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경복-
dc.creator임경복-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생활에서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시간이라는 변수가 주부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시간 소비와 의복 구매행동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인의 시간지각에 따른 집단구분이 마케팅 전략 수립상 어떤 시사점을 줄 것인지를 보려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시간지각 차이에 따라 구분된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정에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둘째, 시간지각 차이에 따라 분류된 집단간 하루 중 시간 소비의 차이를 밝힌다. 셋째, 인구통계적 변인이 하루 중 시간 소비에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가를 밝힌다. 넷째, 개인의 시간지각에 대한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이 시간소비에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고 그 차이를 밝힌다. 다섯째, 시간지각 차이에 따른 집단간 의복구매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차이를 밝힌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들로 한정시켰으며 취업여부를 고려하여 편의 추출한 597명의 취업, 비취업 주부였다. 이때 취업주부로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주부만을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연구방법은 의복구매행동에 관련한 사항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하루중의 시간소비와 구매행동 중 필요한 시간적 양에 대한 사항과 같은 시간에 관련된 문제는 예비조사를 통해 연구자가 작성한 문항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분산분석, 던컨테스트, 이원변량분석, t-test, x^2-test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시간지각 차이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였을 때 시간지각 집단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변인은 취업여부, 취업직종, 가구소득, 교육수준 등이었다. 둘째, 시간지각에 따라 구분된 집단간에는 실제 시간 사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주중의 생활에 있어 시간부족 집단과 시간여유 집단간 시간소비량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직장생활을 제외한 생활필수시간, 가사시간, 여가시간 사용에 있어서 시간여유 집단에 비해 시간부족 집단의 시간소비량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하루중의 시간소비에 차이가 나타났다. 취업을 한 집단, 가구수입이 높은 집단,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직장활동을 제외한 생활필수시간, 가사시간, 여가시간의 사용에 있어 비취업집단, 가구수입이 낮은 집단,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시간소비량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간소비량에 대해 시간지각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지각 차이와 취업여부를 고려하였을 때에는 취업여부가 시간소비량을 결정하는 데 있어 더 많은 주효과를 나타나게 하였다. 시간지각 차이와 가구수입을 고려하였을 때 시간지각 차이가 시간소비량에 더 많은 주효과를 나타나게 하였으며 가구수입은 가사활동 시간에 대해서만 주효과를 나타나게 하였다. 시간지각 차이와 교육수준을 고려하였을 때 때 시간지각 차이가 시간소비량에 더 많은 주효과를 나타나게 하였으며 교육수준은 가사활동 시간에 대해서만 주효과를 나타나게 하였다. 시간지각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여가활동 시간에서 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간지각 집단별로 의복구매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문제인식단계에서 집단간 유의차가 나타난 구매동기는 스트레스 해소나 기분전환, 계절의 바뀜, 개성과 품위의 추구, 광고를 보고 마음에 들어서였는데 이 모든 항목에 대해 시간이 부족한 집단이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보다 중요시하였다. 정보탐색단계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중요시하는 정보원의 종류는 친구나 주위 사람 의 옷 관찰, 과거의 구매경험, 지하철 및 버스광고였는데 시간이 부족한 집단이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보다 중요시하였다. 정보탐색의 정도에 있어 매장내 진열탐색의 정도에 있어 가족이나 친구의 유행관련 대화를 하는 시간에서 집단간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대안 평가 단계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평가기준은 편안함, 다른 옷과의 조화, 착용상황 적합성, 색상과 직물, 옷감이었는데 시간이 부족한 집단이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보다 중요시하였다. 구매단계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점포선택 기준은 제품의 구성, 거리의 가까움, 주차시설의 편리, 점포광고와 판촉활동, 점포의 일반적 명성과 개폐장 시간이었는데 시간이 부족한 집단이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보다 중요시하고 있었다.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에서는 구매처의 위치 중 도매시장, 구매장소 중 의류도매 시장에서의 이용율이 높았다. 구매 후 행동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불평행동은 사적 불평행동과 공적 불평행동이었다. 시간이 부족한 집단은 사적 불평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여유있는 집단에서는 공정행동의 발생율이 높았다.;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wives’ time consump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also to find out the marketing strategic implications when the consumers are stratified by time perception. This study adopted a survey method and 597 housewives were recruited.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AS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following methods were also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s, ANOVA, Duncan test, two way ANOVA, t-test and x^2-test.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e’s time perception is correlated with employment status, type of occupation,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consumption pattern between time perception groups especially in workdays. Insufficiently time group used less time in necessities, homework and leisure than affluent time group..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consumption by semographic variables. workihg group, higher income group and higher education group are similar in time consuming pattern. Fourth, when time percep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consider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time perception and employment status are considered, employment status had a larger effect than time perception in time consumption decision. When time perception and income are considered, time perception had a larger effect than income and income had main effect only on housework time. When time perception and education are considered, time perception has more main effect than education and education has main effect only in housework time. Interaction effects of time perception and demographic variable are shown only in leisure time. Fifth, in clothing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significant difference are as follows: In problem recognition, insufficient time group laid importance to stress solving and relaxation, alteration of season, pursuit of personality and prestige, and advertisement as a purchase motives. In information search,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ervation of friends and acquaintances using purchase experience and advertisement in subway or bus as an information sources. And quantity of information search,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rch of display and conversation with friends and acquaintenances. In alternative evalu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fortness, accordance with other clothes, suitability for the situation, color and material as evaluation standard. In purchase decis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 composition, distance, convenience of parking, advertising and promotion, store reput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ime as store choice standards. In after purchase behavio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aining behavior: insufficient time group used more private type complaints, whereas affluent time group used more public type complai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현대생활과 시간 -------------------------------------------------- 4 B. 소비자행동과 시간 ------------------------------------------------ 8 C.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의복구매행동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문제 --------------------------------------------------------- 32 B. 측정도구의 개발 및 절차 ------------------------------------------ 36 C. 표본의 설계 미 자료수집 ------------------------------------------ 42 D. 분석방법 --------------------------------------------------------- 44 Ⅳ. 결과 및 논의 ----------------------------------------------------- 45 A. 시간지각 집단별 인구통계적 특정의 차이 --------------------------- 46 B. 시간지각 집단별 시간소비 ----------------------------------------- 49 C.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시간소비 ---------------------------------- 53 D. 시간지각과 인구통계적 변인이 시간소비에 미치는 효과 -------------- 63 E. 시간지각 집단별 의복구매 행동 ------------------------------------ 79 Ⅴ. 요약 및 결론 ----------------------------------------------------- 96 A. 연구결과의 요약 -------------------------------------------------- 96 B.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 99 C.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101 참고문헌 -------------------------------------------------------------102 부록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703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간지각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