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세현-
dc.creator김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56-
dc.description.abstractDisabled women, who make up 50% of the total disabled population in Korea, are having many problems in social activities and independent living, due to more restric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more responsibility of household affairs and bring up their children than the disabled men. Those problems are connected to condition of working, causing the shortness of opportunity for employment, unfair wages, discrimination in raising of job position, difficulties in finances. Recently,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disabled women have many difficulties in life, weighted by disabolism and sexism. But, there are little known study about problems of disabled women and also little study about solutions in unfair employment for realizing their independence and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factors for strengthen their employment opportunities, which leads to productive social integration and normalization of disabled women. The target of study was limited to physically disabled women who are employed or had a job. The method of study was interview by a questionnaire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degree of cognition in employment opportun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personal aspect of disabled women,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mployment opportunities was the will of independence,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economic standards, personality. It is proven that the higher i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the more progressive in employment. Also, it is proven that positive, active personality and an unyielding spirit are the factors for continuing employment. Therefore, I assert that development and supply of programs for acceptance of disability or for development of self-esteem are very helpful for recrui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by physically disabled women. Secondly, in the aspect of fami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mployment was the parents' standards, the degree of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the degree of burden in household affairs. Especially, in the parents' standards, it is proven that equality model out of many models is very helpful for continuing employment.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physically disabled women have big problems in their employment because of family responsibilities including child rearing after marriage. So, it is important that new child care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can provide a housekeeper,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Further, parent educating system should be enforced and an allowance for disabled children should be granted. Thirdly, in the aspect of environment of service us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mployment was job training, registration for job search, support of service, aftercar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hat accessibility to job training and extension of connect to job search should be secured. Also, it is necessary that service provider should continue aftercare in order to reduce problems or discrimination what treatment can be changed in workplace by employer. Fourthly, in the aspect of social environme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mployment was the experience of job searching, discrimination or consideration in work, the degree of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equipments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it is known that physically disabled women have many experience of frustration and breakdown when they search for job because they are discriminated by disability. Especially,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equipment for the disabled are vital factors in employment opportunities. I suggest many solutions in transportation and service facilities problems. Fifthly, in the aspect of institutional policy - specifically sufficiency and efficiency of institution, need of disabled women -, most of disabled women responded that policy didn't reflect sufficiently their characteristic. Further,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various needs of disabled women. Finally, in the aspect of social recognition, I investigated recognition to society and endeavor for change recognition from disabled women. Through above investigation, it is specifie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disabled women. For the solu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 social policy, to improve in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endeavor by disabled women.;우리 나라 장애인구의 약 반을 차지하는 여성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남성장애인에 비해 결혼으로 인한 자녀양육과 가사노동, 그리고 교육기회의 체한 등으로 사회활동과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에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으며 이는 곧 직업생활로 연결되어 취업기회의 부족, 불평등한 임금, 인사차별,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게 된다. 여성장애인은 여성으로서 당하는 차별(sexism)에 덧붙여 장애인에 대한 차별(disabolism)이라는 이중의 차별이 가중되어 생활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논의가 최근에 급속히 대두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장애인의 문제와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 해줄 만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며 그들의 차립과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인 취업에 관한 연구도 매우 미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과 정상화(Normalization)를 위해서는 취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선결요건임을 인식하고 그들의 직업생활을 지속강화 시키는 요인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취업중이거나 취업경험이 있는 여성지체장애인으로 한정하였고 연구방법은 반구조화(semi-constructed)된 질문지를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여성지체장애인이 직업생활에 대해 인식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지체장애인의 개인적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개인적 측면으로는 취업 및 자립의지, 장애수용 및 자아존중감, 경제적인 어려움, 성격이 직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지체장애인은 일단 직업생활을 경험하고 나면 일에 대한 성취감과 자신감이 생겨나 취업에 대한 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수용도가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직업생활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신의 부정적 신체이미지를 어떻게 극복했느냐의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여성지체장애인은 경제적인 문체로 직업생활을 지속하는 사례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나 그들이 경제적으로 매우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성격요인으로는 긍정적·낙천적인 성격, 적극적·활달한 성격, 오기 등이 직업생활을 유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지체장애인이 직업생활을 활성화시키고 지속시키기 위해 장애수용프로그램이나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둘째, 여성지체장애인의 가족적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가족적 측면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장애자녀교육, 가사부담 및 자녀양육이 직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과잉보호형, 비장애인 자녀와 동등하게 대우하는 평등형, 방임·차별형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긍정적인 모델은 동등형으로 다른 자녀와 동등하게 키우며, 사회로부터의 장벽, 차별 등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 성인이 되어 사회와 직업생활에 적응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여성지체장애인은 결혼 후 가사부담과 자녀양육이 직업생활에 큰 부담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여성지체장애인에게 가정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녀양육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탁아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여성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교육에 콘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교육을 실시해야하며 장애아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장애아동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고 의무교육을 생활보호대상자 뿐만이 아니라 일반인 가정에도 확대 적용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여성지체장애인의 서비스이용환경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서비스이용환경 측면으로는 직업훈련, 구직등록 서비스지원 사후관리가 직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지체장애인은 직업훈련경험이 없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직업훈련이 구직과 연결될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고 실제 취업연결 가능성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업훈련의 접근성 확보와 구직과의 연계성 확대라는 과제가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여성지체장애인은 서비스 지원에 있어 접근성과 정보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그들에게 서비스 지원체계를 강화해 주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취업관련 다양한 제반 여건 즉 직업상담, 서비스제공자의 태도 등도 여성장애인의 직업생활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인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취업 후 사업체에서 처우 사항을 변경하거나, 차별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 제공자가 지속적으로 사후관리를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환경적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회환경적 측면으로는 구직시도경험, 직무관련요인, 직장내 차별이나 배려, 출퇴근시 교통 문제, 편의시설 설치 등이 직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여성지체장애인은 구직시도상 수많은 좌절과 실패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들은 여성으로서 사회에서 요구하는 신체적 미의 기준에 부적합하다는 점과 장애인이라는 이중적 불리함을 안고 있어 직업영역에 있어서 선택과 기회의 제한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관련 요인으로는 업무를 통한 성취감,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대인관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 교통문체와 편의시설 설치의 문제는 여성지체장애인의 직업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출퇴근 시 버스, 전철 모두 여성지체장애인이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량구입지원의 확대와 이동수단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필요성을 암시해 주는 것이다. 편의시설 설치는 계단을 언덕으로 전환시키고,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화장실 개보수, 신축 건물 내 엘리베이터 설치 문턱 없애기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여성지체장애인의 제도정책적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여성지체장애인이 인식하는 제도정책부분으로 제도의 충분성, 제도의 효과성, 제도적 욕구를 보았다. 여성장애인은 제도와 정책이 여성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제도의 효과성 부문에서 장애인 고용관련 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한편 제도의 실효성부분에서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여성 지체장애인은 다양한 제도적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 장애 아동양육수당, 장애인자녀 탁아서비스지원, 가정도우미 파견, 의료 혜택, 직업훈련 교육지원, 일반학교에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중증장애인 재활정책 활성화, 저소득층 장애인의 취업활성화, 고학력자의 취업기회확대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제도적 욕구는 현실 및 사회적인 여건에 맞추어 조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그들의 욕구를 적절히 반영하고 제도를 점차 개선·보완해 나가는 면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여섯째,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인식적 측면이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여기서는 여성지체장애인이 바라보는 사회인식, 사회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으로는 장애인측면, 사업체 측면, 사회전반의 인식변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여성지체장애인은 사회의 편견, 차별, 멸시로 인해 사회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생활에 큰 저해요소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으로 여성지체장애인은 그들이 사회의 따가운 시선에도 굴하지 말고 당당히 밖으로 나와야 하며 장벽과 차별로부터 맞서서 싸워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사업체는 일단 여성지체장애인을 고용하여 그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사회전반의 인식개선을 위해서 어려서부터 장애인에 대한 교육을 시키며, 연구물 발간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회적 인식은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나가야 할 당면 과제로서 앞으로 여성지체장애인의 인식개선을 위해 다각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여성지체장애인이 자립생활을 하고 직업생활을 유지하는데는 많은 제약들이 따른 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 장애인 본인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정책적인 뒷받침, 사회인식의 개선이 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과 의의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사회통합과 여성장애인의 직업 = 6 1.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 = 6 2. 현대사회에서 여성장애인의 직업이 갖는 의미 = 8 B. 장애인의 직업생활에 관한 선행연구 = 10 1. 장애인의 직업생활 = 10 2. 직업생활의 중요성 = 11 3. 직업생활의 결정요인 = 12 4. 여성장애인의 직업생활에 관한 선행연구 = 24 III. 연구 방법 = 29 A. 분석틀 = 29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31 C. 자료의 분석 및 관리방법 = 34 IV. 결과분석 = 38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38 B. 분석결과 = 49 1. 개인적 측면 = 49 2. 가족적 측면 = 55 3. 서비스환경적 측면 = 62 4. 사회환경적 측면 = 68 5. 제도정책적 측면 = 76 6. 사회인식적 측면 = 81 V. 결론 = 85 A. 연구 결과의 요약 = 85 B.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90 ■ 참고문헌 = 92 ■ 부록 = 96 ■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615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성지체장애인의 직업생활지속 강화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