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59 Download: 0

보바리 부인 Madame Bovary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과 소외

Title
보바리 부인 Madame Bovary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과 소외
Authors
윤혜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플로베르의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 인물들의 욕망이 19세기 여성의 사회적 조건에서 비롯된 여성의 소외와 연관이 있음을『보바리 부인 Madame Bovary』의 여주이공을 중심으로 규명해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바리 부인』에 관해서는 여서 각도에서 많은 연구가 되어 왔고, 특히 등장인물들의 욕망의 구조나 욕망추구의 과정도 지라르(Girard)의 욕망의 이론등에 근거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여성인물의 행동이 제도속에서 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여주인공의 욕망을 여성인물이 갖고있는 허황되고 비현실적인 기질에서 나오는 것이며, 매개된 욕망으로만 파악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여주이공 엠마의 행위를 여성중심의 관점에서 조명해 봄으로써, 텍스트에 드러나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 그 결과『보바리 부인』의 여주인공의 욕망은 단지 그녀의 감상적이고 정열적인 기질에서 나온 것이라는 개인적 차원의 해석만으로 만은 설명될 수 없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즉, 엠마의 욕망과 소외는 19세기의 일반적인 여성의 위상을 대변해주는 전형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Ⅰ부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고 19세기 여성의 소외를 낳고 있는 여성의 사회적 조건을 살펴보았다. Ⅱ부에서는, 플로베르 소설에 그려지고 있는 여성인물들은 초기작품에서 후기작품에 이르기 까지 일관되게 19세기 여성의 소외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만큼, 『보바리 부인』에 제한된 우리의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초기작품들에서의 여성인물들을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초기작품들에서 여성인물들은 사회에서 부차적인 존재로서, 제한된 공간에서 한정된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플로베르가 창조하고 있는 여성 신화에서도, 기존체체가 옹호라는 여성의 가치들이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Ⅲ부에서는, 『보바리 부인』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엠마의 욕망이 형성된 배경과 그것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 수녀원에서의 교육과 독서를 통해 엠마가 갖게 된 세계관은 상상에 의해 만들어진 보바리즘만을 낳을 뿐, 판단력이나 자기실현을 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더욱이 수녀원에서의 교육은 남성중심사회에서의 규범과 가치관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여성에게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다움(feminite)만을 키워주어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엠마의 욕망추구가 자기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의 도정임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결혼으로 말미암아 보바리 부인으로만 존재하게 된 엠마가 자기 상실감을 느끼게 된 데서 나온 것임이 판명되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자신의 현재의 운명에 만족할 수 없는 엠마가 자신의 존재를 찾기 위한 반항을 해나가는 모습을 추적해 보았다. 3장에서는, 비현실적 욕망을 갖게 된 엠마는 자아실현을 해나감에 있어 구체적이지 못하고 귀족에 대한 신화적 욕망을 펼쳐나갈 수 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엠마를 포함해 여성인물들은 미와 정숙함, 모성등을 여성다움의 덕목으로 기대하는 가부장적 사회의 제약들에 의해, 가정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소외된 삶을 살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결과, 사회 창조적 일에서 배제되어, 주체(subject)이기보다는 타자(autre)로서 살게 된 여성인물들은 자기실현의 욕구를 대리로 충족시킬 수밖에 없게 되어, 여성이 여성을 적대적으로 생각하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Ⅳ부에서는, Ⅲ부에서 밝혀진 엠마의 욕망의 사회적 성격을 전제로, 플로베르가 텍스트에 창조해내고 있는 여주인공의 실패를 소외양상, 소외의 극복, 소외의 결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엠마의 소외된 모습을 소외양상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정체되고 비좁은 유폐공간에 갇혀서, 단조롭고 반복된 권태의 시간을 보내게 되는 엠마의 모습을 살핌으로써 여주인공의 소외된 현실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살펴본 인간관계에서는, 인물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대화가 독백이 되어버리고, 여주이공의 소외가 심화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리는 여기서 플로베르의 표현기법에 의해 대화의 단절이 두드러지게 형상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엠마가 자신의 소외를 극복하기위한 현실적인 방법으로 에로스적 욕망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엠마의 욕망이 필연적으로 물신숭배를 낳고 그로 인해 파멸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는 특히 플로베르가 사용하고 있는 약속어음에 의한 경제적 은유와 바퀴의 이미지에 의해 샤를르가의 몰락과정이 효과적으로 드러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여성의 소외상황을 극복할 수 없게된 엠마가 죽음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엠마의 죽음은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 장치된 엠마의 발작과 기절의 반복을 통해 준비된 것임이 밝혀졌다. 그녀의 죽음은 여성의 조건에서 비롯된 소외가 근본적으로 극복될 수 없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나, 자살행위를 통해 기존제도와 남성위주사회에 반기를 드는 상징적인 저항의 메시지가 담겨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기존의 형식적인 분석이나 의미분석에서는 도외시한 여성 인물의 행동양식을 일관성 잇게 설명할 수 있었으며, 19세기 여성의 위치를 작품을 통해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Le but de notre etude est d’eclaircir que le desir d'heroine de Madame Bovary est en rapport avec l’alienation des femmes du ⅩⅨe siecle due a leur condition sociale. On a deja fit beaucoup d’etudes sur Madame Bovary sous diverses perspectives. Surtout les etudes des structures du desir du personnage feminin ou celles gy processus de la recherche du desir ont ete continullement realisees d’apres la theorie du desir de Rene Dirard. Cependant, on a jusqu’ici considere le desir du personnage feminin comme le resultat de son temperament irreel et fabulateur, et comme le desir mediatise. Mais ses comportement resultent des institutions sociales. Quant a nous, nous avons pu interpreter d’une nouvelle perspective I’image de la femme dans le texte qui est le produit d’imagination de Flaubert en eclairant du point de vue feministe les conduites d'Emma, I’heroine de Madame Bovary. Nous avons constate par la que le desir de l’heroibe de Madame Bovary n’etait pas un simple produit de son temperament sentimental et passionnant mais que le desir et l’alienation d’Emma representent la realite social des femmes dans la societe francaise du ⅩⅨ siecle. Dans la Ⅰere partie, nous avons examine la condition sociale des femmes du ⅩⅨ siecle. Dans la Ⅱe partie, nous avons etudie l’ensemble des personnages feminins dans les premieres oeuvres de Flaubert etant donne que les personnages feminins du roman flaubertien montrerent avec coherence I’alienation des femmes de ce siecle. Cette etude a ete faite pour soutenir notre these reduite dans le roman, Madam Bovary. Par consequent, nous avons eclairci que les personnages feminins dans les premieres oeuvres etaient secondaires dans la societe et jouaient les roles limites dans un espace restreint. Et il s’est revele que les valeurs feminims defendues par la societe des hommes ont ete acceptees dans l'image feminine cree par Flaubert. Dans la Ⅲe partie, nous avons examine la source qui a forme le desir d’Emma et son caractere, a travers l’ analyse concrete de Madame Bovary. Dans le Ⅰer chapitre, nous avons constate que la vision du monde d'Emma, formee a travers l’education et la lecture faites dans un couvent ne produisait que ls Bovarysme et qu’elle ne fournissait a Emma ni la capacite de se realiser ni le sens de critique. D’ailleurs, etant donne que l’education des filles dans un couvent se constituait en founction des regles et des valeurs de la societe masculine, elle empechait les femmes d’accomplir les roles de societe et n’encourageait que la feminite demandee par la societe. Dans le Ⅱe chapiter, nous avons eclaire que la poursuite du desir de l’heroine etait le parcours de trouver son identite. Nous avons conclu que ceci venait du fait qu’Emma se sentait avoir perdu son identite et n’exister qu’en tant que madame Bovary par le mariage. Ainsi nous avons poursuivi les actes de revolte d’Emma qui ne se satisfaisait pas de son sort et qui tentait de retrouver son etre. Dans le Ⅲe chapiter, nous avons examine qu’Emma ne pouvait concretement se realiser et n’avait que le desir mythique de noblesse. Nous avons aussi montre que les femmes y comprise Emma vecurent dans un espace limite: le foyer. Par consequent, nous avons pu constater que les personnages feminins qui ont ete exclus des activites creatives, ne pouvaient vivre qu’en tant qu'autre, pas en tant que sujet. D’ou venait que les femmes ne pouvaient satisfaire le desir de se realiser qu’a travers l’autre et que les unes considerent les autres comme les ennemies. Nous avons pu voir par la que le desir du personnage feminin avait une signification sociale. Dans la Ⅳe partie, nous avons examine l’alienation du personnage feminin cree dans le texte flaubertien. Dans le Ⅰer chapiter, nous traite Emma alienee sous l’aspect d’alienation. Emma qui est claustree dans un espace stationnaire et etroite et qui passe le temps ennuyeux et repete montre clairement la realite d’alienation du personnage feminin. Ensuit, nous avone montre qu’ayant examine les rapports homains dans le roman, le dialogue devenait le monlogue, l'alienation du personnage feminin s’accentuait a cause de incommunicabilite entre les personnages. Par la nous avons vu l’incommunicabilite enter les personnes a ete bien exprime par l’art d’expression de Flaubert. Dans le Ⅱe chpitre, nous avons examine qu’Emma recherchait le desir pour surmonter son alienation. Et nous evons su que oiur la realisation de ce desir, le desir erotique etait recherche comme moyen reel par Emma. Dans le Ⅲe chapitre, nous avons examine que le desir d’Emma engendrait necessairement sa faillite par le fetichisme et l'argent. Nous avons pu decouvrir que la ruine de la famille de Charles se revelait bien par le metaphore economique de billet a ordre et l’image de la roue. Dernierement, nous avons etudie le parcoure d’Emma d’aboutir a la mort, n’ayant pas surmonte la siturtion de l’alienation de femme. Nous avons pu pressentir la mort d’Emma a travers les crises et les evanouissements repetes et mis dans le developpment de l’histoire. Sa mort monter que l’alienation due a la condition feminine ne peut etre surmontee. Mais nous avons constate que l’acte suicidaire implicitait le message de revolte symbolique contre la societe des hommes. A travers ces etudes, nous avons pu expliciter avec cherence le mode de comportements fu poersonnage feminin neglige par l’analyse formelle et celle du contenu de roman et situer les femmes a leur place dans la societe framcaise du ⅩⅨe siec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