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reat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바깥놀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에 대한 유아들과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를 위한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를 위한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인 햇살 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만 5세 학급 30명과 교사이다. 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수립하고자 교육과정을 기초로 연구자의 학급에서 실시되었던 바깥놀이 실태를 분석하고, 동료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본원의 바깥놀이 공간을 점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9월 5일부터 10월 21일까지이며, 바깥놀이 환경 개선 및 학교 내 다양한 놀이 공간 활용하기와 텃밭 가꾸기 및 자연물을 활용한 놀이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구는 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가 실시하였으며, 이를 녹화 및 전사하여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이 외에도 연구자 저널, 교사면담 자료, 교사 협의록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 바깥놀이를 효과적으로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환경 측면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바깥놀이 환경 개선을 추진하고, 유아 측면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교사 측면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생활 주제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여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동료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바깥놀이터 시설 공사를 계획하고 여러 차례의 협의회 과정을 거쳐 바깥놀이 영역을 재배치하고 시설 설비를 개선하여 다양한 흥미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연체험활동 및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바깥놀이 환경 개선을 위해 텃밭, 수도시설, 놀잇감 정리장, 조형활동 영역을 위한 강화유리를 설치하고 안전에 맞지 않는 미끄럼틀 옆의 벽기둥을 제거하고 모래놀이터에 모래를 추가하였고, 자연체험활동을 위해 텃밭 가꾸기 활동 및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였으며,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충분한 시간을 통해 실시하였다. 1차 실행 결과 유아들이 활발한 신체 활동을 하며 운동 능력을 기르는 데는 여전히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가 있었으며, 교사 주도의 구조적인 계획에 따른 활동보다는 유아의 요구를 반영한 유아 주도의 비구조적인 자연체험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평가를 반영하여 유치원의 놀이터뿐만 아니라 학교 내의 다양한 공간(자연체험학습장, 강당 등)을 활용하여 실행하였으며, 본원의 특성에 맞는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 모든 실행은 유아와 함께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운영하였다. 둘째, 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들과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바깥놀이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증가하였으며, 바깥놀이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 또래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자연에 대한 호기삼과 관찰력, 자신감과 성취감이 증진되었으며, 생명 존중 의식이 향상되는 반응을 보였다. 교사는 감독자, 관찰자의 역할 이외에 공동놀이참여자, 무대 관리자, 놀이 지도자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다양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교사로서의 자존감 또한 증진되는 반응을 보였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and implement plans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and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o their operation.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re the plans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2. What kind of impact do the plans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have on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e subjects include a class of five-year-olds at Sunshine Kindergarten annex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ir teacher.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sessions of outdoor play given to her own class based on the curriculum, interviewed peer teachers, and reviewed and analyzed the space for outdoor play at the kindergarten in order to set up plans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5 to October 21, 2011, during which an assortment of programs were administered including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outdoor play, utilizing various play spaces, attending the kitchen garden, and playing with natural objects. The research followed the order of identifying problems with outdoor play among five-year-olds, searching for solutions, implementing the first round of solutions, assessing the first implementation, searching for the second round of solutions, implementing the second round of solutions, and assessing the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educational activitie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m, and wrote a field note. In addition, she collected, categorized, encoded, and analyzed researcher's journ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collaboration journal among teacher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veral measures were taken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was improved to tackle the most urgent issues with environment; activities of nature experience were provided tackle the issues related to young children; and various activities were planned according to life topics and enough time was given for implementation to tackle the issues concerning teachers. The first implementation involved planning facilities construction for outdoor play by consulting peer teachers, rearranging the areas of outdoor play based on agreement through several meetings, improving facilities and organizing them into various interest areas, and offering a variety of activities according to life topics in addition to activities of nature experience. The specific measures taken include creating a kitchen garden, installing water supply facilities, and building a cabinet for to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outdoor play, installing reinforced glass, removing the wall pillar next to the slide not serving any safety purposes, and adding more sand to the sandbox to provide space for formative activities, and administering programs of attending a kitchen garden and using natural objects and allocating enough time to those various activities according to life topics to promote activities of nature experience.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it became clear that there were still problems with space limitations, which made it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o engage in active physical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exercise skills. Thus a need was raised to provide young children-centric non-structured activities of nature experience reflecting their needs rather than teacher-centric activities according to a structured plan. By reflecting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second implementation utilized various spaces(for instance, the area for nature experience and study and the auditorium) on the premise of school in addition to the kindergarten playground, administered programs of activities of nature experience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and involved young children in all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respons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o the plans to effectively run outdoor play for five-year-old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young children increased their concern and interest in outdoor play, improved emotional stability, collaborative interactions with peers, curiosity and observation of nature,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outdoor play, and enhanced their respect for life. Meanwhile, the teacher increased h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various teacher roles and boosted her self-esteem as a teacher, playing a bunch of different roles including joint participant in play, stage manager, and play instructor as well as supervisor and observ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3 II.이론적 배경 4 A.바깥놀이의 교육적 가치 4 B.바깥놀이에서의 교사 역할 7 C.선행 연구 9 III.연구 방법 12 A.실행 연구 12 B.연구자 배경 13 C.연구 대상 14 D.연구 절차 16 E.자료 수집 및 분석 24 IV.연구 결과 26 A.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26 B.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들과 교사의 반응 47 V.논의 및 결론 64 A.논의 64 B.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4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868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Effective Ways to Outdoor Play For Five-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Cho, Sung Eun-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