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육군 전투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

Title
육군 전투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
Authors
최지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ombat uniform garments through a survey regarding current wearing conditions, and furthermore to propose a combat uniform design more well suited to movement and body type. For this study, a survey of soldiers on active service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a design that addressed the weak points of the garments currently in use was proposed. Four sets of experimental garments were created and in addition to present combat uniforms used in sensory tests to evaluate appearance and movement. The sensory tes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five-point measure. 1. Survey Results (1) The most uncomfortable featur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combat uniforms was that there was no seasonal uniform. (2) Concerning the aspect of how well the uniforms fit the body, it was generally answered that most parts fit appropriate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waist girth, 45.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fit was too big, and mending was required most frequently in the waist area. (3) The most unstitched part is the seam of the upper garment's pockets, the axilla region and the inner seam of the trouser leg (in order of frequency). And the most worn-out part is the knee region, the hip region, and the stand line of collar (in order of frequency). (4) There were a high percentage of complaints regarding the present button adjustment (especially the trousers' front button adjustment) and the ring band. In terms of the manner of wearing the uniforms, there were quite a number of complaints about tucking the upper garments into the trousers. An improvement was highly recommended in order to increase comfort in action. (5) Of the respondents, 59.3% answered they had experienced skin damage. The affected areas were the medialis thigh, the inguinal region, the neck region, and the knee region (in order of frequency). 2.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ombat uniforms design After experimenting with the design of the seam movement in the inner parts of the upper arms region in the upper garments, the side parts of the body and medialis thigh parts in the trousers, the stained parts(by the carbon paper)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the back bodice, the stained parts were constant regardless of the easing of volume increase, but in the case of the front bodice, the stained parts got broader as the easing of volume increased. Therefore, each garment's ease volume had to be calculated in order to decided on the new position of the seam. 3. Results of Sensory Tests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appearance, the test garments were generally received more favorably than the uniforms in current use (experimental garment A). Regarding the appearance, shifting the seams of the inner parts of the upper arms region in the upper garments, the side parts of the body and the medialis thigh parts of the trousers, were welcomed. However, when compared with the side parts of the body, satisfaction with the seam shifting of the inner parts of the upper arms region in the upper garments and the medialis thigh parts of the trousers was rated more highly in terms of appearance than the amount of seam shifting in the inner parts of the trousers and other inner parts. The shifting position of the outer sewn pocket in the upper garments and the elastic band in the waist girth were rated positively. However, negative responses were given concerning the reduced amount of the elastic band in the waist. All items regarding the improved design of the knee region received posi tive responses. However, dissatisfactions was reported regarding the wrinkles around the front armhole, back armhole, hips and kne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vement evaluation, it was understood that changing the method of wearing the upper garment and shifting the seam in the side parts of the body, comfort of movement has been improved. Also, the experimental garment was rated highly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movement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outer sewn pocket. To increase the comfort of movements following the movable bounds of the leg joints, it is suggested that first, the appropriated knee position and seam shirt of the medialis thigh parts in the trousers be worked out, in addition to the design attachment in the knee area and the way to adjust the trousers' hemline. The improvement in the way of adjusting the trousers' hemline was rated highly in terms of knee flexion movement and creeping. It also showed a high satisfaction response with the position and reduced amount of elastic band in the waist girth. While the present combat uniforms (experimental garment A) caused skin irritation due to the inner seams in the upper garments and pants, no skin irritation was reported with the seams in the improved experimental garment.;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육군 사병의 전투복 착용 실태를 조사하여 전투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동작적응성과 신체적합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군복무 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디자인을 개발하여 연구 전투복을 제작하였다. 기존 전투복 1종과 연구 전투복 4종의 총 5가지의 연구 전투복을 제작하여 외관과 동작적응성을 평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투복 착용시 가장 불편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으로는 계절별 의복 구분이 없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현행 전투복의 신체 맞음성의 인식정도는 대체로 모든 부위가 신체에 맞는다고 나타났으나 허리둘레 항목의 경우는 ‘크다’라고 응답하였고, 허리둘레의 수선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투복이 가장 많이 뜯어지는 부위는 덧붙임주머니봉제선, 겨드랑이, 바지가랑이의 순이며, 천이 닳아서 해어지는 부위는 무릎, 엉덩이, 칼라접힘선(뒷목꺾임선)의 순이었다. 현행 단추여밈과 바지끝단 고무링에 불만이 높았으며 상의를 하의 안으로 넣어 입는 착용방법에 대해서 동작시 불만도가 높았고 개선 착용방법이 동작시 편하다는 이유로 선호도가 높았다. 피부의 손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59.3%로 나타났고, 손상 부위는 대퇴내측부·서혜부·목부위·무릎부위의 순이었다. 현행 전투복의 불만사항으로 나타난 응답들을 종합하여 동작적응성과 쾌적성의 향상, 피부 손상의 완화를 위한 실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현행 전투복의 착용법을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어 입는 방법으로 제안하였고, 허리둘레는 기존 여유분량에 고무밴드로 줄임량을 넣어 맞음성을 높였고 무릎부위에는 여유분량을 넣은 패턴을 바이어스 방향의 두 겹의 소재로 구성하였다. 상의를 내어 입도록 하여 개구부를 부여하였고, 속건성 소재를 Lining으로 넣어주었다. 또한 전투복의 동작적응성 향상과 피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상의 액와부위와 하의 대퇴내측부위의 솔기선 이동을 위하여 먹지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염된 부위를 분석하였다. 뒷판의 경우 여유분량의 증가에 따른 이염부위는 비교적 일정하나 앞판의 경우 여유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염부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판쪽의 솔기선 이동위치 결정시 각 의복의 여유분량에 따른 계산이 필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외관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연구 전투복이 기존 전투복에 비하여 외관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의 상완내측부위와 체측부위, 하의 대퇴내측부위의 솔기선 이동은 외관에 만족하는 편이나, 체측부위의 이동에 비해 상완내측부위와 하의 대퇴내측부위의 솔기선 이동 위치·크기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하의 대퇴내측부위 솔기선 이동량은 솔기선 이동위치보다 외관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상의 겉붙임주머니 이동위치와 허리둘레 고무밴드의 위치는 긍정적인 편이나 고무밴드의 줄임량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무릎의 개선안의 모든 항목은 긍정적 반응이 나타나 외관적 만족도가 좋은 편으로 평가되었다. 앞진동·뒷진동·엉덩이·무릎둘레 부위의 군주름 여부는 외관상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적응성 평가 결과, 상의의 착용방법 변경과 상의의 상완과 체측부위 솔기선 이동으로 동작적응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겉붙임주머니의 부착각도의 조정에 대한 동작 만족도는 연구 전투복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의 관절가동역에 따른 동작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의 대퇴내측솔기선의 이동과 적절한 무릎 위치를 선정한 뒤 무릎부위 덧댐을 설계하고 바지단의 줄임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지단 줄임장치의 개선은 무릎 굴곡 동작이나 포복 동작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허리둘레의 고무밴드 위치와 줄임량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존 전투복이 상하의 내측 솔기선에 의한 피부자극을 받는다고 나타난 반면에 연구 전투복은 솔기선에 의한 피부자극을 받지 않는 편이라고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