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이성천 독주곡 제42번 '풀피리' 악곡 분석

Title
이성천 독주곡 제42번 '풀피리' 악곡 분석
Authors
강미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help understanding, playing and listening by examining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A solo-tune of piri in an analysis of music 『Ful-piri』by Sung-Chaen Le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 analytical of notes, scale, rhythm, technique and Jang-Gu length in each movement, which lead to the following results. 1. The first movement. The first movement Part A is composed of eighth-note 9beat in dotted quater-note 84tempo and it has 22measure. part B is composed of eighth-note 12beat in dotted quater-note 82tempo and it has 27measure. Part A melody type a : Nam(c), Hwang(E♭), Jung(A♭), Lim(B♭), ↑Nam(c) is showing and Nam(c) is the most seen. Keynote is Hwang(E♭) and Lim(B♭)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Nam(c), Tae(F), Jung(A♭) in minor key. Part A melody type b : Lim(B♭), Nam(c), Hwang(E♭), Jung(A♭), ↑Lim(B♭) is showing and Jung(A♭) is the most seen. Keynote is Nam(c)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Hwang(E♭), Jung(A♭), Lim(B♭) in minor key. Part B : Hwang(E♭), Tae(F), Jung(A♭), Lim(B♭), Nam(c), ↑Hwang(E♭), ↑Tae(F) is showing and Lim(B♭) is the most seen. Keynote is Hwang(E♭) and Lim(B♭)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Nam(c), Tae(F), Jung(A♭) in minor key. The rhythm of the part A is composed of 16 various rhythms. The rhythm of the part B is composed of 20 various rhythms. Ornament is decorated tone on one tone(4), on two tone(1), the main note-decorated tone on one tone-the main note(12) used. Variation tone is appeared(2). It is generally appeare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Jang-Gu length of the part A is composed of 11 similar lengths. The Jang-Gu length of the part B is composed of 21 similar lengths. 2. The second movement. The second movement is composed of quater-note 4beat in quater-note 108tempo and it has 47measure and quater-note 5beat in quater-note 108tempo and it has 1measure. Part A : Nam(c), Hwang(E♭), Tae(F), Jug(A♭), Lim(B♭), ↑Nam(c), ↑Hwang(E♭) is showing and Nam(c) is the most seen. Keynote is Hwang(E♭) and Lim(B♭)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Nam(c), Tae(F), Jung(A♭) in minor key. Part B : Nam(c), Hwang(E♭), Tae(F), Jug(A♭), Lim(B♭), ↑Nam(c), ↑Hwang(E♭) is showing and Hwang(E♭) is the most seen. Keynote is Tae(F) and Nam(c)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Hwang(E♭), Jung(A♭), Lim(B♭) in minor key. Part C : Lim(B♭), Nam(c), Hwang(E♭), Tae(F), Jung(A♭), ↑Lim(B♭), ↑Nam(c), ↑Hwang(E♭) is showing and Nam(c) is the most seen. Keynote is Tae(F) and Nam(c)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Hwang(E♭), Jung(A♭), Lim(B♭) in minor key. The rhythm of quater-note 4beat is composed of 26 various rhythms. The rhythm of quater-note 5beat is composed of 1 rhythm. Ornament is decorated tone on one tone(3), under one tone(5), under two tone(1) used. Variation tone is appeared(17). It is generally appeare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Jang-Gu length of quater-note 4beat is composed of 23 similar lengths. The Jang-Gu length of quater-note 5beat is composed of 1 length. 3. The third movement. The third movement is composed of quater-note 142beat in Ad libitum tempo and it has no measure. The third movement : Lim(B♭), Nam(c), Tae(F), Jung(A♭), ↑Lim(B♭), ↑Nam(c), ↑Tae(F) is showing and Tae(F), Nam(c) is the most seen. Keynote is Hwang(E♭) and Lim(B♭)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Nam(c), Tae(F), Jung(A♭) in Me-na-ri minor key. Ornament is decorated tone on one tone(9), reed to attack(2), sliding tone(5) used. It is generally appeare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4. The fourth movement. The fourth movement Part A is composed of quater-note 4beat in quater-note 96tempo and it has 16measure and quater-note 5beat in quater-note 96tempo and it has 1measure. Part B is composed of eighth-note 6beat in eighth-note 144tempo and it has 31measure. Part C is composed of quater-note 4beat in quater-note 96tempo and it has 4measure and quater-note 53beat in Ad libitum tempo and it has no measure. Part A : Hwang(E♭), Tae(F), Jung(A♭), Lim(B♭), Nam(c), ↑Hwang (E♭), is showing and Hwang(E♭) is the most seen. The five tone names are Hwang(E♭), Tae(F), Jung(A♭), Lim(B♭), Nam(c). Part B part a : Hwang(E♭), Tae(F), Jug(A♭), Lim(B♭), ↑Nam(c), ↑Hwang(E♭) is showing and Jug(A♭), Lim(B♭) is the most seen. Keynote is Tae(F) and Nam(c)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Hwang(E♭), Jung(A♭), Lim(B♭) in minor key. part b : Lim(B♭), Lee(B), Nam(c), Moo(D♭), Yog(D), Hwang(E♭), Tae(F), Go(G), Jung(A♭), Yoo(A), ↑Lim(B♭), ↑Nam(c), ↑Hwang(E♭) is showing and Lim(B♭) is the most seen. Keynote is Lee(B), Moo(D♭), Yog(D), Go(G), Yoo(A) is used as passing-note. The five tone names are Lim(B♭), Nam(c), Hwang(E♭), Tae(F), Jung(A♭). Part C part a : Nam(c), Hwang(E♭), Tae(F), Jug(A♭) is showing and Tae(F) is the most seen. The five tone names are Hwang(E♭), Tae(F), Jung(A♭), Lim(B♭), Nam(c). part b : Lim(B♭), Nam(c), Tae (F), Jung(A♭), ↑Lim(B♭), ↑Nam(c), ↑Tae(F) is showing and Tae(F) is the most seen. Keynote is Hwang(E♭) and Lim(B♭) is used as passing-note. The three tone names are Nam(c), Tae(F), Jung(A♭) in Me-na-ri minor key. The rhythm of the part quater-note is composed of 10 various rhythms. The rhythm of the part eighth-note is composed of 25 various rhythms. Ornament is decorated tone on one tone(7), Variation tone(13), sliding tone(8) used. It is generally appeare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he Jang-Gu length of the part quater-note is composed of 10 similar lengths. The Jang-Gu length of the part eighth-note is composed of 20 similar lengths. As considered above, it is possible to estimate『Ful-piri』as a modernized composition with the musical scale of a compound and traditional perception to use variant appeared-note.;본 논문은 이성천의 작품 피리 독주곡「풀피리」의 음악적 구조를 고찰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풀피리」의 출현음과 음계, 리듬, 연주기법, 장구 장단을 악장 별로 살펴보아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1. 제1악장 제1악장은 모두 49마디로 속도는 ♩.= 84와 ♩.= 82이며, 전반부인 ♩.= 84는 A부분으로 총 66박으로 되어있고, 후반부인 ♩.=82는 B부분으로 총 108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A부분은 선율형에 따라 a선율형과 b선율형으로 나뉜다. a선율형은 남(c), 太(F), 仲(A♭), 林(B♭), 南(c)이 출현하고, 黃과 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남(c), 太(F), 仲(A♭)의 계면조 음계이다. b선율형은 림(B♭), 남(c), 黃(E♭), 仲(A♭), 林(B♭)이 출현하고, 남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黃(E♭), 仲(A♭), 林(B♭)의 계면조 음계이다. B부분은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 汰(F)가 출현하고, 黃과 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남(c), 太(F), 仲(A♭)의 계면조 음계이다. 리듬은 첫째박의 리듬 구성에 따라, A부분은 점4분음표 세박을 한 단위로 하고, B부분은 점4분음표 네박을 한 단위로 한다. B부분의 음악적 흐름에 따라 6단락으로 구분된다. 연주기법은 앞장식음과 요성표가 사용되었다. 장구 장단은 A부분이 세마치장단, B부분이 중중모리장단이 사용되었다. 2. 제2악장 제2악장은 4/4박자 47마디와 5/4박자 1마디로, 속도는 ♩= 108이며 선율의 진행에 따라 A부분, B부분, C부분으로 나뉜다. A부분은 순차진행이며 4/4박자로 총 88박으로 되어있고, B부분은 도약진행이며 4/4박자 총 72박으로 이루어지고, C부분은 경과선율과 종지형선율로 4/4박자 7마디와 5/4박자 1마디로 총33박으로 구성된다. A부분은 남(c),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黃과 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남(c), 太(F), 仲(A♭)의 계면조 음계이다. B부분은 남(c),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太와 남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黃(E♭), 仲(A♭), 林(B♭)의 계면조 음계이다. C부분은 림(B♭), 남(c),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太와 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黃(E♭), 仲(A♭), 林(B♭)의 계면조 음계이다. 리듬은 첫째박의 리듬 구성에 따라, 4분음표 네박을 한 단위로 하는 26종류의 리듬과 4분음표 다섯박을 한 단위로 하는 1종류의 리듬이 사용되었다. 음악적 흐름에 따라 A부분은 5단락, B부분은 4단락, C부분은 1단락으로 구분된다. 연주기법은 홑장식음과 요성표가 사용되었다. 장구 장단은 4분음표 네박을 한 단위로 하는 23종류의 장단과 4분음표 다섯박을 한 단위로 하는 1종류의 장단이 나타난다. 3. 제3악장 제3악장은 마디가 없고 Ad libitum의 속도이며, 모두 4분음표 142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현음은 림(B♭), 남(c), 太(F), 仲(A♭), 林(B♭), 南(c), 汰(F)이며, 黃과 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남(c), 太(F), 仲(A♭)의 계면조 음계이다. 黃은 짧은 싯가로 인해 출현음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제3악장은 메나리조 음계이므로 음계에 포함한다. 연주기법은 홑장식음과 서침표가 사용되었으며, 표현법에는 퇴성이 나타난다. 리듬과 장구 장단은 피리연주자가 피리 선율을 임의대로 연주함으로 생략한다. 4. 제4악장 제4악장은 박자의 변화에 따라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며 A부분, B부분, C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다. A부분은 4/4박자 16마디와 5/4박자 1마디로 속도는 ♩= 96이며, 총 69박으로 구성된다. B부분은 6/8박자 31마디로 속도는 ♩= 144이며, 총 186박으로 구성된다. 제26마디부터 조성이 변화한다. C부분은 박자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뉘며, a부분과 b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다. a부분은 4/4박자 4마디로 속도는 ♩= 96이며, 총 16박으로 구성된다. b부분은 제3악장에서와 같이 Ad libitum의 속도이며, 총 53박으로 구성된다. A부분은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黃(E♭), 太(F), 仲(A♭), 林(B♭), 南(c)의 5음음계이다. B부분 중 a부분은 黃(E♭), 太(F), 仲(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太와 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黃(E♭), 仲(A♭), 林(B♭)의 계면조 음계이다. b부분은 림(B♭), 夷(B), 남(c), 無(D♭), 應(D), 黃(E♭), 太(F), 姑(G), 仲(A♭), 유(A), 林(B♭), 南(c), 潢(E♭)이 출현하고 夷(B), 無(D♭), 應(D), 姑(G), 유(A)를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림(B♭), 남(c), 黃(E♭), 太(F), 仲(A♭)의 5음음계이다. C부분 중 a부분은 남(c), 黃(E♭), 太(F), 仲(A♭)이 출현하며, 林은 출현하지 않았으나 A부분을 연상시키는 부분이므로 黃(E♭), 太(F), 仲(A♭), 林(B♭), 南(c)의 5음음계이다. b부분은 림(B♭), 남(c), 太(F), 仲(A♭), 林(B♭), 南(c), 太(F)가 출현하며, 黃과 林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남(c), 太(F), 仲(A♭)의 계면조 음계이다. 연주기법은 홑장식음과 요성표가 사용되었으며, 표현법에는 퇴성이 나타났다. 장구 장단은 4분음표 계열이 10종류가 쓰였고, 8분음표 계열이 20종류가 쓰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