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허정은-
dc.creator허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16-
dc.description.abstract어린이를 위한 최초의 그림책인 코메니우스의 [세계의 그림] 이후 컬러북, 펼친그림, 장난감 그림책, CD-ROM 그림책 등과 같은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그림책이 나타났다. 그리고 21세기 초 스마트디바이스의 양방향성을 토대로 개발된 앱북은 이전의 어린이그림책보다 쉽고 편리하게 더 많은 경험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종이라는 매체에 담는 인쇄기반의 그림책과 기술의 발전에 의해 발생한 스마트디바이스라는 매체에 담는 앱북은 동일하게 어린이들의 발달과 흥미를 위한 콘텐츠이지만 콘텐츠를 담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어린이들에게 주는 경험은 다르다. 따라서 콘텐츠를 기획 및 디자인할 때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경험을 어린이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종이라는 매체에 담겼던 어린이그림책을 어떻게 앱북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매체에 알맞은 어린이그림책을 디자인하기 위해 각 매체별 그림책에 대해 알아보고,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앱북에서와 같이 상호작용을 통해 공간을 탐색하고, 이야기를 진행해 나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팝업북을 앱북으로 전환하기로 하였다. 팝업북은 입체도서의 한 종류로 2D(dimensional)인 종이를 구조화하여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인쇄기반의 그림책보다 확장된 공간과 오브젝트를 움직이는 입체물로 구현하여 흥미를 주며, 교육적인 면과 연계하여 콘텐츠를 개발하였을 때 효과가 좋은 매체이다. 이러한 점은 디지털 출력으로 인해 확장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고, 상호작용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앱북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팝업북을 전환한 앱북디자인을 제안하기 앞서 현재 출시되어 있는 국내외 앱북 50건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제, 대상, 읽기 기능, 시각적 표현, 청각적 표현, 상호작용요소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어린이그림책 평가기준에 앱북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성, 예술성, 교육성, 흥미성, 매체활용성이라는 앱북 평가기준을 정립하였다. 이에 따라 50건의 사례를 평가하였으며, 5개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페이지흐름도, 시청각적 표현, 상호작용요소에 대해 심층분석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앱북이라는 매체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활용된 사례를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시청각적 표현, 상호작용요소, 페이지 구성에 대한 앱북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어린이문화예술교육콘텐츠 OSMU 기획개발]과정에서 전시콘텐츠의 OSMU 방안으로 제작한 [팝업북: 시아의 모험]을 앱북으로 전환하였으며, 팝업북의 능동적인 공간, 이야기 탐험 가능이라는 특징을 활용하여 어린이가 주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앱북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Since [Orbis Pictus] by Comenius, the first children's picture book, was made, people kept publishing a lot of picture books such as color books, pop-up books, toy picture books and CD-ROM books. These books have been providing the children with various experiences. Now, in this early stage of 21st century, an App book, developed based on the bidirectional feature of the smart device, has been gaining more attention from the public for the book lets the children have more new experiences in an easier and more convenient way than the previous children's books did. The App book developed by the collaboration of the paper-printed picture book and the smart device, a creation of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is definitely the content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and interest as what the other books have been for. However, experiences that the children would get from the book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the contents. Therefore, the App books should not be provided to the children unl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stage of the contents planning and design. The thesis studied how to change the paper-printed picture books for children into the App book. In order to design a children's picture book in the consideration of each media, the thesis has looked into the picture books of every media to know its characteristics. After several researches, the thesis decided that it would change the pop-up book into the App book for the former features in searching of a space and developing of a story through the interaction, which is the same characteristic of the latter. The three-dimensional pop-up books are made as two-dimensional papers are structuralized. With the space expanded and objects moving, the pop-up book feels intriguing. This property made the book a good medi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saying that the pop-up book is similar to the App book in that the latter is also possible for the visually expanded presentations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interaction. Before suggesting the pop-up book-converted App book, the thesis carried out a case analysis on 50 of the App books published in the domestic market at present. Topics, subjects, reading skill, visual presentation, auditory presentation and interactive factors were examined. By introducing the features of the App book to the existing evaluation basis for the children's picture book, the thesis established a new App book valuation basis for the literary value, artistry, educational value, interest value and media application. 50 cases were evaluated and later, the thesis selected five best cases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n the page flow, visual/auditory presentation and interactive factors. Through the procedures above, the thesis analyzed cases which positively utilized the features of the App book. With the outcomes drawn, the thesis finally offered an App book design for the visual/auditory presentations, interactive factors and page composition. [Pop-up Book: Adventures of Sia], which w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OSMU development of children's culture, art and education contents] as a measure of OSMU display contents, was changed into an App book. In short, by using the active space and story adventure function of the pop-up book, the thesis aimed to design an App book that would lead the children to have their own experiences by them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내용 2 C. 논문의 구성 3 Ⅱ. 그림책에 대한 이해 4 A. 그림책의 정의 및 발전과정 4 1. 인쇄기반의 그림책 6 2. 멀티미디어 기반의 그림책 7 B. 매체별 그림책의 특성 8 1. 인쇄기반의 그림책 8 2. 그림책 비디오 8 3. CD-ROM 그림책 9 4. 웹(Web) 그림책 10 5. 앱북(App Book) 10 Ⅲ. 앱북 사례조사 및 분석 13 A. 앱북 사례조사 13 1. 앱북 평가기준 13 2. 국내외 사례조사 18 B. 우수사례 분석 40 1. 교원이솝극장 40 2. 걸리버 43 3. Angelina Ballerinas New Ballet Teacher 46 4. Fantastic Flying Book of Mr. Morris Lessmore 49 5. Teddy's day 52 Ⅳ. 디자인 제안 55 A. 팝업북: 시아의 모험 55 B. 앱북: 시아의 모험 58 1. 시청각적 표현 58 2. 상호작용요소 59 3. 페이지 구성 60 4. 디자인 72 Ⅵ. 결론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411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팝업북과 앱북으로 만든 어린이그림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icture Books for Children Combined with Pop-up Book and App Book-
dc.creator.othernameHuh, Jung eun-
dc.format.page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