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박은영-
dc.creator박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2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efine 'Shinmyung-puri' from Korean traditional folk dance, then, build a base of aesthetic concept to explain our traditional arts and compare it with catharsis, the aesthetic concept from western arts. Talchum and Nongak, the traditional folk dances have their origin in the festivals of ancient society. Nongak has its root in harvest ceremony which thanks and wishes for prosperity of group while talchum has its root in shamanismic festival praying for individual’s wellness. Such difference in origin consequently leads to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s of Talchum and Nongak in community society. Talchum displays a performance of recovery through settlement of conflicts while Nongak functions to form community fellowship by soothing fatigue from labor works. However,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 in origin and functions between Talchum and Nongak, their mutual goal is the recovery and healing of all participants. Also, the processes to achieve the goal are same, raising and releasing shinmyung. 'Shinmyung-puri' that derives recovery and healing from Talchum and Nongak can be abstracted in a word, ‘Han-puri’ at ‘shinmyung’ status. In other words, it raises excitement through repeating dance and rhythm, then, exposes and expresses the resentment in the reality at the climax. Therefore, 'Shinmyung-puri' is consistent with the catharsis in the sense that they are purification of emotion through by discharging suppressed feelings. However, if we say catharsis is an indirect and imperfect purification of emotion through empathy, 'Shinmyung-puri' is a direct and perfect purification of emotion through participation. Those study results means that 'Shinmyung-puri' and catharsis can be recognized as equal aesthetic concept in the sense of purification of emotion through art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Shinmyung-puri’ can be defined as aesthetic concept that analyzes traditional arts. However, when there is a slight extension of study subject from Talchum and Nongak, totally different result comes out. That is, 'Shinmyung-puri' is a useful concept in analyzing and explaining Talchum and Nongak, the study subjects of this paper, however, is not very useful when it is applied to court arts and noble class arts. In those cases, concept of catharsis is more appropriate to analyze and explain them. This i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comprehension in the concept of 'Shimyung-puri' itself. Since 'Shinmyung-puri' was viewed as Shinmyung and release of resentment, it cannot be applied to the arts of noble class that are not relevant to resentment. Therefore, 'Shinmyung-puri' can be a aesthetic concept that analyzes and explains folk arts but cannot be extended to an aesthetic concept that explains entire traditional arts. However, in spite of such limitations, since 'Shinmyung-puri' meets the essential parts of arts in the sense of ‘purification of emotion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t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strategy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arts as a countermeasure to reinvigorate performance arts which have been encountered with crisis today.;본 연구는 한국 민속춤에 나타나는 신명풀이를 개념화하고, 서구예술의 미학개념인 카타르시스와 비교하여, 신명풀이가 우리의 전통예술을 설명하는 미학개념으로 정립될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민속춤인 탈춤과 농악은 고대사회의 축제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탈춤이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주술적 축제에 근원을 두고 있다면, 농악은 집단의 풍요를 기원하고 감사하는 제천의식에 근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기원에서의 차이점은 탈춤과 농악이 공동체 사회 속에서 수행하는 기능의 차이에도 연결되는데, 탈춤은 갈등의 해소를 통한 회복의 기능을 보이는 반면, 농악은 노동의 고단함을 달램으로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탈춤과 농악이 기원과 기능면에서 다소간의 차이를 보인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참여하는 모든 이들의 치유와 회복이다. 그리고 그것에 도달하는 과정 또한 신명을 내고, 신명을 푸는 것으로 동일하다. 탈춤과 농악에서 치유와 회복을 이끌어내는 신명풀이는 ‘신명’상태에서의‘한풀이’로 압축할 수 있다. 즉 춤과 리듬의 반복을 통해 흥을 내고, 흥이 절정에 오른 순간 현실세계의 한을 폭로하고 표현하여 풀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명풀이는 억눌린 감정의 배출을 통한 정서의 순화라는 점에서 카타르시스와 동일하다. 하지만 카타르시스가 감정이입에 따른 간접적이고 불완전한 정서의 순화라면 신명풀이는 참여에 따른 직접적이고 완전한 정서의 순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연구결과는 신명풀이와 카타르시스가 예술을 통한 정서의 순화라는 점에서 동등하게 미학개념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신명풀이’를 전통예술을 분석하는 미학개념으로 규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연구의 대상을 탈춤과 농악에서 조금만 확대해도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즉 신명풀이는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탈춤과 농악을 분석하고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궁중예술이나 지배계층의 예술에 적용했을 때는 유용하지 못했다. 오히려 카타르시스 개념이 그것을 분석하고 설명하는데 적합했다. 이것은 신명풀이의 개념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한계에서 기인하는데, 애초에 신명풀이를 신명과 한풀이로 보았기 때문에 한(限)과 연관이 없는 지배계층의 예술은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신명풀이는 민속예술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미학개념이 될 수는 있어도 전체 전통예술을 설명하는 미학개념으로 확대되지는 못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신명풀이는 ‘직접적 참여에 의한 정서의 순화’라는 예술의 본질적 측면과 맞닿아 있기에, 오늘날 위기에 처한 공연예술에 활기를 불어 넣어줄 대안으로, 민속예술을 현대화 하는 전략으로 여전히 유용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8 A. 한국 민속춤의 종류 8 B. 용어의 개념 및 정의 15 1. 신명풀이 15 2. 카타르시스 18 C. 타(他) 예술 속에 나타나는 카타르시스 21 Ⅲ. 한국 민속춤에 나타난 신명풀이 26 A. 탈춤 26 1. 탈춤의 발생 기원과 사회적 기능 26 2. 안무 구도 및 춤사위의 형태를 통한 의미 분석 30 B. 농악 38 1. 농악의 발생 기원과 사회적 기능 38 2. 안무 구도 및 춤사위의 형태를 통한 의미 분석 42 C. 춤에 나타난 신명풀이와 카타르시스와의 비교 50 Ⅳ. 결론 59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80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민속춤에 나타난 “신명풀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카타르시스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ies on "Shinmyung-phury" emerged in Korean Folk Dance-
dc.creator.othernamePark, Eun Young-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