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중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교수태도 및 불안 연구

Title
중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교수태도 및 불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Authors
성찬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For a high quality secondary education in every field of science,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an useful advice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134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were fine. Subscales of attitude toward teaching were fine as well, but 'Time to teach' subscale was relatively 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jors of teachers in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Need for Science' subscale(p< .05), especially between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and Biology. Teachers who have a degree of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whereas teachers who majored Biology have th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So, teachers who majored Biology should improve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through trainin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other variables like gende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Seco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were normal. But if we consider that the subjects were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have mean thirteen-year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could be regarded high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major, gende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But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teachers who have a degree of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low trait anxiety about teaching non-major fields of science, and also they hardly have fear about holding an event of non-major fields of science(p< .05, p< .01). To decrease second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they should be given many chances to study every fields of science. Thir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r=-763, p< .01). Also,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very subscale of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p< .05, p< .01). So, teachers have to improve their attitude toward teaching to decrease their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who have a degree of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Therefore,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s strongly required. For example, pre-service teachers are encouraged to be specialized in at least two degrees of science. Also, qualitativ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 In addition, future research can investigate high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bout non-major fields of science.;2011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융합형 과학’은 기존 과학교과의 개념들을 재구성하여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내용이 융합되어있는 과목이다. 분과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려는 융합형 과학의 취지를 잘 살리기 위해서는 우선 중학교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분야의 학습이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교수불안 감소와 긍정적인 교수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중학교 과학교사 134명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을 조사하여 교사 변인(전공, 성별, 학력,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는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영역인 ‘교수 상황의 안정감’, ‘과학의 중요성 인식’,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 영역도 양호하였으나 ‘수업 준비’ 영역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는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p< .05) 각 전공 이외에 공통과학을 복수전공한 교사들의 교수태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생물전공 교사들은 가장 낮게 나타나 다른 과학 분야의 복수전공을 장려하고 현직교사 연수를 강화하여 생물전공 교사들의 교수태도를 함양시킬 필요가 있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는 성별,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불안은 보통 수준이었으나 평균 교직 경력이 13년 이상인 것을 감안한다면 이는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불안은 전공과 성별,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문항분석 결과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은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불안과 타전공 과학 영역과 관련된 과학 행사 주최에 대한 불안이 다른 전공보다 낮게 나타났다(p< .05, p< .01). 따라서 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교수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이 다른 과학 분야를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셋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763, p< .01).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의 모든 하위영역들 사이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05, p< .01). 따라서 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교수태도 함양을 통해 교수불안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의 교수태도가 다른 전공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과학교사양성과정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을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복수전공을 장려할 필요가 있으며 현직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대학원 진학을 장려하고 연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에 대해 차후 교사와의 면담 및 수업관찰 등을 통한 질적 연구 수행으로 정확한 교수불안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탐색해야 한다. 또 융합형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