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Implementation Study o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Authors
안정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and implement plans to effective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and to investigate changes to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response to the plans.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re the plans to effectively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2. What kind of changes do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show in response to the plans to effectively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subjects include ten five-year-olds in the Edu-care program in the Sun Class at Sandeul Kindergarten, a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teacher. In an attempt to set effective plans for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existing teaching plans for discussion activities and concerned footage, identified their problems along with the current state, and conducted literature study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based on the problems recognized.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uly 5 to October 23, 2011.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with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searching for solutions, implementing and assessing the first round of solutions, searching for the second round of solutions, implementing and assessing the second round of solutions, and evaluating the first and second round of solution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educational activitie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m, and wrote an observation note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The investigator also collected, categorized, encoded and analyzed teacher's journal,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and questionnaire responses of parent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s with the existing discussion activities were identified to find effective plans to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The first round of solutions to resolve them included activities to help young children understand the concepts and methods of discussion activities, practice of discussion skills, and implementation of methods of discussion less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of discussion activities. Also devised and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activities were effective questions and scaffolding methods so that young children would take more active part in discussion activities. After the first round of solutions, such problems were identified as improper allocation of time to discussion activities and lack of practice of discussion skills. There was a need to find solutions applicable to daily life and effective plans for the teacher to perform her ro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round of solutions included such specific plans as allocating discussion time properly, engaging young children and parents in the selection of discussion topics, making a list of questions with young children, and setting rules and criteria for the teacher in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changes to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 were also examined in response to the effective plans to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for five-year-olds. As a result, the young children were able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methods of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repeated discussion activities and approached solutions by experiencing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various discussion activities. They also actively practiced the communication and social skills expected during discussion activities in an increasing fashion. Their teacher had her confidence boosted in giving discussion lessons by increasing her understanding of methods to give lessons on discussion activities and improving her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for discussion activities and lessons. She also systemized a series of teaching methods from selection of discussion topic to evaluation of discussion activities by studying and reviewing discussion activities. Those changes to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response to the plans to ru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indicate that the plans devised and implemented for five-year-old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und were effective.;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들과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들의 효과적인 소집단 토의 활동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들의 효과적인 소집단 토의 활동의 운영에 따라 유아들과 교사는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인 산들 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5세 해반의 에듀케어 유아 10명과 교사 1명이다. 만 5세 유아들의 효과적인 소집단 토의활동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기존 토의활동의 수업안과 동영상 분석을 통해 활동 시 나타나는 현황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인식에 따른 방향 모색을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기간은 2011년 7월 5일부터 2011년 10월 23일 까지 이다.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 인식,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2차 실행방안에 대한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했으며 이를 녹화 및 전사하여 토의관찰을 작성했다. 이외에도 교사 저널, 유아 면담 자료, 부모 설문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연구 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찾기 위하여 기존 토의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차 방안으로 토의활동의 개념 및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 토의 기술 연습, 토의활동 기준 선정 및 실행 절차에 따른 토의 수업 방법을 실천했다. 또한, 유아들이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토의활동이 될 수 있도록 토의활동 과정에서 효과적인 질문과 비계설정 방법을 수립하여 실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1차 실행과정에서 토의활동시간 배분의 적정성에 대한 문제와 토의기술 연습의 부족, 실생활에서 문제해결 방법을 찾기와 효과적인 교사 역할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어 2차 실행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2차 실행 방안으로는 토의시간 적정하게 배분하기, 토의 주제 목록 선정에 유아와 학부모 참여, 유아와 함께 질문 목록 작성하기, 토의활동에서 교사가 지켜야 할 규칙과 기준 정하기 등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둘째,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통한 유아들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아들은 거듭된 토의활동을 통해 토의활동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이해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다양한 토의활동을 통한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하면서 문제해결을 위한 해결책에 접근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토의활동에서 기대되는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교사는 토의활동 수업 방법에 대한 이해력 신장과 함께 토의 활동에 관한 관점과 수업방법기술이 향상됨으로써 토의 수업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토의활동에 대한 연구와 고찰을 통해 토의 주제 선정부터 토의활동 평가 과정까지 교수방법을 체계화시켰다. 소집단 토의활동 운영 방안에 대한 유아들과 교사의 변화는 1, 2차 실행을 통해 계획하고 실행한 만 5세 유아들을 위한 소집단 토의수업방안이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