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오디에이션학습이 음악인지능력과 음악수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오디에이션학습이 음악인지능력과 음악수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usic Class Applying Audiation Learning Theory on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Participational Level of Music Classes
Authors
고승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음악적 인지능력의 향상이 음악 수업의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음악 인지 능력의 중요성과 의미를 깨닫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표에 따라 설정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든의 오디에이션(Audiation) 학습이론이 음악 인지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둘째, 음악 인지 능력의 향상이 음악수업의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본 연구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해 실험연구를 설계하였으며, 그 대상을 중학교 1학년으로 하였다. 먼저,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표집을 위해 인천시 소재하는 2개의 중학교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1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총 503명의 학생들에게 음악 인지 능력과 음악 수업 흥미도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 도구로는 흥미도 설문지, 최은식 교수의 음악 인지 능력 검사, 현경실 교수의 한국음악적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동질성이 확보된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한 뒤 실험 집단은 연구자가 지도하고 있는 중학교의 학급으로 선정하여, 고든의 오디에이션 학습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3주간 실시하였다. 나머지 통제집단에서는 3주간 일반 수업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매개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과서의 제재곡 및 반주음악, 음악교실의 환경 및 교구 등의 물리적 환경을 일치시켰다. 3주간의 실험 적용이 끝난 후에 사후 검사로 음악 인지 능력과 음악적성, 음악 흥미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사전사후 검사지는 SPSS 12.0으로 처리하여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디에이션 학습이론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검사 결과 음악 인지 능력이 4.72점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1.52점 상승하였다. 사전검사 때 실험집단은 동질성은 확보되었으나, 음악 인지 능력 점수는 0.68점 더 낮았고, 한국음악적성 점수는 0.84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실험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는 실험집단이 음악 인지 능력이 2.56점 더 높았고, 음악적성검사에서는 2.52점이 더 높았다. 둘째, 사후 검사 결과 실험 집단은 사전 검사에서 음악전체 흥미도 검사점수 3.14점에서 3.92점으로 0.8점 상승한데 비하여 통제집단은 사전검사 점수 3.00점에서 사후검사 점수 2.98점으로 0.02점 하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 흥미도의 전체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되었음을 뜻한다. 셋째, 오디에이션 학습이론을 처치변인으로 하여 모두 향상된 점수를 보였던 음악 인지능력 변인과 흥미도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악 인지 능력(r=.229), 한국음악적성능력은(r=.239)로 흥미도와 95%의 신뢰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인지 능력의 향상은 음악수업의 흥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 학습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음악 인지능력의 향상과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때, 학생들의 음악 인지적인 능력을 향상시킨다면 음악을 보다 더 이해하고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의 음악 인지능력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인지능력의 향상을 위해 고든의 오디에이션 학습이론의 적용이 보다 활성화 되어 학생들의 음악 인지능력 및 음악수업에 대한 흥미도의 향상에 기여하기를 바래본다.;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participational level of music classes to determine its importance in more constructive manner.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ts seek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ordon's Audiation theory to musical cognitive ability. Second, it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participational level in music classes. The present study has constructed a research design with a survey instrument for seventh grade students in music class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school district and Kyonggi Providences for the total of 503 students. For survey instrument, the present study utilitses the previous studies on musical cognitive ability of Professor Choi Eun Shik and Hyun Kyung Sil. The survey took about 3 weeks to implemen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o allow pre and post observations.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 regular music class lessons,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lesson plan based on Gordon's audiation format. Afterward, both groups' were evaluated on musical cognitive ability, musical affinity, and musical interested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version 12.0. The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at in comparing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 audiation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creased to 4.72 points while the control group has increased to 1.52 point, showing a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the musical aptitude score has improved by 2.56 and 2.52 points, respectively. Second, the musical interestedness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14 to 3.92 point while for the control group has decreased from 3.00 to 2.98 point. This result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 their musical interestedness. Third, in analyzing the Gordon's Audiation theory and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interestedness, the present study finds musical cognitive ability has moderation relationship (r=.229) and musical aptitude (r=.239)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95% level of confidence. Thu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mproving student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their interestedness in music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