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상연-
dc.creator박상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1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level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Fifty seven registered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 they were employed by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gu, Korea. The study employs two treatment groups. The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consisted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90-120 minutes session of assertiveness training nine times over five weeks. The other treatment group, was adiministed nine, 90-120 minutes sessions of value clarification during the same period. For the control group, nursing subjects were appointed the training after five weeks. Pre-test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in three groups prior to one week of the treatment. Role conflict Inventory-general(RCI-G) and Communication Conflict Inventory-general(CCI-G) measure nurse’s conflict level. Conflict Management Mode-G(CMMI-G) measure nurse’s conflict management mode. Post-test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in three groups two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by Role Conflict Inventory-Specific(RCI-S), Communication Conflict Inventory-Specific(CCI-S), Management Mode-Specific(CMMI-S).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covariance(ANCOVA) on gain scores were running the SPSS program. In order to tes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mean scores of the scales obtained after treatment, multiple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by Turkey metho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ssertiveness training and the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nurse’s role conflict. The value clarif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assertiveness training in decreasing the nurse’s role conflict. 2. Both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nurse’s communication conflict.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in decreasing the nurse’s communication conflict. 3. The asseritveness training and the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quite effective in compromizing and collaborating conflict management mode, to reducing the with drawl and accommodate, force and accommodate conflict management mode to confli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In assessing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is study employed different measurements. It is unclear whether the measurement affected the test results. It is worth conducting a further test using the same measurements. The results of future studies can be compared with those of this study. The homogeneity of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is questionable. Futher studies may employ homogeneous sample group to evaluate whether the sample characteristics bias the test results. Assertiveness training or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for nurses can be utilized in nursing intervention.;간호사들이 병원에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게 되는 갈등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고 갈등은 문제해결을 통한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출발점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어느 정도의 갈등은 역할수행의 발전에 필요하다. 그러나 갈등의 축적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개인에게는 물론 조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갈등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갈등의 원인을 근거로 할 때 가능하다고 본다. 병원에서 간호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간호사들이 겪게 되는 갈등의 종류와 정도는 근무하는 부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간호사들이 공통적으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갈등과 역할 갈등을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실시하고 간호사의 의사소통 갈등, 역할 갈등, 갈등관리양식을 평가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실험처치(주장훈련, 가치명료화훈련)를 독립변수로 역할갈등, 의사소통 갈등, 갈등관리 양식을 종속변수로 하는 비동등 대조군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자료수집 편의상 대구 시내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선정하여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실시하기 1주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5주 9회의 훈련을 실시한 후 2주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갈등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역할갈등 검사, 의사소통 갈등 검사와 갈등관리양식 검사가 사용되었다. 실험처치로 사용된 간호사를 위한 주장훈련 프로그램의 주된 내용은 합리적 사고와 주장행동으로, 간호사들이 병원에서 경험하는 대인관계에서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바꾸도록 하여 자신의 권리, 욕구, 생각, 의견 등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직접 나타내게 하는 행동의 단계까지 경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간호사를 위한 가치명료화훈련 프로그램은 가치명료화의 세 가지 하위 과정과 일곱 가지 준거적 단계를 통해 간호사가 스스로 의식하지 못했던 간호사로서의 자신의 가치를 발견할 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의사 등이 서로 다양한 요구를 하는 간호상황에서 간호사로서 자신이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가를 발견하게 되어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역할갈등 정도 및 의사소통갈등 정도, 갈등관리양식 득점으로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역할갈등 정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변량분석 결과 F=29.105, P=.0000, 공변량 분석 결과 F=29.224, P=.000),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집단의 역할갈등 정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가치명료화훈련이 주장훈련에 비해 간호사의 역할갈등을 감소시키는 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2.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는 통제집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변량분석 결과 F=14.677, P=.000; 공변량 분석 결과 F=14.632, P=.000),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갈등관리양식은 통제집단에 비해 협력-타협 양식(변량분석 결과 F=6.645, P=.0026, 공변량 분석 결과 F=5.339, P=.008)은 유의하게 높았고, 회피-순응 양식과(변량분석 결과 F=10.519, P=.001, 공변량 분석 결과 F=7.035, P=.002), 강행-순응 양식은(변량분석 결과 F=6.118, P=.0040, 공변량 분석 결과 F=3.743, P=.030) 유의하게 낮았다. 그렇지만 간호사들이 겪는 갈등에 대해 협력-타협과 같은 합리적 갈등관리양식을 증가시켜 주고, 회피-순응, 강행-순응과 같은 비합리적 갈등관리 양식은 감소시켜 주는데 작용하는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은 간호사들의 역할갈등 정도와 의사소통갈등 정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갈등에 대해 합리적 방법인 협력-타협 양식을 유의하게 증가 시키며, 비합리적인 방법인 회피-순응, 강행-순응 양식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방법 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을 위한 주장훈련 프로그램과 가치명료화훈련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의 역할갈등과 의사소통갈등을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관리하도록 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임상 및 지역사회 어디에서나 간호사들의 갈등을 감소시키는데 그 실용가치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의 가설 ------------------------------------------------------ 6 D.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 10 A. 간호사의 갈등 과정 ----------------------------------------------- 10 1. 간호사의 갈등 --------------------------------------------------- 10 2. 갈등관리 양식 --------------------------------------------------- 22 B. 간호사의 갈등감소를 위한 중재 ------------------------------------ 24 1. 주장훈련 -------------------------------------------------------- 25 2. 가치명료화 훈련 ------------------------------------------------- 29 C.연구의 이론적 틀 -------------------------------------------------- 33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설계 --------------------------------------------------------- 38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38 C.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정 ------------------------------------------- 40 D. 측정도구 --------------------------------------------------------- 44 E. 자료분석 방법 ---------------------------------------------------- 49 Ⅳ. 연구결과 --------------------------------------------------------- 51 A. 가설검정의 결과 -------------------------------------------------- 51 B. 대상자의 특성 비교 ----------------------------------------------- 57 Ⅴ. 논의 ------------------------------------------------------------- 60 Ⅵ.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2 부록 ----------------------------------------------------------------- 91 영문초록 -------------------------------------------------------------1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442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장훈련과 가치명료화훈련이 간호사의 갈등정도와 갈등관리 양식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ix, 19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