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경-
dc.creator이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자폐아동의 운동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자폐아동의 교육과 재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자폐아동은 의료기관의 의료검사에 의해서 자폐라고 진단을 받은 자폐아동 20명이었다. 연구대상에게 사전에 운동능력 검사와 사회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0명씩 동질집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로 실시된 활동은 1년간 사전연구를 통해 자폐아동에게 적용했던 프로그램 중 적합하다고 판정된 수중활동 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으로 자조훈련, 수중운동, 수영기술습득, 수중놀이, 스트레칭으로 구성되어 24주동안 실시되어졌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기법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비참여한 집단 간 운동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실시전·후 평균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 참여한 집단의 운동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그리고 통계기법을 통해 규명되지 않은 수중활동 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참여아동 보호자와 프로그램 실시전·후 면담을 통한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분석과정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자폐아동의 운동능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5%이내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 6개의 하위 요인에서 손동작 협응과 단일동작 수행능력 요인은 통계적으로 1%이내의 수준에서 그리고 일반동작 협응 요인은 통계적으로 5%이내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자폐아동의 사회적 능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5%이내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 6개의 하위 요인에서는 이동, 의사소통 그리고 사회화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5%이내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자폐아동의 운동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 6개의 하위요인과 사회적 능력 6개의 하위요인 중 정적협응, 운동속도, 일반동작 협응과 사회화 요인은 상관이 있었고 단일동작 수행능력과 작동요인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수중활동 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이 자폐아동의 운동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중활동 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은 자폐아동의 교육 및 재활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aquatic activity on motor ability and social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The participants were 20 children with autism. The 20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One group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group was the control group. Aquatic activity consisted of independent training, water exercise, swimming skill acquirement, water play, and stretching. All participants did aquatic activity for 24 weeks. For all participants, Oseretsky's Motor Ability Test Battery for adapted Korean(Kim Chong Kuon, 1987)and Social Maturity Test(Kim Seong Kuk, 1985) were tes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the paired samples t-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using SPSS-WIN 10.0 program. Also the interview with parents of participants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aquatic activity showed significant increased(p<.05) in Motor ability level,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3 sub-factors of Motor ability ; hand-coordination(p<.01), general action coordination(p<.05), and single action(p<.01). It was found that aquatic activity as therapeutic recre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motor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quatic activity showed significant increases(p<.05) in social ability level.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se improvements. They were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3 sub-factors of social ability ; locomotion (p<.05), communication (p<.05), and socialization(p<.05). It was found that aquatic activity as therapeutic recre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Third, there did not appear to be a correlation between motor ability and social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who participated in the aquatic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quatic activity as therapeutic recre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otor and social ability for children with autism.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aquatic activity as therapeutic recreation should be a routine practice of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변인 및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9 A. 자폐의 개념 및 자폐아동의 특성 = 9 1. 자폐의 정의 및 분류 = 10 2. 자폐의 원인 = 12 3. 자폐아동의 특성 = 14 B. 자폐아동과 운동능력 = 16 C. 자폐아동과 사회적 능력 = 18 D.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개념 및 서비스 = 20 1.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개념 = 20 2.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과정 및 서비스 = 21 E. 자폐아동과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 26 III.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연구기간 및 절차 = 33 C. 실험설계 = 35 D. 검사도구 = 36 1. 운동능력검사 = 36 2. 사회성숙도검사 = 38 E.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및 적용 = 39 1.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 39 2.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 46 F. 자료분석 = 47 IV. 연구결과 및 논의 = 48 A. 운동능력의 변화 = 48 B. 사회적 능력의 변화 = 58 C. 운동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 69 D. 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장애아동 부모면담 결과 = 70 1. 프로그램 적용 전 면담 결과 = 70 2. 프로그램 적용 후 면담 결과 = 72 V. 결론 및 제언 = 77 A. 결론 = 77 B. 제언 = 79 참고문헌 = 80 ABSTRACT = 89 부록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65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중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이 자폐아동의 운동능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체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