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
dc.creator박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4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조선전기에 妻妾秩序가 확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당시 가족구조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조선 건국 후 조선의 위정자들은 유교사상에 기반을 두고 적처와 첩의 구분을 명확히 하려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실제로 첩이 되는 여성의 신분이 적처에 비해 낮았기 때문에 士族신분을 옹호하려는 신분관념의 도움을 받아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적처와 첩의 구분을 명확히 하려는 정책은 一夫一妻制의 확립과 병행하여 시행되었다. 국초부터 命婦封爵에 있어서 正妻만을 봉작하도록 하고 정처를 버리는 행위에 대하여 처벌하였으며, 태종 13년에는 처가 있는데 또 다른 처와 혼인하는 행위에 대해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처벌하였다. 특히, 태종 13년의 조치는 점차 조선사회에서 2처 이상을 두는 현상이 사라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 국가에서는 가정내에서의 처첩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妻妾秩序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이 발각되면 처벌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사례가 남편이 첩을 사랑하여 정처를 버리거나 소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남편을 『大明律』의 妻妾秩序條에 의해 처벌하였고 첩이 적처를 능멸한 구체적인 상황이 드러나는 경우에는 첩을 처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는 유교적인 가족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에 지나지 않았으며, 첩을 두는 것을 제한하는 것과 같은 구체적인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또, 功臣이나 寵臣이 처첩질서를 문란하게 하는 범법행위를 하였을 때는 제대로 처벌되지 않았다. 한편, 적처와 첩 뿐만 아니라 그 외의 가족질서도 嫡系를 중심으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첩자가 적모를 친어머니와 같은 의리로 모시도록 하고, 嫡弟妹와 서형자가 서로 구타하였을 경우의 처벌규정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특히, 嫡子系과 妾子係을 구분하여 첩자손을 차별하도록 한 것은 조선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제사를 받드는 데 있어서도 宗法秩序와는 달리 嫡子와 妾子를 구분하여 嫡長子에게 첩자가 있더라도 적장자의 同母弟에게 적자가 있으면 적장자가 동모제의 적자를 立後하든지 동모제에게 奉祀權을 넘기도록 규정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이유는 良妾이라 하더라도 嫡室에 비해서 상당한 정도의 신분차이가 나는 현실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 世宗朝에는 祖父의 承重대상자로 良妾子만이 논의대상이 되었던 데 반해 成宗朝에는 良賤의 구분 없이 첩자로 통합되어 나타나며, 노비상속에 있어서도 賤妾子에 대한 상속분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太祖朝 이후 점차로 아버지를 중시하는 관념에 따라 從良法이 제정됨으로써 천첩자의 지위가 높아지는 현상과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양첩자는 적첩구분이 명확해지고 천첩자가 良人化됨에 따라 전보다 더 천시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조선전기에 처첩질서가 확립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사족층의 여성은 혼인한 후에 남편 집안의 가부장적 질서안에 더욱 예속되었다. 한편, 첩을 두는 주체인 남성을 규제하기 보다는 첩과 첩자손을 더욱 천시하는 반면에 천첩자를 종량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함으로써 양첩자와 천첩자의 간격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 良妾에 비해 賤妾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천첩자의 종량이 행해지고 이들이 아버지의 품계에 따라 관직을 받을 수도 있게 되는 등 조선전기 천첩자의 지위 상승은 조선 중·후기에 庶孼血統問題가 제기될 수 있는 단초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조선전기 천첩자의 지위 상승은 가족질서에 있어서 아버지의 권한을 강화하려는 측면이 반영된 결과이기 때문에 처첩이 시댁의 가부장적 질서하에 예속되어 가는 추세와 함께 가부장적 질서 강화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wife and concubine order in the early Choso ̄n dynasty and examine the directions of change in the family structure centering around that order. After the foundation of dynasty, Choso ̄n rulers continuously promoted proper policies to clear out the distinction between legal wife and concubine a on the basis of Confucian thoughts. These policies were easily accepted by the people with the help of the nobility who wanted to solidify their social privileges since the social position of concubine was lower than that of legal wife. Policies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legal wife and concubine were excuted in parallel with the establishment of monogamy system. From the earliest period, only legal wives could be graced with a title, abandoning legal wife was a criminal behavior to be purnished, and in the 13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getting married to another woman beside legal wife was completely prohibited and purnished. Especially, the prohibition of king Taejong was a turning point ever since the existence of two legal wives was disappeared from the Chosun society. Also as a means of maintaining the hierarchy between legal wife concubine in the family, when breaking that order was found out, it was immediately purnished. Among breaking behaviors, the most common case was husband's abandoning or maltreating legal wife from excessive love of concubine. In this case, husbands were punished Londer Article related to breaking the wife and concubine order of "Taemyo ̄ngryul(大明律)", and concubines were punished too when their disrespect toward the legal wife were clearly found out. These regulations, however, were nothing but a minimal step to maintain the confucianistic family order, thus somehow allowing husbands' having concubines. On the other hand, the family order was maintained centering around legitimacy. In particular, the severe discrimina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offspring and maltreatment of the illegitimate were predominant phenomena in the Choso ̄n society. In the services to ancestors too, the authority was given priorily to a legitimate eldest son, and when the legitimate eldest left only illegitimate sons, the right to serve ancestors was given to legitimate offspring of his siblings or an adopted son from the families of his siblings. This was because a concubine's social status was considerably low compared with a legal wife, even though she was a commoner.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sons of commoner concubines were the only object of consideration for serving their ceased grandfather,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ngjong, there was actually no distinction between the common illegitimate child and lowly illegitimate child due to the amalgamation of the two groups and in inheriting the benefits to the latter were increased. These social phenomena were coherent with the rise of lowly illegitimate offspring's social standing as a result of increasing respect for fatherhood and the enactment of 'the Social Ascension Law(從良法)' after the first king's reign. On the other hand, common illegitimate children received more contempts as distinction between legal wife and concubine become clear and illegitimate offspring of humble birth ascended in social standing. The establishment of wife and concubine order in the early Choso ̄n dynasty brought out results as follows: women of noble birth were more strongly subordinated to the patriarchal order in the husbands how after their marriage. Meanwhile, regulations made concubines and their offspring more mean rather than restraining men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lowly illegitimate offspring to rise in Social standing, thus the gap between the common and lowly illegitimate was narrowed. And when it was usual for men to have low-class concubines than common ones, the social ascension of the lowly illegitimate offspring in the early Choson dynasty provided some grounds for the later controversies over improving the social standings of the concubine's children in the middle and late Choson dynasty. Since the social ascension of the lowly illegitimate offspring reflected the social tendency to reinforcing the authority of the father, both wife and concubine could not but be subordinated to the patriarchal order in their husband's home, thus showing one side of social reinforcement of the patriarchal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緖論 = 1 II. 朝鮮前期 妻妾秩序의 형성배경 = 5 III. 妻妾秩序 문란행위에 대한 처벌실태 = 11 1. 有妻娶妻 금지법령의 반포와 棄妻행위에 대한 처벌 = 11 2. 남편에 의한 妻妾秩序 행위에 대한 처벌 = 24 3. 기타 嫡妻秩序 문란 행위에 대한 처벌 = 33 IV. 『經國大典』에 나타난 嫡妻子孫 구분에 관한 규정의 정비 = 39 1. 奉祀規定 = 39 2. 財産相續規定 = 46 3. 妾子孫의 관직진출 제한 규정 = 52 V. 結論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67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71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전기 처첩질서 확립에 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