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김빛나-
dc.creator김빛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2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리듬을 갖는 시·청각 자극에 대한 리듬 인식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E대학의 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20-32세의 성인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감각양식(시각, 청각, 시청각), 반응사지(오른손, 양손), 리듬 조건(등속, 가속, 감속)을 독립변인으로 한 삼원혼합 설계이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절대적 타이밍 오차와 상대적 타이밍 오차를 계산하여 리듬 인식 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Window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타이밍 오차에서는 감각양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시각 자극보다 청각과 시청각 자극에 대한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적 타이밍 오차에서는 감각양식과 리듬 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시각과 시청각 자극보다 청각 자극에 대한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속조건에서 가장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운동학습과 관련된 타이밍 기억과 리듬 교육에 있어서 청각 정보를 제공하거나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함께 제시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nsory stimulation(information: visual, auditory, audiovisual) with different rhythms on the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recognize rhythm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18 adult women ranging in age from 20 to 32, who were enrolled in th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 University in Seoul city. On this research, we used three-way mixed design that consists of the sensory modality and the complexity of four limbs and the rhythm condi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absolute timing error and relative timing error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analyzed the ability to recognize rhythms by testing the absolute timing error and the relative timing error in terms of the sensory modality(visual, auditory, audiovisual) and the complexity of four limbs(right hand, both hands) and the rhythm condition(constant velocity, constant-acceleration, equal and deceleration). For verifying a subject for this study, we calculated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 by using program of SPSS Windows 17.0, and we implemented three -way variance analysis(3-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at the .05 significance level. To sum up main result according to a subject for study as follow: First, in the absolute timing erro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sensory modality. The absolute timing error occurred least when auditory and audiovisual stimuli were presented, compared to visual stimulus. Second, in the relative timing error,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the sensory modality and rhythm condition. The relative timing error occurred least when auditory stimulus was presented, compared to visual and audiovisual stimuli. In addition, the relative timing error occurred least at a constant velocity. Based on this result, we expect that the research can provide a basic data for timing memory and education of rhythm in connection with motor learning and presenting both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will take positive eff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문제 2 C.연구 가설 3 D.용어의 정리 4 II.이론적 배경 6 A.정보처리와 운동수행 6 1.감각,지각 단계 6 2.반응선택 단계 7 3.반응실행 단계 7 B.기억과 운동수행 7 1.기억의 형태 7 2.명제적·절차적 기억 8 C.스포츠 수행의 타이밍 8 1.타이밍의 개념 9 2.타이밍과 리듬, 템포 9 D.운동의 협응 10 1.양손 협응 10 2.시간적 협응 11 III.연구 방법 12 A.연구 대상 12 B.실험 과제 12 C.실험 도구 12 1.시간인식능력 검사 프로그램 12 2.실험 장비 13 D.실험 설계 13 E.실험 절차 14 F.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15 1.자료 분석 15 2.통계 처리 16 IV.연구 결과 17 A.절대적 타이밍 오차 17 B.상대적 타이밍 오차 20 V.논의 24 VI.결론 및 제언 26 A.결론 26 B.제언 27 참고문헌 28 ABSTRACT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58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양한 리듬의 시·청각 자극에 대한 리듬 인식 능력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recognize rhythms depending on sensory stimulation with different rhythms-
dc.creator.othernameKim, Bit Na-
dc.format.pagev,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