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쌓기놀이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쌓기놀이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Block Play Program on Counting Skills & Spati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uthors
강주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오늘날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이 정보를 올바르게 분석·판단하고, 자신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기위해 필요한 수학적 능력이 강조된다. 수학적 능력의 기초는 유아기 일상적인 경험들을 통해 형성되는데, 유아가 일상에서 직접 사물을 조작해보는 등의 수량과 관련된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지식을 일상적 수학 지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시각장애유아들은 실명으로 인해 경험의 범위와 다양성, 보행능력의 발달, 환경과의 상호작용, 모방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것으로 인해 일상적 수학 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개념 발달에 지체를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시각장애유아들에게 다양한 구체물을 활용하여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적절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수학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어왔다.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은 놀이활동이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에, 놀이가 유아교육 및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최근 유아 수학교육에서는 놀이가 수학적 개념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밝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놀이활동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유치원에서 놀이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영역 중 수학활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은 쌓기놀이 영역이며, 쌓기놀이가 유아들의 수학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증명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쌓기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것이 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A맹학교 유치부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학교 유치부에 재학 중인 만 4~5세 시각장애유아 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시각장애 외의 다른 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유치원 교육 이외에 별도의 수학교육을 받지 않으며, 사전검사를 통해서 또래에 비해 수학적 기본개념 습득이 지체되고 있음이 확인된 유아들이었다. 실험은 유치원 일과 중 개별지도 시간에 이루어졌다. 실험설계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 과정은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을 위해 모든 회기에 해당하는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녹화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10분간 대상유아들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단계에서는 매 회기에 이루어지는 중재의 단발성 효과가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초선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에 참여한 유아들의 수학능력을 먼저 평가한 후, 쌓기놀이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종료 4주 후에 기초선과 같은 조건에서 유지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쌓기놀이 활동을 중재로 적용함을 통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수세기능력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중재 종료시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쌓기놀이 활동을 중재로 적용함을 통해 시각장애유아의 공간능력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공간능력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중재 종료시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쌓기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유아들의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수세기능력과 공간능력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놀이가 시각장애유아의 수학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학습 수단이 됨을 증명하였고, 개별화된 교수 전략이 시각장애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며,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수학능력 관련 연구를 시각장애 유아에게까지 확대했다는 의의를 지닌다.;In this stud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s. Participants are three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ged 4-5 years. All children are learned math which is in gener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did not receive advanced math curriculum. The result of pretests on participants confirmed that their development of basic math concepts have been delayed compared to pe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following procedur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equences. The evaluations of each session were videotaped for collecting data. During the baseline period, participating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ir counting skills and spatial abilities for 10 minutes, and no intervention was provid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counting skill and spatial abilities of children were initially evaluated. After then,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fourteen sessions of block play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the intervention.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inished, maintenance period was star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baseline peri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unt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were improved through the block play program. And improved counting skills were maintained tantamount to the level of last session of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Second, spati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were improved through the block play program. And improved counting skills were maintained tantamount to the level of last session of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This study clearly verifies that the block pla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and maintaining of counting skills & spati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lay is useful method for enhanc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nd expands the range of researches about mathematical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 whom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