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신은경-
dc.creator신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에 의한 뇌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를 조사하여 학습자 특성(성별, 계열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뇌 유형과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뇌 유형에 따른 과학 학습 동기의 차이를 조사하여 학습자를 고려한 효율적인 교수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유형 검사 도구는 공감지수(EQ-Short)와 체계화지수(SQ-Short)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는 SMQ(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검정, t-검정,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하였고, Scheffé의 사후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뇌 유형은 균형형(Balanced type, 58.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체계화형(Systemizing type, 17.3%), 공감형(Empathizing type, 15.2%)이었다. 가장 많은 균형형을 제외하면 남학생의 경우, 체계화형이 공감형보다 많았으며, 여학생은 공감형이 체계화형보다 많았다. 인문계 학생의 경우, 공감형이 체계화형보다 많았으며, 자연계 학생은 체계화형이 공감형보다 많았다. 그러나 성별과 계열에 따른 뇌 유형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는 평균 3.02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성별 간 차이는 없었다(p>.05). 계열에 따라서는 자연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가 인문계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p<.01). 셋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뇌 유형과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간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이 있었다(p<.01). 하위 영역별로는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자기 관련성, 자기 효능감, 자기 결정 영역이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p<.01), 시험 불안은 매우 낮은 상관을 보였다(p<.05). 넷째, 뇌 유형에 따른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는 체계화형이 균형형, 공감형보다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는 자기 관련성,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체계화형은 균형형, 공감형보다 개인적인 목표를 위해 과학을 공부하며, 과학 학습을 좋아하고 자신의 진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 이는 체계화하기 능력이 요구되는 과학 학습에 체계화형의 성향이 부합하여 과학 학습에 높은 동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gh school students' brain type and the motivation to learn science. The subjects were 286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However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243 students' responses except 43 inappropriate answers. This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implemented Scheffé's multiple range test by means of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Balanced type(58.4%) was the highest among 3 types, the Systemizing type(17.3%) was the second highest and the Empathizing type(15.2%) was the lowest. Exclusive of the Balanced type, the number of the Systemizing type is higher than the Empathizing type in male students case and vice versa in female students case. Exclusive of the Balanced type, the number of the Empathizing type is higher than the Systemizing type in humanities students case and vice versa in science students case. But the Pearson 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05) in accordance with sex and department respectively. Second, the motivation in learning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not significant(p>.05). As for department, the motivation to learn science of scienc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science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the motivation to learn science than humanities students. Third, there was a medium positiv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on science and the brain type(by D scores)(p<.01). This meant that in sample students with a Systemizing type tended to learn science more for its own motivation than sample students with the Empathizing type. Finally, Systemizing type had higher level of the motivation to learn science than Balanced type and Empathizing type(p<.01). Among areas of the motivation to learn scienc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dimensions of personal relev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p<.01).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d charateristics of the Systemizing type had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of science study that needed the systemizing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3 C.연구의 제한점 3 II.이론적 배경 4 A.뇌 유형 4 1.좌뇌와 우뇌의 기능 분화에 의한 뇌 유형 4 2.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에 의한 뇌 유형 6 B.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11 1.동기의 개념 11 2.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11 3.자기 조절 학습 동기 12 C.선행 연구 15 1.뇌 유형에 대한 선행 연구 15 2.과학 학습 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16 III.연구 방법 및 절차 19 A.연구 대상 19 B.연구 절차 19 C.검사 도구 21 1.공감지수-체계화지수 검사지 21 2.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검사지 22 D.자료의 처리 및 분석 24 IV.연구결과 및 논의 25 A.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에 의한 뇌 유형 25 B.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30 C.뇌 유형과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의 상관관계 분석 34 D.뇌 유형에 따른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35 V.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0 부록 49 <부록 1>공감지수 검사지 49 <부록 2>체계화지수 검사지 52 <부록 3>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 검사지 55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2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생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에 의한 뇌 유형과 과학에 대한 학습 동기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lationship between Brain type of the Empathizing and Systemizing and Motivation to Learn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hin, Eun Kyong-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