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판소리 <興甫歌> 中 ‘박타령’의 선율 분석

Title
판소리 <興甫歌> 中 ‘박타령’의 선율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melody of “Bak Taryeong” from Pansori
Authors
정보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판소리는 조선 중기이후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향토적인 선율을 바탕으로 한 특유의 곡조를 지니고 있다. 판소리는 유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섬진강 지역을 기준으로 동쪽을 동편제, 서쪽을 서편제로 나누어서 각 유파별로 전승되었다. 현재 판소리는 다섯 마당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이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로 민담을 근원으로 많은 변화를 거쳐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 다섯마당 중 욕심 많은 형 놀보와 우애 깊은 아우 흥보 사이의 이야기를 토대로 한 <흥보가> 중 ‘박타령’을 동편제의 선율과 서편제의 선율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두 세 개의 박타령이 등장하는데 동편제의 선율은 박록주 바디에 한농선의 소리를 토대로 하였으며 서편제의 선율은 김창환 바디에 박동진의 소리를 토대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설의 진행은 한농선의 소리와 박동진의 소리 모두 비슷하게 전개되는데 다만 곡이 진행하는데 있어서 박동진의 사설이 보다 더 설명적으로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곡조의 길이가 한농선의 길이보다 길게 전개된다. 또한 부분별로 나누어지는 각각의 사설 진행에서 그 등장 순서가 변형되어 같은 부분에서 서로 다른 내용을 노래하는 부분이 전개된다. 두 선율 모두 e - (g) - a - b - c’ - (d’)의 음계로 구성된 계면조를 중심으로 진행하는데 곡의 중간 중간에서 g - a - c’ - d’ - e’의 음계로 이루어진 우조선율을 찾아볼 수 있다. 한농선의 선율은 계면조를 중심으로 비교적 낮은 음역에서 주로 진행하며 완전5도 간격의 비교적 좁은 음역 안에서 주요음 a와 e, c의 진행이 전개된다. 곡의 시작 부분 선율은 대부분 a로 전개되며 a - c’의 선율이 자주 등장하고 시김새나 장식적인 선율의 진행이 드물게 나타나면서 중심음에 충실한 단조로운 선율진행이 나타난다. 리듬 역시 점4분음표 혹은 4분음표 등의 비교적 긴 리듬을 중심으로 하며 경과적인 선율이 진행할 때 16분음표 등의 짧은 선율이 잠시 전개되어 곡의 진행을 돕는다. 이와 달리 박동진의 소리는 계면조를 중심으로 진행하지만 곡의 많은 부분에서 우조음계가 자주 등장하며 따라서 g, c’, d’의 주요음 진행이 한농선의 소리에 비해 여러번 전개된다. 또한 한 옥타브 이상의 넓은 음역을 가진 선율진행이 자주 나타나며 한농선의 소리에 비해 도약진행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장7도의 도약 혹은 한 옥타브의 도약진행을 통해 선율의 구성이 풍부한 느낌을 전달해준다. 시김새와 장식적인 선율 또한 곡 전반에 걸쳐 자주 나타나면서 주요음의 진행을 경과적으로 이끌어준다. 이에 따라 리듬 도 8분음표와 16분음표로 구성된 짧은 리듬의 진행이 나타나면서 장식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 <흥보가>중 ‘박타령’의 선율을 한농선의 소리와 박동진의 소리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각의 특징을 토대로 비교하였으며 유사한 사설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고유의 선율진행과 특징을 알 수 있었다.;Pansori, a traditional Korean epic chant, has first emerged during the mid Joseon era, featuring unique musical tune created based on local folk melody. It was developed especially among schools, so that it has been passed down by school while dividing into Dongpyeonje Pansori(Eastern School) and Seopyeonje Pansori(Southern School) by the Sumjin River. Currently five episodes(madang) based on traditional folktales remain after numerous changes in details, which include Chunhyang-ga, Shimcheong-ga, Heumgbo-ga, Jeokbyeok-ga and Sugung-ga. This study selected Bak Taryeong from Heungbo-ga, the story of two brothers of good-natured Heungbo and greedy Nolbo, to analyze and compare the melodies of its two different styles of Dongpyeonje and Seopyeonje. There are three Bak Taryeong. Park Nok-ju's version sung by Han Nong-sun is chosen as an example of Dongpyeongje-style melody while Kim Chang-hwan's version sung by Park Dong-jin is chosen as that of Seopyeonje-style melody. The narrative parts are similarly made by both Han Nong-sun and Park Dong-jin. But Park's narrative is more explanatory with more details, so his tune is longer than that of Han. And each singer's narrative has different order of lines. Both use gaemyeon-jo scale of e - (g) - a - b - c’ - (d’) by occasionally adding woo-jo made up of g - a - c’ - d’ - e’ in the middle of the song. Han Nong-sun mostly sings based on gaemyeon-jo in the lower register and uses deep voice for the main notes a and e within the relatively narrow vocal range at an interval of the Perfect Fifth. The song starts with a melody a and often runs through a - c’, but melodic decorations and living tones are rarely used, producing monotonous melody. It is also played in a sequential melody of relatively long rhythm including a quarter note or a dotted note, with short melody of a sixteenth note intermittently heard. Meanwhile Park Dong-jin sings based on gaemyeon-jo, but woo-jo is often applied to numerous parts of the song. Therefore the main notes g , c’, d’ and as well as other notes d - g or g - c’ are often played in his song compared to Han Nan's. In addition, a broad vocal range beyond one octave is often performed so that skips are more frequently used compared to Han's song, and using these skips like a major seventh and one octave deliver richer melodic feel. Living tones and decorative melody are frequently played across the song and they help the consequential flow of main notes. Also short rhythms consisting of a eighth note and a sixteenth note add more embellishing sound. In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melody of Bak Taryeong from Heungbo-ga using the versions sung by Han Nong-sun and Park Dong-jin to compare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different unique melodies flow based on similar narrat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