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남·여창 가곡의 대금선율 비교 연구

Title
남·여창 가곡의 대금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melodies about dae-gum in maleㆍfemale songs of Gagok : focused on nong, nak, pyeon
Authors
김승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The study of the melodies about dae-gum in maleㆍfemale songs of Gagok - focused on nong, nak, pyeon - Lyrics, was called ‘Man.nyun.jang.whan.ji.gok’, are largely sung with five chapter form along with reciting korean poem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se lyrics have remained in the twenty six pieces which were divided by wu minor (the highest note of the korean pentatonic scale), gyemyun minor, half-wu and half-gyemyun minor. Referenced from the former papers, because of the lack for the thesis which investigated the tune name and the melody of the dae-gum, the purpose of this thesis targets on the comparison of the dae-gum tune of the men and women voice. Among the present lyrics, the tunes belong to ‘nong.nak.pyun’ with the men and women voice are four as pyungrong, woorak, gyerak, pyunsoodaeyup, and these four lyrics with the men and women voice have the melody of dae-gum with which I survey the structure of the pieces and the words and compare the tune of common and uncommon to study how the dae-gum melody changed by the process of the tune. This is the result of the this study. First, the structure of the tune in four lyrics are the different in length between men and women voice. Namely, women voice in pyungrong was longer; twenty bits in chapter three, thirty bits in chapter five. Among four lyrics, pyungrong and woorak was more longer in women voice that in men voice, and gyerak and pyunsoodaeyup was more longer in men voice that in women voice. Secondly, when survey the words by the length of the tune, accompaniment was elongated along the increasing of the words. But among four lyrics, words and accompaniment are not always agree with each other. The word was same but the word was not in the second chapter of pyungrong. While the tune of the second and fifth chapter of woorak was same, but the word was not, the wor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hapters were same, but the word was not. It is noticed that the length of the tune and the word are increased usually, but it is not always agree with. Third, when looked into the appearing tune, voice range of men voice in pyungrong were '람(남)-黃-太-仲-林-無-潢-汰-중(충)-淋' and voice range of women voice in pyungrong is '람(남)-憮-黃-太-仲-林-南-無-潢-汰-중(충)-淋' in which '憮' and '南' were added. The voice range of men and women voice in woorak were '람(남)-남-黃-太-仲-林-南-潢-汰-중(충)-淋-湳', and The voice range of men and women voice in gyerak were '람(남)-黃-太-仲-林-無-潢-汰-중(충)-淋'. The voice range of men and women voice in pyunsoodaeyup were ‘람(남)-黃-太-仲-林-無-潢-汰’. Besides pyungrong, the appearing tune in woorak, gyerak, and pyunsoodaeyup was same, the dae-gum was various and richly changing in two octave ranges. Fourthly, it is survey the common and uncommon tunes based on the appearing tune. The common tune here was same with the appearing major tune in the same bar of men and women voice and this common tunes were defined as the same tune or similar tune. The uncommon tune was not the same with the appearing major tune in the same bar of men and women voice and the melody with this uncommon tunes was defined as the different tune. There were 70.29% of common tune and 29.71% of uncommon tune in pyungrong. There were 80.75% of common tune and 19.25% of uncommon tune in woorak. There were 99.14% of common tune and 0.86% of uncommon tune in gyerak. There were 93.64% of common tune and 6.36% of uncommon tune in pyunsoodaeyup. Among four lyrics the most common tunes are in pyungrong(29.71%), woorak (19.25%), pyunsppdaeyup (6.36%), gyerak (0.86%), and pyungrong has the most uncommon tune in process and the next is woorak, pyunsoodaeyup and gyerak in order. As the result of the survey, four lyrics are different in dae-gum melody for men and women voice, but there are many similarity among them as they have the same tune name. Similar tunes are same, but add in grace notes and a little change, not in a large scale. In the similar tune, men voice was sung in high range that in women voice and this is because men voice with high accompaniment of the dae-gum and women voice with low accompaniment of the dae-gum interactively. Thus, the accompaniment of the dae-gum varies by men and women voice.;가곡은 ‘만년장환지곡’이라고도 하며 시조시를 얹어서 노래하는 5장 형식의 성악곡으로 조선 조 후기 중인계층을 중심으로 널리 불리웠다. 이런 가곡은 우조와 계면조 그리고 반우반계조로 나뉜 26곡의 형태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선행논문을 보면 가곡의 남창과 여창이 같은 이름으로 된 악곡명의 대금선율을 비교, 분석하는 논문이 미흡하기에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악곡명의 남창과 여창 가곡의 대금 선율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가곡 중에서 남창과 여창이 중복되는 ‘농⋅낙⋅편’ 에 속하는 곡목은 평롱, 우락, 계락, 편수대엽의 4가지로서, 이 4가지 가곡의 남창과 여창 대금선율의 악곡구조와 사설을 살펴보고, 출현음을 토대로 공통음과 비공통음을 서로 비교하여 음의 진행에 따른 대금선율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며 달라지는지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로, 악곡구조는 4가지 가곡에서 남창과 여창의 악곡 길이가 다르다. 즉, 평롱은 여창이 제1장에서 3박과 제3장에서 16박이 더 길고, 우락은 여창이 제3장에서 32박이 더 길다. 계락은 남창이 제5장에서 6박이 더 길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편수대엽은 남창이 제3장에서 20박, 제5장에서 30박이 더 길게 나타났다. 4가지 가곡 중에서 평롱과 우락은 여창이 남창보다 길고, 계락과 편수대엽은 남창이 여창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악곡길이에 따른 사설을 장별로 살펴보았더니, 사설 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장단도 함께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설의 자수가 늘어나도 장단과 사설 자수의 변화가 모두 일치하지는 않아 이에 대한 장단과 사설붙임을 보았다. 결과적으로 평롱 제2장의 남⋅여창 장단은 동일하나 사설붙임이 달랐다. 우락은 제2⋅5장의 장단은 같으나 사설붙임이 달랐고, 계락은 제1⋅2⋅3장의 장단은 같으나 사설붙임이 달랐다. 이것은 사설의 길이에 따라 장단도 함께 늘어나지만 사설붙임에 따라서 사설 자수가 많아도 반드시 장단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셋째로 출현음을 보면, 평롱에 쓰이는 남창의 음은 '람(남)-黃-太-仲-林-無-潢-汰-중(충)-淋'이고, 여창의 음은 '람(남)-憮-黃-太-仲-林-南-無-潢-汰-중(충)-淋'으로 남창과 달리 '㒇'와 '南'이 추가되었다. 우락에 쓰이는 남⋅여창의 음은 ‘람(남)-남-黃-太-仲-林-南-潢-汰-중(충)-淋-湳’이고, 계락에 쓰이는 남⋅여창의 음은 '람(남)-黃-太-仲-林-無-潢-汰-중(충)-淋'이다. 편수대엽에 쓰이는 남⋅여창의 음은 ‘람(남)-黃-太-仲-林-無-潢-汰’이다. 평롱을 제외한 우락과 계락, 편수대엽은 남⋅여창의 출현음이 동일하였고, 4가지 가곡의 남⋅여창 대금선율이 두 옥타브 음역대 안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선율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 선율비교를 알아보기 위해 출현음을 토대로 공통음과 비공통음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공통음이란 남⋅여창의 같은 마디선상에서 출현한 주요음이 같은 음으로, 이 공통음으로 구성된 선율을 동일⋅유사선율로 정의한다. 비공통음이란 남⋅여창의 같은 마디선상에서 출현한 주요음이 다른 음이며 이러한 비공통음으로 구성된 선율을 상이선율로 정의하여 이 두 가지를 살펴보았다. 평롱에서 동일⋅유사선율은 70.29% 그리고 상이선율은 29.71%를 차지하고 있다. 우락에서 동일⋅유사선율은 80.75%이고 상이선율은 19.25%를 차지하고 있다. 계락의 동일⋅유사선율은 99.14%이고 상이선율은 0.86%이다. 편수대엽의 동일⋅유사선율은 93.64%이고 상이선율은 6.36%인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가곡 중에서 상이선율이 많이 출현하는 순서로는 평롱(29.71%), 우락(19.25%), 편수대엽(6.36%), 계락(0.86%)으로 평롱이 비공통음의 진행이 많은 상이선율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은 우락, 편수대엽, 계락 순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