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천혜정-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creator이보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2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others’ values on their children and famous imported brands influence on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For thi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hers' values regarding their children and famous imported brands are set up as independence and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are as dependent variable. This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when I look into the purchasing condition of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it appears that on average, they purchase less than 5 to 9 times per year/ less than a hundred thousand Korean won per purchase. Generally, they purchase such as lotions, bath stuff, clothes, and toys though internet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Most of the time, they purchase from internet clubs or get information from their friends. Secondly, I search on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values on their children and famous imported brands, and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turns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their instrumental and affectionate worth of children, and mothers who have jobs have relatively higher degree of costs for their children than mothers who do not have jobs. It also turns out that mothers who have jobs have relatively higher passive worth of child birth than mothers who do not have job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regards to mothers' values on famous imported brands, and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30’s have relatively higher attitudes in purchasing items with functional and aesthetic pursuit than 40’s. Also, college graduate mothers have a higher average on attitudes in purchasing items with functional and aesthetic pursue than high school graduate mothers. Third, when I look at variables on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it appears that younger age of mothers have higher showing off purchasing attitude. Mothers who have higher income, more of affectionate worth of children, and higher value on famous imported brands, also have higher showing off purchasing attitude. When I search on variables that influence functional purchasing attitude, younger age, higher income, and higher affectionate worth of children lead to higher functional purchasing attitude and also higher value on famous imported brands influences to have higher functional purchasing attitude. In additional, variables that influence purchasing attitude with aesthetic pursuit, younger age, higher income, greater affectionate worth of children lead to higher purchasing attitude with aesthetic pursue. It also appears that higher value on famous imported brands influence to have higher purchasing attitude with aesthetic pursuit.;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및 브랜드에 대한 어머니의 가치관이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자녀 및 브랜드에 대한 어머니의 가치관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이에 따른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과천, 성남, 분당 등의 경기도지역과 전라북도 전주지역의 어머니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중 설문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거나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246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문항으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실태, 자녀에 대한 가치관,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의 구매태도와 관련된 문항으로 크게 5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직업, 수입, 자녀수 및 자녀성별로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실태와 관련된 문항으로는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빈도, 구매비용, 구매상품, 구매장소, 구매정보원, 구매브랜드를 묻는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관련된 문항은 총 45문항으로 하위변인 3가지로 나누었다. 자녀의 도구적․애정적 가치 26문항, 자녀에 대한 부담가치 11문항, 자녀출산의 수동적 가치 8개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을 묻는 문항으로는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에 대한 신뢰성, 품질, 디자인, 경제성, 기능성의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의 구매태도와 관련된 문항으로는 총 9개문항으로 하위변인 3가지로 구성되었다. 과시적 구매태도 3문항, 기능추구적 구매태도 3문항, 심미추구적 구매태도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coding)과 오류 점토작업(error checking)을 거친 후 SPSS for windows Ver.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에 관련된 구매실태를 살펴보면, 1년에 평균 5회이상~9회이하/ 1회 구매시 10만원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쇼핑몰과 백화점 등에서 로션 및 목욕 용품과 의류, 장난감과 같은 아이템을 가장 많이 구매하며, 대부분은 인터넷 동호회나 친구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 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 및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에 차이를 살펴보면, 자녀의 도구적·애정적 가치에 대해서는 사회인구학적 모든 변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녀에 대한 부담가치 정도는 직업이 있는 어머니의 경우가 직업이 없는 어머니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출산의 수동적 가치 또한 직업이 있는 어머니의 경우가 직업이 없는 어머니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과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 요소 중 기능적, 심미추구적 구매태도는 사후검증을 통해 30대가 4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미추구적 구매태도는 대졸 이상이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과시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입이 높은 경우,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관이 높은 경우 과시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가 높은 경우,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이 높은 경우 과시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구매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연령은 낮은 경우, 수입이 높은 경우,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관이 높은 경우 기능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이 높은 경우 기능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미추구적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은 경우, 수입이 높은 경우,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관이 높은 경우 심미추구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에 대한 애정적 가치가 높은 경우,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이 높은 경우 심미추구적 구매태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실태 5 B. 자녀 가치관 7 C.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9 1. 수입유명브랜드의 정의 9 2.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11 D.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 12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문제 15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6 C. 측정도구 18 1.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실태 18 2. 자녀 가치관 20 3.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23 4.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 24 D. 자료분석 26 Ⅳ. 연구결과 27 A.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실태 27 1. 구매빈도 및 구매비용 27 2. 구매품목 28 3. 구매장소 및 주요 정보원 30 4. 구매하는 브랜드 31 B.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 및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 33 1.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가치관 33 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도구적애정적가치 차이 33 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에 대한 부담가치 차이 35 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출산의 수동적가치 차이 36 2.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 37 3.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 38 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과시적 구매태도 차이 38 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기능적 구매태도 차이 39 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심미추구적 구매태도 차이 40 C.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41 가. 과시적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나. 기능적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다. 심미추구적 구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5 Ⅴ. 결론 및 논의 47 참고문헌 52 설문지 56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49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자녀가치관 및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이 수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mothers’ values regarding their children and famous imported brands, on their attitudes in purchasing famous imported brands of infant goods-
dc.creator.othernameLee, Bo Young-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