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다큐멘터리 사진작업을 통한 타자화된 집단의 '주체' 성장에 관한 연구

Title
다큐멘터리 사진작업을 통한 타자화된 집단의 '주체' 성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rowth of 'Subjectivity' of Othernized Group : centering the photo works of sex-selling females in Yongsan
Authors
이경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본 연구는 렌즈 앞 피사체적 존재로서 주변화 된 여성집단이 직접 사진을 찍는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생활공간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작업이 갖는 의의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억의 재구성 및 인식의 변화, 외부와의 소통 및 교류를 통해 사회적 ‘주체’로 성장해 나아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40년간 용산 성매매집결지에서 ‘일’해온 성 판매 여성들의 사진모임인 「판도라 사진모임」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적 접근방식인 참여관찰법과 사진분석을 통해 이들의 사진작업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과 사진 촬영, 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카메라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진퇴의 과정을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대상에서 주체로 성장할 수 있었다. 내부자로서 물리적 접근성이 높고,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높은 연구 참여자들은 사진찍기작업을 통해 생활공간의 기록자이자, 생산물의 창조자, 나아가 사진과 사진모임을 의미화 하는 주체로 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진에 대한 피드백과 각 단계에 따른 지속적인 외부자의 개입은 연구 참여자들이 행위의 주체로서 자신감을 증가시키는 데에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피드백을 통해 공간의 기록자로 성장한 연구 참여자들은 사진을 통해 언어화하기 어려운 경험과 실재(實在)를 시각화함으로써 성매매 공간의 다면성과 일상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일’을 하는 노동 공간이자, 일상적인 생활공간,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 여성 공동체 공간으로서 성매매 집결지의 모습은 외부인으로 하여금 ‘무엇이 사실인지’를 바라볼 수 있게 하고 삶의 터전으로서 집결지에서 살고 있는 여성들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했다. 또한 전달력이 높은 사진-시각화된 목소리-을 매개로 연구 참여자들은 외부 세계와 소통 및 교류를 할 수 있었고, 이 소통의 경험은 성매매 집결 공간의 기록자로서 자부심을 성장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사진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보기’와 ‘말하기’, 이를 위한 ‘해석’ 과정을 통해 인식하지 못했던 삶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진을 보고 함께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성매매 집결지에서 삶의 주체로서 살아온 과거를 상기함으로써 자신들의 삶을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해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진을 통해 서로의 감정을 토로하고, 기억을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 공동체 ‘우리’로서의 연결고리를 견고히 할 수 있었다. 넷째, 용산 성매매 집결지가 폐쇄된 이후, 사진 모임은 물리적으로 분절된 연구 참여자들에게 만남의 장(??)이자 정서적 지지기반으로서 공동체를 유지하는 구심점으로 그 성격이 확장되었다. 집결지라는 공동의 공간이 사라진 이후 사진 모임은 연구 참여자들이 회포를 풀고, 근황을 확인하는 장소가 되어 용산을 떠나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에 정서적 지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사진을 매개로 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사진과 사진모임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단계로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신의 경험과 문제를 표면화하기 어려운 주변화 된 존재로서 여성집단이 장기간의 사진작업을 통해 점진적으로 주체적 존재로 성장하고, 자신들의 생활세계와 삶을 통합적으로 바라는 존재로 성장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사진을 매개로 집단 내부 및 외부세계와 소통하는 과정 및 지속적인 피드백이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의 변화 및 확장에 주요하게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 판매 여성뿐 아니라, 자신의 목소리와 경험을 가시화하기 어려운 타자화된 집단, 사회 소수집단이 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회적인 주체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끄는 프로그램 및 모델을 고안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의 사진작업인 ‘시각화된 목소리’는 도식적인 이해에서 벗어나 이들을 둘러싼 지배적 가치와 사회구조를 다각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여성과 여성, 타자화된 집단과 주류집단 간의 차이와 경계를 넘어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인식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교류 채널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work that the women group marginalized as the subject in front of lens becomes the principal body of directly taking pictures and records their own living space as photos and the process of growing into social ‘subject’ through reconfiguration of memories and changes in recognition,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the outside world happening in this proces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photography through photo analysi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which are ethnographic approaches focusing on 「Pandora photo meeting」, the photo meeting of women selling their sex who have ‘worked’ in Yongsan prostitution community for 10-40 yea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photos and photography, feedback on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overcome the fear for the camera and grow from the target to subject repeating the process of advance and retreat. As insid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se physical access is high and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n prostitution community have grown into recorders of living space, creators of the product and furthermore, the subject signifying photos and photo meeting through work taking pictures. In this process, feedback on photos and ongoing involvement of outsiders according to each stage acted as major driving forces in increasing their confid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the subject of act. Second, by visualizing reality and experiences which are difficult to verbalize through photos,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grew into recorders of space through feedback could reveal ordinariness and various aspects of prostitution space. As women's community space which is daily living space and working space where women ‘work’ and an intimate relationship is formed, the appearance of the prostitution community makes outsiders gaze at ‘what is true’ and provided an idea in newly recognizing the lives of women living in the community as a base of life. Also, with the medium of photos?C visualized voice - which are highly communicable,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and this experience of communication became a factor that grows proud as a recorder of prostitution gathering space. Third, through the course of ‘looking at’ and 'speaking', 'interpretation' course for this made with the medium of photo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find the aspects of life not recognized.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at and photos and talking together,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look at their lives by reinterpreting their present lives from comprehensive and holistic point of view by reminding the past that they have lived as the subject of their lives in the prostitution community. Also,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sharing memories through photos, the link as women’s community ‘We(The One)’ could be strengthened. Fourth, after Yongsan prostitution community was closed, the nature of photo meeting was expanded into the pivot maintaining the community as the meeting pla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ich is physically fragmented and emotional support base. After the common space called community disappeared, the photo meeting became a space wh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unburden theirselves and check the recent condition and came to be responsible for emotional support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live new lives. Also, goes through a series of steps with the medium of photos for more than 3 year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find out that they grew into a step trying to actively give meaning to photos and photo meeting.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that the women group as marginalized being, which is difficult to resurface their experiences and problems, is gradually growing into subjective being through long-term photographic work and being looking at their lives and the living world in the integrated way. Also, it could be found that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inside the group and external world with the medium of photos and continuous feedback acted mainly on change and expansion of awaren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implications in leading women selling their sex as well as othernized groups, social minority groups that cannot reveal their voice and experiences to grow into the social subject who can express their ‘voice’. Also, through ‘visualized voice’, their photographic work,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multidirectionally looking at the dominant value and the social structure surrounding them out of stereotypical understanding. Furthermore, significance may be found in terms that it can be used as an exchange channel that can narrow the distanc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 each other's lives beyond differences and boundaries between othernized groups and mainstream groups, women and women,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