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진아-
dc.creator임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과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태는 어떠한 가? 이루어지고 있다면 그 평가의 방법, 시기, 주기, 주체는 어떠하며 이루어 지고 있지 않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필요성, 결과활용, 시기, 주기 등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평가영역인 교육목표·교육계획,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육활동 영역별로 어떠한 평가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 넷째, 앞으로 전개될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경기지역 10개 초등학교 교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247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해 교사들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재 학교에서는 학교 수준에서의 계획에 의한 평가형태와 점검 목록표에 의한 자기평가 방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와 교장 혹은 교감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1, 2학기 말에 년 2회 정도 시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그 원인으로 과중한 근무부담과 시간부족을 주로 지적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을 주로 학교교육의 질적 개선과 교육효과의 증대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교육과정 평가활동과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학교교육과정 평가활동은 교육활동에 도움이 되며 다음해의 학교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잘 활용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과정 평가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교사들이 부분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모르는 것이 많아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교사들은 학교교육과정 평가 영역인 교육목표·교육계획영역, 교육과정 편성·운영영역, 교육활동영역에 관해 그 중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고 세 영역 중에서도 교육목표·교육계획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들은 교육목표·교육계획영역에서는 교육목표의 현실성과 실현가능성의 평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며, 교육과정 편성·운영영역에서는 교육과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교육활동영역에서는 수업에서 학생의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방향과 방법에 대해서 교사들은 교사가 주체가 되어 학년별 동학년 협의회 수준에서의 공동평가, 학교 수준에서의 계획에 의한 평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으로는 점검 목록표에 의한 자기평가, 동료교사에 의한 동료 장학 평가, 교사, 학생, 학부모의 설문조사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평가 시기는 1, 2학기말, 주기는 년 2회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시상의 어려움으로는 과중한 근무부담과 시간 부족을 들었다. 교육과정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고려할 중요한 원칙으로는 교육과정 개선의도를 가지고 교육과정 평가를 실시하는 것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심도 있게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앞으로의 학교교육과정 평가는 학교교육과정의 계획단계부터 실제운영과 그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사중심의 활동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고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자료와 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how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which is practicing in primary school and the better direction of school curriculum with confirmation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objective and necessity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 and method. The subject of study to clear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how's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being practiced at present in primary school? If it is being practiced well, what's the method of the evaluation, time, period, subject? If it's not being practiced, what is the reason? Second, how primary school teachers are recognizing the purpose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necessity, use in practical, time, period etc.? Third, what's the most important part among education objective·education plan, curriculum organization·operation, education activity area which are category of curriculum evaluation. Fourth, how about teacher's awareness for desirable direction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which will be progressed in the futu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300 teachers of 10 primary school of Seoul·Kyoung-gi province area. This analysis is based on questionnaire which is responded by 247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eachers are recognizing that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s being practiced well. It is practiced mainly by planned evaluation form in school level, by self-appraisal of checking list in school at present. It's commonly done by teacher and principal or vice headmaster at two times a year in every first, second terms. Also, main reason of school curriculum is not practiced well which responded by teachers is burdensome over work and short of time. Second, teachers are recognizing that purpose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s mainly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and enlargement of education effect and more training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nd evaluation activity are necessary.. Also, most of teachers think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ctivity is helpful to education activity and is well applied to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 next year. But most of teachers recognize partially, or do not know well about contents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n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It shows that the training for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s essential. Third, teachers are strongl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bjective·education plan area, curriculum organization, operation area, education activity area. Among theses elements the education objective, education plan area are considered importantly. Teachers are focused on the reality and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education objective, education plan. And the effort to achieve objective of curriculum evaluation in curriculum organization, education operation and inducting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tion of a class in education activity area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category.. Fourth, teachers recognize direction and method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n the future are suitable to do with. joint appraise at same grade discussion level and, planned evaluation by school level. And the method of curriculum evaluation is better to be done by colleague teacher, a student, students' parents' questionnaire. The proper evaluation time is two times a year at first, second terms. The difficulties of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s burdensome over work and short of time. The important principle which has to be consider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s to carry out deeply with continuous improvement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has to be focused on teacher's own activity which includes from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of plan phase to actual operation and evaluation. To do so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ary. Also it is useful to develope the appropriate model in school field and present the objective data and standar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6 A.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고찰 = 6 B. 교육과정 평가의 기본 모형 = 14 C. 교육과정 평가의 선행연구 분석 = 28 D. 한국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태 = 36 III. 연구 방법 = 42 A. 연구의 대상 = 42 B. 조사 도구 = 43 C. 자료 처리 = 45 IV. 연구 결과 = 46 A.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태 = 46 B.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 51 C.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활용된 평가항목의 중요도 = 58 D.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방향과 방법 = 67 V. 요약 및 제언 = 79 참고 문헌 = 83 부록 : 질문지 = 86 영문초록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3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