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Title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Authors
황선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의 저소득 및 빈곤문제는 고령화사회가 될수록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상실은 생계수단의 상실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경제적 곤란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자녀가 부양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을 경우 이러한 경제적 곤란은 더욱더 심각해진다. 독거 여성노인의 경제적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노인빈곤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노후 빈곤의 심각성이나 빈곤의 여성 편중현상을 드러내는데 기여했을 뿐 성을 나이, 교육, 지역 등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하나의 범주로만 취급해 온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의 노후 경제적 궁핍과 이를 초래하는 사회적 장치 및 과정이 남성의 경우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즉, 여성노인의 빈곤을 노인 전체 문제의 일부로만 파악하고 그것이 일생동안 누적되어 온 성차별의 결과라는 구조적 측면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노인의 성에 따른 상황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현재의 정책적 접근방법으로는 여성노인의 빈곤문제, 즉 여성노인의 욕구와 문제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저소득 및 빈곤문제 개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 여성노인의 개인특성 요인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개인특성으로 연령, 학력, 건강수준, 취업경력, 노후준비수준을 측정하고, 이것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독거 여성노인의 배우자특성 요인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배우자특성으로 배우자 학력, 결혼관계 해체 전 배우자 소득 및 자산, 결혼 관계 해체 전 직업적 지위 및 고용형태, 그리고 결혼 기간동안의 경제적 가족부양정도를 측정하고, 이런 것들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세째, 독거 여성노인의 자녀특성 요인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자녀특성으로는 취업자녀 수, 자녀의 경제적 부양정도, 자녀의 직업적 지원 및 고용 형태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네째, 독거 여성노인의 결혼관계 해체특성 요인에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결혼관계 해체특성으로는 해체 형태, 해체기간, 해체 시 의존자녀수, 해체 시 배우자자산이전정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교통수당을 받고 있는 독거 여성노인이였으며, 서울시 3개동을 임의로 선정하여 대면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03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시에는 SPSSWIN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27.2%, 36.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개인특성 중 연령이 낮을수록 독거여성노인의 월소득은 높아지며, 자산의 경우 는 연령이 낮을수록, 취업경력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노후준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24.3%, 17.5%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특성보다는 다소 낮은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배우자특성 중 배우자 학력과 배우자 소득이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혹은 자산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보여졌다. 셋째, 자녀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36.1%, 13.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자녀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녀특성 중 자녀의 경제적 부양정도, 자녀의 직업적 지위, 자녀의 고용형태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결혼관계 해체특성은 독거 여성노인의 월소득 및 자산에 있어 각각 12.8%, 18.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소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혼관계 해체특성 중 결혼해체 기간 결혼관계 해체 후 배우자자산이전정도가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보여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은 개인의 특성요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및 자녀특성과 결혼관계 해체특성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여성의 개인특성이 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동류혼적 혼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감안하면 독거 여성노인의 소득은 인적자본 보다는 배우자 및 자녀, 결혼관계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독거 여성노인의 경제적 지위가 인적자본에 의한 영향보다는 배우자 및 자녀의 특성, 결혼관계해체 특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함으로써 여성의 경제적 의존성이 노후 경제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독거 여성노인의 저소득과 빈곤문체에 대한 접근이 남성의 빈곤문제 접근과는 구별되어 이들의 경제적 불안정의 해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득 계층구조, 남성중심적 노동시장 구조 및 여성들의 경제적 의존성을 해소하는 구조적 차원의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정책 및 제도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힌다.;The low income and poverty problems of the elderly are appearing seriously as the society is becoming aged.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emale elderly ones, their losing their spouse cannot but result in the loss of their livelihood and thus experience financial difficulties. Moreover, in case their children have no ability or no intention to support their surviving parent, such financial hardships will become more serious.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financial problem of the elderly widow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poverty of the aged contributed to the revealing of the seriousness of the elderly or the poverty's leaning on women, but showed a tendency of treating sex as one sector with a demographic feature such age, education and region. This is a failure to see that the financial poverty of the elderly women and the social device and procedure causing such a poverty can be different from those of men, that is the failure to see that the poverty of the older women living alone is grasped as part of the problem of the elderly people and it is the result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accumulated for life, the structure of the poverty. So it is said that the current politic approach, which is not considering the situation difference by the sex of the elderly people, cannot fully explain the poverty problem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e quest and problem of the aged women. Thu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with the low income and poverty problem of aged women by considering the women's special situation in Korea, that affect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i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on the income level of th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ividual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background, health, employment career and preparation level for the elderly and analyzed whether or not it works a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Second, this study also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spouse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upon the income level of them. For the spouse factors, this study measured the education, broken marriage relation, the income and assets of their ex-spouse, the employment position and type before the breaking of marriage relation and the financial support for family during marriag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rd,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on their income and measure, for the children factors, the number of employed children, their children's financial support, their children's job position and employment typ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Fourth,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breaking factors of marriage on their income and then measured, for the breaking factors of marriage, the breaking type, breaking period, the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of the broken marriage and the assets transfer of spouse, and then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things work as factors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targeted at older women the age of over 65, who were living alone and receiving their transportation allowance from the government, from three administration-dongs selected freely. They were interviewed and a total of 103 copies of questio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atistic program, SPSSWIN 8.0 was used along with technology statistic analysis and rarity analysis.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individual factors are affecting as 27.2% on the monthly income and 36.8% on the asset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monthly income of them was higher as their age was younger. Their assets were higher as their age was younger, their employment career was longer and their preparation level for the elderly was higher. Second, it is shown that the spouse factor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ffect less than the individual factors as 24.3% on the monthly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17.5% on their assets. Among the spouse factors, the education and income of their spouse were shown to be a little affecting the monthly income or asset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Third, it is shown that their children factors are affecting as 36.1% on their monthly income and 13.2% on their income. Their children factors are shown to b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mong their children factors, their children's financial support, their children's job position and their children's employment type are a littl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Fourth, it is grasped that the marriage breaking factors are affecting as 12.8% on the monthly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18.3% on the assets of them. Among the marriage breaking factors, marriage breaking period and the assets of their spouse after the marriage breaking are a little affecting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As stated above, the incom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is affected by not only their in야vidual factors, but also their spouse and children factors and their marriage breaking factors. Moreover, the individual factors of a woman is affected by their likelihood marriage rather than affect her income directly. And so the income of them is shown to be affected by their spouse, children and marriage relation factors rather than human assets. As resul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woman's financial dependence is affecting the financial level for the elderly by proving that the financial position of older women living alone is affected by their spouse, children and marriage breaking factors rather than hum resources. Therefore, the approach toward the solution of the low income and poverty of aged widow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ne toward the solution of the poverty of aged men. And thus in order to solve their financial instabi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nd develop the policy and system to make structure-level efforts so that the income hierachic structure, the man-centered labor structure and the financial dependence of women can be improved and sol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