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휘-
dc.contributor.author석하림-
dc.creator석하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1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일제시기 조선 화교 사회의 성장과 상업에서의 번영을 살펴보고, 그 발전의 동력을 화상(華商)의 금융네트워크에서 찾아본다. 개항기 조선으로 진출했던 화교들에게 일본의 조선 강제 점령은 활동 공간의 변화와 더불어 그들의 경제활동 및 생활의 변화를 의미한다. 화교들은 조선총독부의 의도적인 화교 규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무역과 상업을 중심으로 성장한다. 초기 화교 사회는 청 정부의 지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었으나, 일제시기 화교 사회의 성장은 중국 정부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화교 사회 자체의 동력에 의해 가능했다는 것을 이들의 금융네트워크에서 찾아보고자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조선 화교 사회의 형성에 대해 살펴본다. 19세기 후반 <임오군란>을 전후로 청과 일본은 조선에 대한 패권을 획득하기 위하여 서로를 견제하고, 조선 개입의 정당성을 얻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조선에 화교 사회가 세워지기 위해 청 정부는 청상들에게 물질적인 지원 뿐 아니라 조선과의 장정 및 조약 체결로 제도적 기반까지 마련해주었다. 초기 화교 사회는 19세기 말 동아시아 국가 간 관계의 변화라는 배경과 함께 청 정부의 조선 진출에 대한 대대적인 지지와 지원이 더해져 빠른 기간 내에 화교 사회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화교 사회의 성장은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위축되었으나, 화교 중에서도 상인들의 활동으로 사회가 회복되었다. 일제시기에도 화교 사회는 점차 성장했지만, 1931년 만보산 사건을 시작으로 조선 내에 화교에 대한 배척의 물결이 일어나면서 많은 화교들이 목숨을 잃고, 다수의 화교들이 본국과 제 3국가로 이주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조선 화교 사회의 중심이었던 무역과 상업 활동에 주목한다. 화상들은 조-청(중) 무역으로 시작하여 조선 내지 시장으로의 활발한 진출을 이루어내면서 조선의 상업과 경제에도 영향을 주었다. 개항 이후 화상들은 그들이 가진 상업적 기술을 발휘하여, 먼저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 상인들을 앞질러갔다. 이러한 화상의 성장은 일제시기에 들어와서도 계속되었는데, 일본인 상인과 조선인 상인에게 각성을 일으킬만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성장에 조선총독부는 화교 사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정책적 제재를 가했다. 이들의 부동산 소유와 거주지를 제한하고, 화상의 주요 거래품목 중 하나였던 비단 등에 사치품 관세를 높게 적용하는 등 화교들의 세력을 견제하려했다. 조선총독부의 이러한 정책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화교 사회는 만보산 사건을 전후로 한 화교 배척이 본격화되기 이전까지 성장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해방 전후로 한국에서의 화교 사회는 다시 발전의 길을 걷게 된다. 화교 사회의 형성 초기에는 본국 정부의 지지가 기반이 되었으나, 청일전쟁 이후 법적·제도적 보호가 상실된 상태에서도 발전할 수 있었던 원인은 외부적 요인이 아닌 화교 사회 자체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제시기 화상의 성장에 대한 원인을 살펴본다. 다양한 측면에서 그 원인을 살펴볼 수 있겠으나, 본 논문에서 원인으로 제시하는 것은 화상들의 금융네트워크이다. 그 중에서도 이들 자본 융통 방법에 주목하여 중국의 전통 금융기관의 활용과 조선의 일반은행을 활용한 두 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첫째는 오랜 역사를 가졌지만 청대 다양한 화폐의 취급에서 발전한 전장제도의 활용이다. 이주민이자 외국인인 화교의 신분으로 이주지역의 금융제도나 기관을 이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화교의 광역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이주국의 제도에 접근하는 것 보다 큰 규모의 자본을 마련하고 융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장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로 이들은 이주국인 조선의 일반은행들을 통해 대출을 받았다. 중국 전통의 금융기관을 활용하는 것은 규모가 큰 자금을 낮은 금리로 마련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이주민이 항상 본국의 금융기구를 활용하는 것은 유동성 등의 제약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화상들은 조선의 일반은행들과 거래관계 뿐 아니라 친밀한 관계를 가지려고 노력했다. 은행대출에 있어서도 신용을 바탕으로 한 금융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중국인의 고유한 특징을 나타냈다. 대출액과 보증인들을 기록한 자료에 따르면 화상들은 대출 시에 서로 보증인이 되어 연대책임을 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조선인 상회들과도 어음 수수관계를 가지고 자금을 융통했다. 일제시기 조선 화상의 경제적 성장에는 화교 사회가 가진 특질이 작용하였다. 조선 화교들은 산둥성 출신 화교들을 중심으로 한 인적 네트워크를 무역과 상업에서 활용하였다. 또한 상업 자본의 융통에 있어서는 본국과 이주국의 시스템을 두루 활용하였다. 이주민의 신분은 법적·제도적 제약이 많은데, 그것을 극복하고자 본국의 제도와 이주국의 제도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했던 것이다. 기본적으로 자본의 융통은 화상들 간의 신용관계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화교 사회의 네트워크와 상호부조(相互扶助)라는 장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신뢰 관계’는 화교 사회 유지의 원동력이 되었다. 중국인 특유의 유대와 상호 신뢰가 경제 활동과 연계되어 신용을 창출하고, 화상들 간의 협력으로 강고한 상업 자본을 형성했던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cause of Joseon overseas Chinese (Huaqiao; 華僑)’s social and commercial development through their financial network. Huaqiao moved to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under the governmental support of Qing.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mplied enormous change of their subsistence and commercial activities. In spite of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s intentional regulatory policy, Huaqiao grew in trade and commerce. In the beginning, Huaqiao society was formed under the governmental support. However, their growth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was based on their internal power, mainly their financial network among themselves. At first, this research analyzes the formation of Huaqiao society. In the late 19th century, Qing and Japan made an effort to assume the hegemony of the Joseon. The East Asian paradigm shift in the 19th century and governmental support of Qing affected the growth of the early period of the Huaqiao Society. After the Sino-Japase War of 1894, Qing’s support was broken but Joseon Huaqiao community continued to prosper. Their expansion in population and commerce maintained into 1920s, but in the 1930s in Joseon, there was a movement to ostracize Huaqiao. Numerous Huaqiao were killed and their remains were moved to their own country or the other.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rade and commerce of Huaqiao, which was the core of Huaqiao society. Chinese merchants (Huashang; 華商) had an huge effect on Joseon economy, Joseon-Qing(China) trade and commercial transaction in Joseon inland market. From trading to selling, they ran their business based on inner networks. Their business ability awakened Korean and Japanese merchants.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vestigated the economic activity of Huashang in the 1910s and took sanction against them in 1920s. Their prosperity, however, sustained until the end of 1920s. This development in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early period of Huaqiao society, in the aspect of governmental upholding. Finally, this paper looks through the financial network among the Huaqiao, to explanation their growth in 1910s and 1920s. Huaqiao utilized two ways to raise their trading capital; the unincorporated bank (Qianzhuang; 錢莊) and the banking system in Joseon. The Qianzhuang was the traditional Chinese banking system, which was operated by 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ercial credit. Qianzhuang preferred to draw a bill based on trust between drawer and acceptor rather than a mortgage or a guarantee. Additionally, Huashang loaned money from the bank in Joseon, lent money and give security for each other.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commercial credit between Korean merchants through the banking system in Joseon. In conclusion, their financial network caused the economic growth of Joseon Huaqiao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Huaqiao utilized their inner networks in trade and commercial activities. Additionally in their way to finance an enterprise, they utilized their traditional system and the institution in Korea. They tried to overcome their legal restriction and institutional limitation as foreigners or immigr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의의 2 1. 트랜스내셔널리즘, 디아스포라 연구 2 2. 한국 화교 연구 5 C.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8 1. 연구 방법 8 2. 논문의 구성 9 Ⅱ. 조선 화교의 형성과 발전 10 A. 19세기 후반 동아시아 세계와 청국인의 조선 진출 10 1.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와 조선 10 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체결 11 B. 내지정주 확대와 조선 화교 사회의 형성 13 1. 조계지 설치와 내지정주의 확대 13 2. 일제시기 조선화교의 성장 17 Ⅲ. 조-중 무역의 발달과 화상(華商)네트워크 20 A. 조-중 무역의 발달 20 1. <무역장정> 체결과 교역의 증대 20 2. 조-중 무역의 발달 23 B. 내지 화교 상업 네트워크 26 1. 화교 상권의 확대 26 2. 화상조직의 특징 31 3. 화교 포목상 네트워크 33 Ⅳ. 일제시기 조선 화상의 금융네트워크 36 A. 중국의 전장(錢莊)제도를 활용한 자금의 융통 38 1. 중국의 전장제도 38 2. 화상의 전장제도 활용 41 B. 조선의 일반은행을 통한 자금의 융통 43 1. 화상과 일반은행과의 관계 43 2. 화상의 일반은행에서의 대출 44 가. 한일은행 46 나. 조선상업은행 48 Ⅴ. 결론 54 참고문헌 57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52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제시기 조선 화교의 금융네트워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10-20년대 화교상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Financial Network of the Joseon Overseas Chines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Focusing on the Overseas Chinese Merchant in 1910s-20s-
dc.creator.othernameSeok, Ha-Rim-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