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미-
dc.creator최윤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4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인터넷을 매개로 한 정보화 시대에 비즈니스의 무대가 세계화 되어가는 추세에서 개인의 능숙한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조직과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세계의 흐름에서 뒤쳐지지 않고 세계경제에 동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비즈니스 영어 능력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과거의 일반적인 목적에서의 학습보다는 목적과 수요자 중심의 전문적인 비즈니스 영어 교육이 주목 받게 되었다. 그러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가 출판되고, 다양한 교육이 제공되고 있는 것에 비해 평가에 대한 관심은 미진한 편이다. 미국, 영국, 일본에서는 다양한 비즈니스 영어 시험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주로 외국에서 개발된 시험에 의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외국 영어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시험이 실질적인 영어 업무 능력을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비즈니스 현장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영어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시험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영어 시험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 규명을 위해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다국적 기업에서 영어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을 일반직과 비서직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총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였다. 제1차 조사에서는 전문가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일반직 49명, 비서직 12명에서 개방형 설문을 송부하여 빈번한 영어 업무 유형, 어려운 영어 업무 유형, 중요한 영어 업무 유형, 평가되어야 할 영어 능력에는 무엇이 있는지 답하도록 하였다. 제1차 조사에 참여한 61명의 응답을 내용분석 하여 제2차 조사 설문을 작성하였고, 응답자로 하여금 각 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제3차 조사에서는 제2차 조사와 같은 방법으로 각 항목의 중요도를 재평가하여 전문가 집단이 중요하다고 합의를 이룬 항목만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비즈니스 영어 평가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설문 조사는 2001년 8월 21일부터 11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제1차 설문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빈도수를 산출하는 내용분석과, 제2차, 제3차 설문 응답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42개의 비즈니스 영어 평가내용을 최종 평균과 언어 사용 영역, 즉 이해 영역, 표현 영역, 관련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최종 평균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5점 이상을 얻은 항목은 총 3개였다.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과 지시 혹은 전달사항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 1:1 전화통화 능력이 평가에 반영되어야 한다. 4점 이상의 평균값을 나타낸 항목에는 다자간 전화통화(컨퍼런스 콜), 다양한 비즈니스 서신(이메일, 편지, 팩스, 메모 등)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비즈니스 서신을 작성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두로 지시하거나 사안을 전달하는 능력, 회의에 참여하여 듣고, 말하는 능력, 협상과 교섭하는 능력이 비즈니스 영어 평가에 반영되어야 한다. 간단 명료한 표현력이 중요하며, 업무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도 비중 있는 평가내용 이다. 비즈니스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영어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하며, 업무에 대한 배경지식, 업무보고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는 능력도 평가내용에 해당한다. 공손어법, 완곡어법도 비즈니스 영어 평가에서 다루어야 하는 부분이고, 고객상담을 위한 회화, 회의자료 작성, 업무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도 중요한 내용이다. 영어로 이루어지는 직무교육을 받을 때 그 내용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과 외국손님을 응대할 때 필요한 회화도 중요하며, 어휘력,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매뉴얼과 계약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일상대화도 중요하고, 한글을 영어로 번역하는 능력도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매체(인터넷, 신문, 뉴스 등)를 통한 정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에 포함시켜야 한다. 평균 3점 이상을 얻은 항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어를 한글로 번역할 수 있는 능력, 문법능력, 발음 및 액센트 역시 중요하다. 통역, 영어로 직무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 사업계획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의 발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외국문화 및 관습을 이해하는 것, 계약서를 작성하고, 시사상식에 대한 이해,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도 요구된다. 매뉴얼을 설명하고 작성할 수 있어야 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평가내용에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가 비즈니스 영어 교육내용에 직접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언어 사용 영역, 즉 이해 영역, 표현 영역, 관련 영역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내용으로는 서신 읽고 이해, 계약서 읽고 이해, 사업계획서 읽고 이해, 업무 보고서 읽고 이해, 매뉴얼 읽고 이해,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읽고 이해, 지시 및 전달사항 듣고 이해, 영어로 이루어지는 직무교육 시 교육내용 듣고 이해,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의 발음 이해, 어휘력, 문법능력이 있다. 표현영역으로 분류되는 평가내용에는 서신작성, 계약서 작성, 사업계획서 작성, 업무보고서 작성, 프리젠테이션 자료 작성, 매뉴얼 작성, 회의자료 작성, 한글을 영어로 번역, 영어를 한글로 번역이 있다. 또한 구두 프리젠테이션, 회의, 구두로 지시 혹은 전달하기, 업무 설명, 협상 및 교섭, 1:1 전화통화, 컨퍼런스 콜, 매뉴얼 설명, 영어로 진행하는 직원교육에 필요한 회화 혹은 표현, 한국문화 설명, 일상대화, 고객 상담용 회화, 외국손님 응대용 회화, 통역, 간단명료한 표현,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 공손/완곡어법, 발음 및 액센트가 있다. 끝으로 관련 영역으로 분류되는 내용으로는 업무 배경지식, 전문용어 이해, 시사상식, 외국문화 및 관습 이해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평가 내용을 현재 외국에서 시행 중에 있는 비즈니스 영어 시험 중에서 6개를 선정하여 평가내용을 비교, 대조해 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42개 항목 중에서 외국 시험에서도 평가되고 있는 내용은 22개, 평가되고 있지 않은 내용은 20개였다. 차이가 있는 내용 중에는 우리나라 실정에서만 고려될 수 있는 항목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한국의 비즈니스 영어 시험을 개발하고 문항을 제작하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나아가 국제 사회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전문 비즈니스 영어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내용, 교육과정,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needs for enhancing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has burgeoned in the current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The purposes of learning English is more specified than ever.. One of those specific need is to acquire good command of Business English. This is because most companies are requiring their employees to show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for promotion. Business English courses are mushrooming in various institutional levels and materials are abundant in the market. While there has been much interests and developments in Business English,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conducted on Business English assessment. The Business English tests that we are currently using are mostly British or American. Employing these foreign tests have raised concerns because the test score does not seem to reflect the test-takers' performance of Business English in Korean contex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necessary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Business English test for Korean people. A three-round Delphi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61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multinational companies to obtain consensus on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Business English tests. In the first rou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respondents to find out the frequent Business English tasks, the difficult/complex Business English tasks, the important Business English tasks, and the necessary Business English abiliti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Business English test. In the second roun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first round survey were sent to 61 experts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each item to be included in the list of necessary content to develop Business English test for Korean business people. In the third round, the same procedure as the second round was repeated to obtain the consensus among the respondents. Forty-two items were obtained from three round Delphi surveys. The most highly rated items were expressing ideas precisely, listening and understanding directions, and one-on-one telephoning. The next highly rated items were conference call, understanding contract documents, understanding business correspondence, writing business correspondence, conveying messages, participating and communicating in business meetings, negotiating, expressing ideas short and clearly, explaining tasks, writing business presentation materials, background knowledge, understanding reports, giving presentations, polite and euphemistic expression, meeting with clients, writing business meeting documents, writing reports, understanding job training, meeting foreign customers, vocabulary, knowledge on technical terms, understand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media, and daily conversations. Additionally, items found to be important were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translating Korean into English, grammar, pronunciation and accent, interpretation, doing job training, understanding business plans, understanding non-native English speakers' pronunciation,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customs, writing contract documents,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manuals, explaining Korean culture, knowledge on current news. Additional classification were done in the area of language use. In the interpretive area, there were understanding of business correspondence, contract documents, business plan, reports, manual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media, oral directions, job training, non-native English speaker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In the productive area, the test items were writing of business correspondence, contract documents, reports, business presentation material, manual, business meeting documents,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and Korean into English, and giving presentation, participating and communicating in the business meeting, conveying messages, explaining tasks, negotiating, one-on-one telephoning, conference call, explaining manual, doing job training, explaining Korean culture, daily conversation, interpretation, expressing short and clearly , expressing the correct idea, polite and euphemistic expression, pronunciation and accent. Fin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compared to the 6 British and American Business English examinations. Among the 42 test contents, 22 were in common and 20 were distinct in this study only. The present study serves as an important foundation in developing Business English test for Korean business context. Moreover, the results will be closely connected to developing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in Business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Business English and Business Communication should be facilitated. There is a need for the Korean Business English test, too. Furthermore, it will be interesting to define and differentiate the test contents according to the business size and types in the following study.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various English tests for certificates so that English examinations go in concordance with the English education and assessment. Related studies in this field should foll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배경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7 A.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 7 1. ESP의 개념과 유형 = 7 2. ESP 평가 = 10 B. English for Business Purposes (EBP) = 16 1. EBP = 16 2. EBP 평가 = 20 C. 델파이 방법 = 27 1. 델파이 방법의 개념 및 특징 = 27 2. 델파이 방법의 절차 = 28 3. 델파이 방법의 장단점 = 31 4. 델파이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33 5. 델파이 방법 관련 선행 연구 = 34 III. 연구방법 = 36 A. 연구대상 = 37 B. 연구도구 = 40 C. 연구절차 = 44 D. 자료 분석 방법 = 46 IV. 연구결과 = 51 A. 차수별 설문지 회수율 = 51 B. 차수별 델파이 조사 결과 = 52 1. 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 52 2. 제2차 델파이 조사 결과 = 64 3. 제3차 델파이 조사 결과 = 67 4. 제2차, 제3차 조사 결과 비교 = 71 C. 해외 비즈니스 영어 평가내용과의 비교 분석 = 74 V. 결론 및 제언 = 78 A. 요약 및 논의 = 78 B. 한계점 = 82 C. 제언 = 83 참고문헌 = 85 부록 = 92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10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즈니스 영어 평가내용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