에게 있어서 보편적으로 공통된 감성과 정서가 있기에 공감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의 내용은 예술 작품에서의 기억의 중요성과 어린 시절의 기억에 대해 문헌과 관련 자료를 통해 예술적 측면에서 해석해 보았고, 실내 공간에 대한 의미와 개념을 살펴보고 실내 공간에서의 도자 오브제의 역할과 더불어 작품 예시를 통해 도자 오브제 필요성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작품의 전개 과정은 각각의 작품들이 독립된 이야기가 아닌 내면의 숨겨진 나를 표현하는 인간의 형상으로 창출된 캐릭터들이 Performance형식으로 전개되어진다. 제작 방법은 코일링(Coiling)과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태토로는 석기질 점토와 백색도가 뛰어난 슈퍼 화이트를 사용하였다. 소성은 0.3㎥도염식 가마에서 8시간동안 최고 온도 900℃로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11시간동안 최고 온도 1260℃로 환원염 소성을 하였다. 또한 미흡한 색감과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테라시질라타와 중화도 유약을 사용하여 최고 온도 1000℃로 8시간, 저화도 유약은 최고 온도 760℃로 6시간동안 소성을 하였다. 본 연구로 인해 잊혀져 있던 어린 시절의 아름다웠던 소중한 기억들을 얻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실내 공간에서의 도자 오브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짚어볼 수 있게 되었고, 하나의 도자 오브제가 실내 공간안에 놓이므로 인해 인간 생활 환경의 질을 높이게 해주고 감성이 메말라있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흥미와 위안등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킬수 있다는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좀 더 수준있고 실내 공간에 쓰임으로 인해 손색없는 도자 오브제들이 현대인들에게 여유있는 삶을 영위할수 있도록 도예가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절실하다 생각되어진다.;The interior spaces of our contemporary environment have developed from the prehistoric times. At the beginning, human beings made their habitations in a natural environment. Biologically, humans know how to protect their physical body by finding shelter. These shelters are also for resting their bodies. Today, we build walls around ourselves to create a space for shelter. People, today, have built tall grey buildings to shelter themselves. Furthermore, our industrial developments have severed us from nature. Therefore, more and more people are longing to create a natural and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mselves. The interior spaces have become an item of creation and expression. Different interiors are created in accordance to the taste and character of the person living in it. As a result, art objects and decorative ornaments have become very popular. People want to create something that is original. So for this study, decorative objects have been created in clay for such purposes. Childhood memori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theme of inspiration - the games that were played in the playgrounds, hide and seek, playing chess with father, falling asleep on mother's lap and reminiscing fairy tales. Most people can relate to such memories because they are more or less similar among all of us. For the background research work, childlike expressions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his, the use of different interior space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Each piece of work created for this study is like a performance of a childhood memory. The pieces were coiled and slip-casted. A stoneware clay body and a porcelain body were used. The first was for 8 hours in a 0.3㎥ gas kiln. It reached a temperature of 900℃. The second firing was fired to 1260℃ for 11 hours. A third terra-sigillata firing was also conducted for some of the pieces. This was fired to 1000℃. In addition to this, a low-fired glaze was also used and this was fired to 760℃ for 6 hours. The study has shown that a single piece of art object can change the entire atmosphere of an interior space. Today, people are leading a busy life full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Everyone is longing more for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Here, childhood memories have been used to create a joyful atmospher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create different environments for futur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2. 기억에 관한 고찰 = 3 2.1. 예술작품에서의 기억 = 3 2.2. 어린시절의 기억 = 5 3. 실내 공간과 도자 오브제 = 7 3.1. 실내공간에 대한 개념과 변화 = 7 3.2. 실내공간에서의 도자오브제의 역할 = 9 3.3. 실내공간을 위한 도자오브제 예시 = 12 4. 작품제작 및 해석 = 21 4.1. 조형계획 = 21 4.2. 제작과정 및 해설 = 34 5.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996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실내 공간을 위한 도자 오브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린 시절의 기억을 소재로 하여-
dc.format.pagevi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