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영-
dc.creator박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49-
dc.description.abstract꾸밈없이 살아온 서민의 삶 속에서 태어난 민화는 우리 겨레의 신화와 종교, 즉 한국의 정신이 깃들여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현재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의 민화가 남아있다. 벽장문, 다락문 또는 대문에 붙였던 그림, 혼례식, 회갑, 생일 잔치 등에 쓰였던 것으로 우리들의 생활과 밀착되어 있다. 민화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솔직하고 거짓 없는 진솔한 마음을 표현하며, 가식이 없고 잘난 척 하지 않으며, 소박하게 한국인의 혼과 마음을 잘 표현하고 있다. 민화에 표현된 작가의 심성을 읽다 보면 넘치는 해학과 풍자가 한 시대의 사회상을 그대로 그려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공예는 실용을 위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공예가 인간의 실제적 생활, 즉 의식주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아름다운 공예가 되기 위해서는 실용성, 사회성, 도덕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대 공예는 단순히 쓰임만이 아니라 심미성과 아름다움이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루어 이를 통하여 일상 생활의 풍족함을 즐기기를 인간은 원한다. 우리의 옛날 그 우수한 일상용기 속에는 전통이라는 커다란 힘이 작용하고 있었다. 전통이야말로 그 문화와 민족의 역사가 창조한 것이다. 표현하는 작가의 심성에서 공예는 전통을 부정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전통을 긍정하고서 받아들여 바람직한 발전을 추구하는 데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미의식, 전통, 조형적 질서를 담아낸 한국 민화에서 추출한 예술적 아름다움과 소박한 미를 연구자의 주관적 심성을 통해 보다 현대적인 해석으로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소품으로 제작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본론에서 공예와 문화에 대해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고 민화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민화의 개념과 특성 등을 고찰하였다. 오랫동안 공예라는 개념은 생활 집기를 만드는 일을 지칭해 왔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은 심미적인 개념과 쓰임이 함께 어우러진 생활 속의 공예라는 또 다른 움직임을 가져왔다. 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유통되는 그림을 가리키는 민화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려한 자태로 인해 부귀를 의미하는 모란, 세파에 물들지 않는 청아함과 고결한 모습을 간직한 군자에 비유하는 연꽃, 꽃과 새가 사이좋게 어우러져 있는 정경을 그린 화조도(花鳥圖), 풀과 벌레를 억지나 꾸밈없이 화폭에 옮겨 놓은 초충도(草蟲圖), 까치와 함께 그린 호랑이 그림, 책과 문방사우(文房四友)나 이에 관련된 물건들을 조화롭게 배치해 그린 책거리 등의 민화는 서민들이 꿈, 사랑, 믿음, 진실이 베어있는 그림이라 하겠다.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이러한 모란도, 연화도, 화조도, 초충도, 까치호랑이, 책거리 등 민화의 여러 유형을 응용하여 표현하였다. 실내공간을 장식하고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종, 화기, 컵, 합, 볼(bowl), 조명, 벽에 장식할 수 있는 벽장식, 시계, 거울 등을 구성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깔끔한 표현을 위해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 형태의 자유로움을 위해서 판 성형, 속파기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산백토와 고온용 옹기토, 백색 자기질 점토와 안료를 섞어 만든 색토를 사용하였다. 표면장식을 살리기 위하여 무유 처리한 것과 실용기로서의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물건과 직접 닿는 부분을 투명유를 담금 시유하였다. 소성은 0.5㎥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을 한 후에, 2차 소성을 0.5㎥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1250℃로 9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민화를 응용한 도자 작품을 제작하면서 연구자의 결론은 우리 서민들의 삶을 그대로 반영한 민화에 관심을 가지고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재해석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친화성을 느낄 수 있었고 심미성과 쓰임이 조화를 이룬 수공예적 작품을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얻었다. 전통이란 민족이 그 선조로부터 이어받는 커다란 자산이다. 연구자는 전통의 정수를 더욱 더 활용하고 심화하는 것이 전통을 이어받은 우리들의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많은 관심 가운데 후진들이 해야 할 일은 여러 세대에 걸쳐 쌓인 경험인 전통을 현대적 해석을 통해 우리 민족 문화의 미를 되돌아봄으로써 주관적 심성을 통해 아름다운 작품 세계가 펼쳐지길 기대한다.;Folk-paintings, born from humble lives, are a myth and religion of our race. They are an important heritage that retain the Korean spirit. Today, a countless number of folk-paintings exist in our country. They were once closely linked to our daily lives for they were used in almost all corners of a Korean household - wardrobe doors, kitchen lofts and on the front door of a house. Furthermore, they were used to celebrate special birthdays, weddings and so on.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m for they are unpretended honest expressions of humble people. In general, they express the modest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nd one is able to detect the humor and sarcasm hidden in them. They are usually a social reflection of a given period. Crafts have been used for functional purposes and they are an inseparable part of our daily welfare. To make beautiful craft-wares, one has to reflect upon the practical, social and moral aspects of a given race. Today, crafts are not simply functional objects but they are also works of appreciation that provides comfort in our daily life. Tradition is strongly embedded in the ancient daily ceramic wares of our country. It is the result of our culture and our peop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 in a positive way rather than denying its existence for an artist to develop his/her own expression in crafts. For this study, the traditional, aesthetical and formative aspects of Korean paintings have been analysed to be applied to small daily ceramic objects. Concepts behind folk-paintings were examined and a further analysis on crafts and culture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For a considerable length of period, crafts have been made solely for functional purposes. However, today, as another movement in crafts, it has to be combined with aesthetics. Folk-painting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The elaborate peony flower symbolizes fortune, lotus flowers expressed the pure and noble minds of honorable men, landscapes with flower and bird drawings, plant and insect themes, magpies with tigers, books with desks and other furnitures in the study and so on. They represent the dream, love, faith and virtue of common people. The different themes in folk-paintings have been applied in a number of ways to ceramic objects such as bells, cups, containers, vase, lightings, clocks, mirrors and wall decorations for this study. For the delicate pieces, the slip-casting technique was used in addition to sculpting and slab-building. White silk, porcelain, white stoneware and high-temperature onggi clay bodies were used. In the white stonewareclay body, color was added by mixing oxides and slips. Some piece have been left unglazed and some have been applied with a transparent glaze. The firing was conducted in a 0.5 ㎥gas kiln with the first firing reaching a temperature ot 900˚C in 8 hours. The second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C in an oxidation firing that took 9 hours. This study on folk-painting as a subject of expression in ceramic design, has given a new interpretation on tradition and history to be applied to today's changing face of crafts. Crafts in no longer solely for functional purposes but it also has to have aesthetical elements to nourish our lives. Tradition is an important asset handed down to us by our ancestors. It is important even today to understand our tradition and it is our duty to continue its development. Art works should not deny this fact to combine tradition with current preferences in order to carry our true aesthetical val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1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II. 공예와 문화 = 4 A. 공예와 현대 문화 = 4 III. 민화의 일반적 고찰 = 6 A. 민화의 개념 = 6 B. 민화의 특성 = 9 C. 민화를 응용한 작품 사례 = 15 IV. 작품제작 및 해석 = 23 A. 디자인 과정 = 23 B. 작품제작 및 해석 = 43 V. 결론 = 66 참고문헌 = 68 영문초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099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민화를 응용한 도자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