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화주-
dc.creator전화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48-
dc.description.abstractAs educational environment radically changes, education faces lots of challenges. Insi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o have distrust in education making strong demands, and teachers who disbelieve in educational policies are also agitated. Outside, education methods are rapidly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To overcome this crisis and rai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we should support education with proper policies so that teachers display their specialty. As a way of improving specialty by stimulating teachers' interest, there is a teacher evaluation system.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Korea, however, does not live up to our expectation. I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dentifying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its relation to teachers' specialty and to examine ideal teacher evaluation methods by analysing teachers' recognition on overall system, purpose of evaluation, contents, methods, evaluators and the scope of using the results of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method of study, I conducted a survey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assistance principals in Seoul(718 people in total)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n teacher evaluation system. Among them, I collected 671 respondents as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For a study tool, I revised and made on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actions to teacher evaluation system by the whole teachers show that they are not very satisfied, and they think that evaluators need special education for fair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system should be aimed at improving teachers' quality as professionals. Teachers hope the method of evaluation will change into absolute evaluation, and they also think that there should be evaluation of teachers' lifetime career.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the teacher evaluation committee, they agree with it, but also hope that the committee will be run by teacher representatives, teacher directors, assistant principals and principals.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ty, they hope that general teaching activity will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evaluation. Also, they understand that teachers' effort to learn specialized knowledge, to learn teaching skills and the ability to do business routine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evaluation. They are positive about keeping dignity as teacher being included in the contents of evaluation, but they think negatively about abstract confidence and sense of duty. They have negative recognition of evaluation done by other teacher groups, students, parents or educational specialists. They want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go public, and they agree with using the results in personnel management. However, they are strongly against reflecting the results on payment and reward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mparing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by school variables, teachers from public schools and private schools have no big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However, teachers from public schools are more negative about satisfaction with overall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the justice of the result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than those from private schools. While teachers from public schools favor lifetime career evaluation most, those from private schools hope that the term of evaluation will extend to 4~5 years. Also, teachers from high schools rather than middle schools believe it is not fair not to reflect teachers' abilities on the evaluatio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ng teacher evaluation system recognized by teachers by teacher variables, teachers rather than assistant principals, female teachers rather than male, and younger teachers rather than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show more negative reactions. Especially,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evaluator (assistant principal) and teachers appears in 27 questionnaires out of 35, and it says they have contrasting opinions. Looking at the result written above, the existing teacher evaluation system should change through overall inspection. To improve education quality with teacher evaluation system aiming at enhancing teachers' specialty, the system should change from ranking by forced distribution to absolute evaluation,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should focus on teaching activity so that it reflects teachers' real ability. Also, the system should be followed by standards that teachers can understand such as effort for teaching or improving speciality. By organizing and running the teacher evaluation committee that includes teachers' representatives and directing teachers, we should reduce errors that can be made from one-man evaluator system. Moreover, we should make a channel through which we confirm the results of evaluation, and we should also give education for improving evaluators' special ability for evaluation. To reduce gap of recognition among teachers, understanding and agreement between evaluators and teachers on evaluation should be made by school units. If we practice teacher evaluation in a reasonable way for common goals, difference and conflicts between groups will decrease. As such, we have to cooperate together for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by overcoming educational crisis through change of general system and harmony between teachers.;오늘날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로 교육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안으로는 교육을 불신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에 흔들리고 있고 교원정책을 불신하는 교사들의 동요가 심하며, 밖으로는 과학과 정보화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방법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키우려면 교사의 질을 높여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의 교육적 관심을 자극하여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의 일환으로 교사평가제도가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 되고있는 교사평가제도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교사평가제도와 교사의 전문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교사평가 제도전반, 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자, 결과의 활용의 영역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이상적인 교사평가 방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내 중등학교 교사와 교감 718명을 표집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671명이 응답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발간한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에서 발췌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고, 평가내용에 관한 질문은 선행 문헌연구를 토대로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원들이 인식하는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반응은 제도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공정성 증진을 위하여 평가자의 전문교육이 필요하며, 교사평가는 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평가방법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하기를 희망하였고, 교직 전 생애에 걸친 총경력 평가제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평가위원회를 설치하되 교사대표를 포함한 부장교사, 교감·교장에 의해서 운영되기를 희망하였다.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교수활동 전반에 관한 내용이 평가내용에 포함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적 지식을 갖추기 위한 노력, 학생지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노력, 사무업무처리능력도 교사평가내용으로 포함되는 것이 합당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로서의 품위유지 항목이 평가내용에 포함되는 것에는 긍정적이었으나 추상적인 사명감, 자부심 등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교원들은 외부 교사집단이나 학생·학부모, 교육전문가에 의한 평가에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교사평가 결과를 공개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평가결과를 교원 인사결정에 활용함은 합당하다고 인식하였으나 포상 및 보수지급에 반영하는 것은 강하게 부정하고 있었다. 둘째, 교원들이 인식하는 교사평가제도를 학교별 변인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교원들의 인식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다만 교사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만족도, 현행 교사평가 결과의 공정성 여부에서 공립 교원들이 사립 교원들보다 부정적이었고, 승진 시 교사평가 결과 반영 정도에 대하여 공립교원들은 총경력 평가제를 가장 선호한데 비하여 사립교원들은 4~5년으로 확대하기를 바랬다. 평가방법에서 승진 평가별 총점 비율이 사립교원들은 상향조정되기를 원하였고, 공립교원들은 현행제도 유지에 높게 반응하였다. 그리고, 중학교보다 고등학교 교원들이 교사평가에 능력이 반영되지 않아서 불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원들이 인식하는 교사평가제도에 대하여 교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교감보다 교사들이 남자교원보다 여자교원이, 20년 이상의 경력교원보다 20년 미만의 교사가 교사평가제도 전반에 걸쳐 부정적 반응이 높았다. 특히 평가자인 교감과 피평가자인 교사의 인식의 차이가 총 35개 문항 중 27개 문항에서 나타났다. 먼저 제도 전반에 걸쳐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이 교감보다 높았고, 교사들은 평가자 교육의 필요성에 높은 반응을 보여 평가자를 불신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은 현행 교사평가가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교감·교사 모두 전문적 자질 향상에 교사평가의 목적을 두어야 하는 것에는 긍정적이었다. 평가방법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평정점 분포비율의 강제 배분방식에서 교사들은 절대 평가방식으로 전환되기를 선호하였고, 교감들은 현행대로 하되 평가비율 조정에 높이 반응하였다. 승진시 평가결과 반영 정도에서도 교감들은 4~5년 확대 방안에, 교사들은 총경력 평가제를 가장 선호하여 의견의 차이를 보였다. 교사평가위원회 설치·운영, 평가내용의 평정요소와 평정점, 평가결과의 공개여부 등에서 교감과 교사들의 인식은 대조적인 차이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성별, 경력별 변인간 비교 결과에서도 비슷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25년 이상 경력 남자교원의 대부분이 교감이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짐작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현행 교사평가 제도는 전반적인 검토를 걸쳐 변화되어야한다. 교사평가의 목적을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두고 교육의 질을 개선하려 한다면 한 줄로 서열 매기는 강제배분방식에서 벗어나 절대평가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교사의 실제 능력을 반영 할 수 있도록 교사평가의 내용을 교수활동에 중점을 두고, 학생지도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교사들이 이해 가능한 평가 준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대표와 부장교사를 포함하는 교사평가위원회를 조직·운영하여 1인의 평가자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줄여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평가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고 아울러 평가자의 전문적 평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도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승진 시 평가결과 반영기간을 교직 전 생애로 점차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원간의 교사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평가자와 피평가자간의 교사평가에 대한 이해와 합의가 단위 학교별로 이루어져야한다.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합리적인 방법으로 교사평가를 실시한다면 집단 간의 견해 차이와 갈등은 줄어들게 될 것이다. 이렇게 제도전반에 걸친 변화와 교원간의 화합으로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고 교육의 국가경쟁력 증진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평가 = 5 1. 교사의 전문성 2. 교사평가의 기본방향 B. 교사평가의 목적과 기능 = 12 1. 교사평가의 목적 2. 교사평가의 기능 C. 교사평가의 내용 = 17 1. 교사 직무에 대한 의식 2. 평가내용 D. 교사평가의 주체 = 26 1. 평가주체에 의한 평가유형 2. 평가자에 따른 교사 교사평가상의 문제점 E. 교사평가의 방법 = 35 1. 구체적인 평가방법 F. 한국의 교사평가 제도 = 43 1. 국가수준의 교사평가 2. 교육청 수준의 자체적 교사평가 3. 교사평가의 저해요인 III. 연구의 방법 = 52 A. 조사대상 = 52 B. 조사도구 = 53 C. 자료의 처리 = 55 D. 연구가설 = 55 IV. 연구의 결과 = 56 A. 교사평가 제도 전반 = 56 B. 교사평가의 목적 = 62 C. 교사평가 방법 = 65 D. 평가내용 = 73 E. 평가자 = 93 F. 평가결과의 활용 = 100 V. 결론 및 제언 = 105 A. 요약 및 결론 = 105 B. 논의 및 제언 = 113 C. 연구의 제한점 = 115 참고문헌 = 116 부록 = 123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10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평가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