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66-
dc.description.abstract세계화와 무역활동 증가에 따른 국가 간 인적ㆍ물적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외래생물의 유입으로 인한 생태계 위해성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학생들은 생태계 관련 환경 문제를 자신과 관련지어 의미 있게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외래생물에 대한 실천적인 참여나 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다. 따라서 생태계를 자신에게 의미 있는 자기환경으로 받아들여 관심 있는 태도를 가지고 적극적인 반응 행동을 나타내도록 하는 ‘자기환경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환경교육에서 역할놀이는 학습자가 등장인물의 역할을 직접 시연함으로써 구체적이고 다양한 감정적 경험을 하게 되어 자신과 상관없다고 인식하는 환경을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으로 간주하는 자기환경화 학습전략의 적용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2학년 4학급 130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을, 통제집단은 파워포인트 자료를 활용한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환경 지식, 환경 태도 및 자기환경화 검사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환경화 수업을 위해 외래생물의 학습 주제인 ‘외래생물의 의미와 종류’, ‘외래생물의 도입 및 영향’, ‘외래생물 관리대책’에 대하여 반 구조화된 형태의 역할놀이 대본을 개발하였다. 둘째,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을 적용한 집단은 전통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환경 지식, 환경 태도 및 자기환경화가 향상되었다(p<.01). 특히 환경 태도의 하위 영역인 신념(p<.01), 감성(p<.01), 의도(p<.01) 모든 영역에서 효과적이었고, 또한 자기환경화의 하위 영역인 관계짓기(p<.01), 자기화하기(p<.01), 표현하기(p<.01) 모든 영역에서 효과적이었다. 이는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이 직접 참여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외래생물 관련 개념에 더 친근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지식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은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등장인물의 역할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가치와 감정을 습득하게 하여 환경 보전을 위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주고, 그 환경의 일부가 되어 자기환경으로 느껴보는 본능적이고 감정적인 경험을 통해 환경 문제를 나와 관련된 문제로 인식하고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환경 태도 및 자기환경화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 평균 3.99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구성 내용 중 역할놀이를 관찰하는 활동과 시연하는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이는 역할놀이를 직접 시연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찰참여자가 되어 역할놀이를 관찰하는 것으로도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역할놀이 대본은 외래생물 관련 내용에 대한 반 구조화된 형태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여러 형태의 대본을 개발하여 이를 글쓰기 교육과 연계시키는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자기환경화 수준에 대한 양적 연구를 하였지만 자기환경화의 변화를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자기환경화 효과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Due to the expanding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countries resulting from globalization and the increase in trade, the problem of ecological risks from the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is deepening worldwide. Howeve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 tendency to not meaningfully associate ecological environmental issues with themselves, as they have a low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how to act or participate in order to deal practically with alien species. Accordingly, an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that produces a "personalization of the environment"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enable them to accept the ecosystem as their own meaningful personal environment and to actively respond to ecological issues with a proper attitude. In environment education, role playing allows learners to directly perform the roles of relevant characters and have various types of detailed emotional experiences. It is therefore a suitable learning strategy for personalizing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learn to regard the environment as intimately relevant to their own lives.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for personalizing the environment through role play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learning. For the research, 130 second-year students in four classe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used as subject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environment personalization through role playing, whereas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expository instruction using PowerPoint material. To verify the effects on learning, a test o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ersonalization was developed and use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paper'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mi-structured scripts of three role plays on the theme of alien species for teaching environment personalization were developed: "Meaning and Types of Alien Species," "Introduction and Effects of Alien Species," and "Managing Alien Species." Second, the group that received the environment personalization instruction through role playing showed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received traditional instruction in terms of their environment knowledge, attitude, and personalization (p<.01). Role playing was effective in the environment attitude subcategories of belief (p<.01), affect (p<.01), and intention (p<.01), and in the environment personalization subcategories of relationship forming (p<.01), appropriating (p<.01), and expressing oneself (p<.01). This can be judged to mean that teaching environment personalization through role playing allows students to become more familiar with concepts related to alien species by providing them with learning experience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and is thu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Such teaching also enables students to acquire values and emotions regarding the environment by taking on character roles in a given problematic situation, thus raising their motivation for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o perceive and becom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s something related to themselves through an instinc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in which they become a part of the environment and view it as their personal environment. This type of learning can thus be viewed as being effective in teaching environment personalization and attitude. Third,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tudents belonging to the group that had the program for environment personalization through role playing showed a high average of 3.99. Of the program contents, students showed particularly high levels of preference for observing and performing role plays. This implies that educational effects can also be expected from students not necessarily directly performing the role plays but participating by observing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s research, further research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role play scripts on alien species developed during research are limited to semi-structural form. There needs to be further research on selecting more diverse themes, developing various forms of scripts that suit those themes, and connecting the program to teaching writing. Second, this paper carried out quantitative research on environmental personalization levels using a survey but there also needs to be qualitative research that analyzes the changes in environment persona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중학교 환경교육 4 1. 중학교 환경과 교육과정 4 2. 중학교 환경교육의 실태 7 B. 자기환경화 11 1. 자기환경화의 의미 11 2. 자기환경화의 과정 및 전략 12 3. 공감적 자기화 14 4. 자기환경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향 16 C. 역할놀이 17 1. 역할놀이의 의미와 성격 17 2. 역할놀이의 교육적 효과 18 D. 선행연구 고찰 1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2 A. 연구 대상 22 B. 연구 설계 및 수업 처치 22 C. 연구 절차 23 D.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24 1. 외래생물 관련 개념 구성 및 학습 주제 선정 25 2. 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 선정 26 3. 역할놀이 대본 개발 28 4.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 프로그램의 구성 29 5.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전략 수업의 절차 32 6. 수업지도안 및 활동지 제작 35 E. 검사도구 37 1. 환경 지식 검사지 37 2. 환경 태도 검사지 38 3. 자기환경화 검사지 39 4.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지 39 F. 자료의 처리 및 분석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1 A. 자기환경화 수업을 위한 역할놀이 대본 개발 결과 41 B.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이 환경 지식에 미치는 효과 46 C.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이 환경 태도에 미치는 효과 48 D.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이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50 E.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만족도 52 Ⅴ.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 62 <부록 1>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의 수업지도안 62 <부록 2> 역할놀이를 통한 자기환경화 수업의 활동지 65 <부록 3> 환경 지식 검사지 80 <부록 4> 환경 태도 검사지 83 <부록 5> 자기환경화 검사지 85 <부록 6>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지 87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8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역할놀이를 통한 중학교 자기환경화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 Personalization in Middle School through Role Playing-
dc.creator.othernameKim, Ji Young-
dc.format.pagei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