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예비체육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

Title
예비체육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aning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Authors
임지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2009년 도입, 시행된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봉사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본적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예비체육교사들은 교육봉사활동 기간 동안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 ‘예비체육교사들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봉사활동의 방향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준거적 선택(criterion-based selection)에 의하여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경험과 이야기를 심도 있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체육활동과 관련된 교육봉사활동을 실시한 4인의 예비체육교사를 최종 선정하였다. 심층면담과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교육봉사활동 계획서, 교육봉사 월별 활동 보고서, 교육봉사활동 감상 보고서, 교육봉사활동 기말 보고서, 교육봉사활동 체험 수기, 자기성찰노트 등의 문서 자료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현장 텍스트(field text)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그 안에서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 패턴, 줄거리(threads), 주제(theme) 등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로 재구성하는(Connelly & Clandinin, 2000)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 이야기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 간의 협력을 통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들은 같은 교육봉사활동이라는 활동을 각자 다른 환경 속에서 다르게 경험하였고, 그 안에서 느끼는 바 또한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예비체육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는 크게 ‘만남’으로 특징지어 살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의미는 아이들과의 만남이었으며, 두 번째 의미는 수업과의 만남으로 나타났다. 교육봉사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소통의 장이며, 둘째, 성장의 장이다. 처음으로 학생이라는 대상과 만남을 갖고 학교라는 교육현장 안에서 직접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이 모든 과정은 예비체육교사들에게 깊은 교육적 의미를 남기며 본인 스스로를 되돌아볼 수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이는 예비체육교사들이 교육봉사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한층 더 성장하고 성숙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현 교육봉사활동의 부족한 체제를 보완하고 보다 바람직한 교육봉사활동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대학, 교육봉사활동 기관 그리고 그들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의 역할이다. 대학 측의 교육봉사활동 사전 준비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교육적 이론에 근거한 교육봉사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수립이 요구되며, 대학 내 교육봉사활동 교과목을 담당 및 총괄하는 책임자가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봉사활동 기관의 역할이다. 교육봉사활동 기관의 교육봉사활동 제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확립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며, 인프라 측면에서의 지원 또한 필요할 것이며, 교육봉사활동 기관 내 교육봉사활동 담당 지도 교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과 교육봉사활동 기관의 협력이다. 서로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계획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봉사활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예비체육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를 결론지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봉사활동은 예비체육교사들에게 낯설음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자 익숙하지 않은 불편한 시도로 보여 진다. 둘째, 교사양성과정의 일환으로 새로이 제시된 교육봉사활동은 예비체육교사들에게 미래 경험하게 될 교육현장의 축소판으로서의 체험이라는 교육적 의미가 크다. 셋째,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봉사활동은 교육활동과 봉사활동의 적절한 조화관계로 드러났다. 넷째, 시행 초기 단계인 교육봉사활동 제도는 준비 단계에서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지원 체제가 제대로 조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ESA”) that was introduced in 2009,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activity and to provide a framework so as to be guidance for prospect ESA. The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would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from ESA?’, ‘what would b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SA?’, and ‘what would be the right direction of ESA to go forward?’ Narrative inqui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introduced to analyze the results. Four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by using criterion-based selection and provided with their experiences and stories of ES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documents that the preliminary teachers wrote, such as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protocols, monthly reports, review reports, term-end reports, experience memories, and self-reflection notes. Repetitive narrative patterns, threads and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as a research text(Connelly & Clandinin, 2000). Each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experienced the activity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their experiences were diverse and colorful. The meaning of the ESA can be characterized as "meeting.” The first meaning of the meeting is a meeting with students, and the second meaning is a meeting with classes. The first educational meaning of ESA is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meaning is a medium of growth. Through ESA wher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et with students and lead the classes at a real educational field for the first time, they spend educationally meaningful time and hav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It is educationally meaningful tha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velop a sense of teaching and become more mature through ESA. In order to compensate shortcomings of current ESA and provide blueprint for ESA, cooperation between academie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ESA is necessary. First, on the side of academies, creation of advance preparation education, establishment of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theory, and arrangement of a person in charge of the curriculum for ESA are essential. Second, on the side of organizations, recognition of ESA,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 teacher in charge of ESA are essential. Finally, academies and organizations should build a cooperative system so as for a systematic and effective ESA to be accomplished. In brief, the meaning of experience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rom ESA is as follows. First, ESA seems to be an uncomfortable attempt and challenge of new realm unacquainted to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ESA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firsthand experience in real education field. Third, ESA provides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combination of educational and service activities. Finally, ESA is in its initial stage and is showing insufficient support system from preparation stage to closing st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