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정순-
dc.creator전정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3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향후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통합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사회과 교육 통합을 위한 주요 과제를 검토하고, 그 통합 방향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둘째, 남·북한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 셋째, 남·북한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 가? (1) 남·북한 통일의 방법과 교육과정 통합의 일반적 방향(교육과정 통합추진 시기, 교육과정 통합 수준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의 기본 방향(통합 교육과정 적용 시기, 통합방식,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 구성 방식, 사회과 통합 교육목표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사회과의 하위 교육영역(일반사회, 역사, 지리)별 교육과정의 통합 방향(교육목표 선정, 학습내용의 선정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 한가? (4) 통일 후 사회과 교사임용 정책 및 교과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첫째와 둘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선행연구의 분석과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셋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중학교 사회과 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하여 남·북한 교육과정의 통합 방향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사회과 관련 교육과정 체제의 가장 큰 차이는 교과목 개설의 차이다. 남한 사회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북한에는 역사와 지리는 있어도 남한과 같은 일반사회 교과가 없다. 반면 북한에는「위대한 수령 김일성대원수님혁명력사」와「위대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혁명력사」같은 김일성부자 우상화를 위한 교과와 현행 당정책 교과가 개설되어 있고, 이런 교과들 속에서 일반사회 내용을 부분적이고 산발적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과제는 우선 교과목 편제의 차이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각 과목별로 대두되는 통합의 과제들에 대한 통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먼저 역사과의 경우에는 교과 목표 ,교과서 서술 방식,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 역사적 사건의 명칭과 용어의 차이 등에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리 교과의 경우에는 교과목표, 지역구분 방식, 지리 용어 등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북한이 지리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는 자연지리 및 지구과학관련 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과 교사들의 통일방법과 교육과정 통합의 일반적 방향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1) 남·북한 교육과정 통합의 추진 시기는 통일 이전부터 준비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통합 수준은 총론이나 기본편제까지 통합해야 한다고 필요성을 느끼지만 구체적인 학습내용 수준까지 통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북한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적용 시기는 통일 이후 1~5년이 좋다는 의견이었고, 교육과정 구성 방식은 개별 교과목 체제(역사, 지리, 일반사회 등)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식에 대해서는 남·북한 대표가 모여 새로운 사회과 교육과정을 만들고, 양쪽 지역에 모두 적용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통합 사회과의 교육 목표는 남·북한 주민간의 조화로운 공동체 생활 함양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 일반사회 영역의 통합에 대해 교사들은 일반사회 내용은 남·북한 통합 사회과 학습 내용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운영 방식은 사회과 안에 통합하여 가르쳐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북한의 김일성부자 관련 교과서는 폐지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일반사회 교과의 정치부분의 주요 내용으로는 민주주의 이념과 원리, 헌법의 이념과 원리를 들었고, 경제부분의 주요 내용으로는 경제체제의 차이, 경제문제의 해결 방법, 시장 가격의 기능과 결정을 들었다. 사회ㅍ문화 내용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집단생활의 이해를 중요하게 다루어야할 내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3) 역사과의 통합 교육 목표는 역사를 체계적·종합적·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육성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교과서의 서술 방식은 남·북한의 서술 방식을 모두 채택하여 영역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역사적 사건과 사실의 해석, 사건의 명칭·용어 등도 남북한 역사 학자들이 모여 합의하고, 양쪽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지리교과의 통합 교육 목표는 지리적 현상 이해와 사고 능력 배양으로 해야 한다고 하였고, 북한 자연지리 내용 중에서 통합 지리 교과서에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은 환경과 자연보호, 지구의 모양과 변화, 식물과 동물의 분포, 지각운동과 지형의 변화 등이었다. (4) 통일 이후 남·북한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을 가르칠 교사의 자격에 대해서는 기존 남·북한 사회과 교사들에게 연수나 재교육을 시킨 후에 새 자격을 취득하게 한 후 임용해야 한다고 사회과 교사들은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 사회과 교과서는 남북이 각각 해당 지역에 비중을 둔 내용의 교과서를 개발하여 각각의 지역에서 사용해야 한다와 남한의 현행 방식대로 1종, 2종을 구분하여 편찬·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사회과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subject for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eeking the South and North Korea social·cultural integration in the future, and analyse teachers' perception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To attain the obje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rea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 studies? Third,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 studies? (1)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general direc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curriculum integration propulsion time, curriculum integration level etc) and the way of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2)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basic direction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 studies( the time of applying integrated curriculum, the way of integration, the way of constituting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object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3) What is the teachers' percetion on the integration room direction (education target choice, choice of studying contents etc..) of low rank education area(general public, history, geography) different (integration curriculums of social studies Eotteo spare time ? (4) What is the teachers' percetion on the silver about social studies teacher appointment policy and text book policy what about ? Did anaysis of virtue research and a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xt book comparative analysis for first and second subject of study. Did questionnaire for third subject of study. questionnaire does to 226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integration direc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Examined suggestion for integration direction Through these method of study, result that get is as following. First, the biggest vari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connection training courses system is variance of subject general observation. South Korea social studies is consisted of general public, history, geography area, but even if North Korea is geography with history, there is no general public subject such as South Korea. The other side, subject for Gimilseong connection text book and current government-ruling party book subject are opened in North Korea, and is being partial and handle sporadically general public contents within this subjects. Second, it is important that subject for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egrates difference of priority subject formation. And with this, integration way about subjects of integration that is risen to each subject should be groped. First, analysis about the subject target, text book description way, the historic event in the case of history course, Integration must consist name of the historic event and difference etc.. of terminology, Integration of subject target, local cinstituencies quantity way, geography terminology etc. must consist in the case of geography subject, Specially, whether must treat natural history state and science connection contents that North Korea is including in geography sacred ground examination about availability require. Third, awareness about unity method and general direc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s as following. (1) Was recognizing that thing which must prepare from unity move propulsion time of south and north Korea training courses integration is desirable Was thinking that need not to integrate specific studying contents level although Integration level feels necessity that must integrate collection of treatises or basis formation. It was opinion that 1~5 year is good since unity application time of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integration curriculum. curriculum composition way was prferring most individuation subject system (history, geography, general public etc.). South and north Korea representative gathers and makes new social studies curriculum about integration way of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thinking that must do by way to apply all in both area, Education target of integration social studies was thought that must put in trillion brazier fortune community life fostering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habitants (2) Teachers were thinking that must include general public contents necessarily in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ion social studies studying contents about integration of general public area, Operation way was thought that must integrate inside social studies and teach. North Korea's Gimilseong text book was thought that must abolish. Main detail of politics part of general public subject heard democracy ideology and principle, ideology of constitution and principle Main contents of economy part took facility and decision of variance, solution way of economic questions, market price of economic structure. Research of desirable sense of values formation, society·culture phenomenon about society·culture contents, Was thinking as contents that must deal with comprehension of individual and living in a group heftily. (3) history course's integration education target history systematic, Synthetic Understand structurally, Is thinking that must put that rear attitude which participate spontaneously in society development, Was thinking that must use because description way of a text book mix according to area selecting all description way of south and north Korea. Analysis of historic event and fact, name·terminology of the event etc.. south and north Korea history scholars gather and agree on Was thinking that must apply equally in both area Integration education target of geography subject did that must do by geographical phenomenon comprehension and accident ability cultivation, Contents that think that included thing is proper to an integration geography text book among North Korea natural history state contents are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e, It was globe shape and change, plant and distribution of an animal, earth's crust exercise and sculpture etc South and north Korea representative of area division way or geography terminology gathers and makes new area division mode and geography terminology, and must apply in both area (4) Was thinking that must appoint after did to acquire new qualification after make do research study or reeducation to existing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achers about teacher's qualification to teach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ion social studies training courses since unity. An integration social studies text book was opinion that have better edit and use suggestion and existing of South Korea that must develop a text book of contents that South-North puts weight in each relevant area and use in each area dividing the 1 kind, 2 kinds in proper fo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대상과 절차 = 5 C. 조사도구와 통계 분석 방법 = 7 D. 연구의 제한점 = 9 II. 남·북한 사회과 교육 통합의 필요성과 교육 제도 비교 = 10 A. 남·북한 사회과 교육통합의 필요성 = 10 B. 남·북한 교육 제도의 비교 = 21 III. 남·북한 사회과 관련 교과서의 비교와 통합 과제 = 34 A. 남·북한 사회과관련 교과서 비교 = 34 B.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의 과제 = 74 IV.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향에 대한 인식 = 80 A. 통일방법과 남·북한 교육과정의 통합 방향 = 80 B.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의 기본 방향 = 85 C. 남·북한 사회과관련 교과별 통합 방향 = 89 D. 사회과 교사임용 및 교과서 통합 방향 = 107 V. 요약 및 제언 = 110 참고 문헌 = 116 부록 = 122 영문초록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3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