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혜-
dc.creator김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15-
dc.description.abstract노인 인구의 삶의 질 향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건강의 확보가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노인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 차별적 사회·경제적 구조에 의해 취약한 삶을 살아온 여성 노인의 건강에 대해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이 건강을 위해 어떤 건강행위를 하고 있으며, 그 행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도구적 일상생활이 가능한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자료수집방법으로 포커스 그룹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참여관찰과 포커스 그룹 직후 개별 면담을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02년 3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포커스 그룹은 7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7개 그룹에 20명이 참여하여 진행되었으며 각각 90분에서 120분의 심층 토론을 하였다. 분석은 일련의 고립된 작업이라기보다는 유동적인 하나의 과정으로, 연구 계획 단계부터 분석의 수준과 전략에 대해 고려하였고, 다양한 포커스 그룹 토론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나 패턴을 찾고자 하였으며 경험이나 인식의 범위의 다양함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토론에 대해 주의 깊은 청취를 하고, 연구의 의도를 거듭 생각하면서, 필사본과 현장노트, 그룹 토론 직후의 요약정리 자료와 개별 면담 자료 등을 총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노인들의 건강행위로 '잘 챙겨 먹기', '무리하지 않고 잘 움직이기', '욕심을 잘 버리기',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과 잘 지내기', '자녀들 삶의 뒤편에 잘 머물기', '병을 잘 다스리기' 6개의 주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여기에 부여하는 의미를 통해 볼 때 잘 먹을 수 있고, 잘 움직일 수 있으며, 마음이 편안하고, 잘 듣고 볼 수 있고, 의식이 깨끗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새로운 것을 익힐 수 있고, 집안 일을 할 수 있으며, 극심한 통증이 없는 상태를 건강하다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이렇게 건강행위를 수행하는 목적은 과거보다 길어진 여생동안 현재의 건강상태를 지켜 나가면서, 사는 동안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을 정도로 건강하게 살다가 큰 고생하지 않고 편안하게 죽기 위해서라는 것이 대부분의 그룹 토론에서 반복되었다. 이렇게 여성 노인들이 '건강하다' 는 것을 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 대한 통제권을 내가 가지고 있는 유능하고 편안한 상태이자 가족과 사회 속에서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는 상태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건강행위는 의학적으로 이익이 있는 몇 개의 행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여성노인의 건강행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잘' 의 의미로는 그 동안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내가 처한 상황에 맞게 그리고 내 몸에 맞도록 구성한 '내 식대로', '내 나름대로' 한다는 것과 이 사회 속에서 존경받는 노인으로서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내 식대로', '내 나름대로' 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보건전문가로서 간호사가 여성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 수행할 때 건강에 대한 여성 노인의 견해를 이해하고, 수행하고 있는 건강행위를 존중하며, 여성 노인이 속해 있는 사회문화의 영향을 민감하게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간호실무 차원에서 살펴보면 노인 간호 실무의 초점이 질병에서 건강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는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였고, 간호교육 차원에서는 여성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실체적, 심층적 내용을 제공하였으며 간호연구 및 이론 측면에서는 보건 복지의 수혜 대상으로 노인을 보는 기존의 관점에 수정보완이 필요하다는 견지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여성 노인들의 견해를 탐색하여, 노인 대상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시 새로운 접근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is on the premise of health for the aged population. Accordingly, the interest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of the aged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eed to study on the elderly women, who have been lived more vulnerably under the discriminative social and economical structure, has risen as well. Based on these researches that are focused on the elderly women, effective and appropriate health improvement programs can b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lderly women behave to improve their health and how they consider the meaning of their behavior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elderly women on heal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a same city, who can communicate and who were possible to live according to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DAL). Data was collected mostly by focus group and supplemen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st to December 10th of 2002 and the focus group was moderated from July 1st to September 10th with 7 groups with 20 participants. In focus group, in-depth discussions were done between 90 to 120 minutes, moderated by researcher. All discussions were recorded under the participants' permission and transcribed by researcher after repeatedly listening to the tapes. To have the better understanding on participants' discussion, the researcher had visited meeting places and prayer rooms that are reserved for the aged in religious institution,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for 2 to 10 times as well as had recorded the field note after participatory observation. Analysis was apprehended as a dynamic and iterative process, so that the level and strategy of analysis were concerned in the research planning stage. Moreover, repeated tendency and patterns during the focus group discussion were sought as well as various scope of cognition and experience was carefully noticed. Also discussions were carefully listened and the entire transcripts, field notes, observation notes, summaries of group discussion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while the researcher was keep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n mind. The results were the elderly women expressed their health behavior as 6 themes -‘eat well’,‘move well’,‘abandon well one's self-interest’, 'associate with people who are in similar condition’,‘stay well in the boundary of children’ and ‘treat well disease’. Through these results, the elderly women regarded health as to eat well, to move well, to have untroubled mind, to hear and see well, to have clear consciousness, to be able to communicate, to learn new thing, to help housework, and to be free from severe pain. Moreover, the reasons of participants to practice various health behaviors were to continue to be healthy for the remaining life so that they don't be a burden to their children and die in a comfortable death. These intentions are repeatedly expressed in the group discussion. For the elderly women, being healthy meant not merely to be without any illness but to have control over them and to be capable and comfortable to properly function in the family and societ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women could be understood by not only with personal, biological, psychological elements but also with extensive sociocultural influences. Moreover, to have a good notion of one's body seemed to be very important to the elderly women in expressions as ‘doing in my pattern’ as well as to maintain one's dignity. The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woman was an actual and practical adaptation of one's life as well as reflection of present circumstances and perspective of future. Therefore, as a public health specialist, nurse should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women on their body and health and respect their health behavior as well as be aware of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s wel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the field of nursing is various. First of all, this research can be a transitional point to extend the focus of nursing practice from illness to health. Secondly, it provides concrete and in-depth context of the health behavior among the elderly women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Thirdly, by exploring their views, it suggests a different perspective toward the aged that they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public welfare but an active independent that strive for health. Finally, it proposes the need of a new strategic approach to develop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the ag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 론 = 1 A. 연구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5 Ⅱ. 문헌고찰 = 6 A. 건강과 건강행위 = 6 B. 노인 건강행위 연구의 동향 = 12 III. 연구 방법 = 18 A. 연구 설계 = 18 B. 연구 참여자 = 20 C. 자료 수집 = 23 D. 자료 분석 = 24 E. 질적 연구의 평가 = 30 Ⅳ. 연구 결과 = 32 A. 포커스 그룹별 특성 = 32 B. 여성 노인의 건강행위 = 37 1. 잘 챙겨 먹기 = 38 2. 무리하지 않고 잘 움직이기 = 44 3. 욕심을 잘 버리기 = 49 4.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과 잘 지내기 = 54 5. 자녀들 삶의 뒤편에 잘 머물기 = 65 6. 병을 잘 다스리기 = 69 V. 논 의 = 79 A. 여성 노인의 건강행위 = 79 B.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 = 94 VI. 결론 및 제언 = 97 A. 결 론 = 97 B. 제 언 = 100 참 고 문 헌 = 102 부 록 = 116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 116 <부록 2> 포커스 그룹 참여 확인 서신 = 117 <부록 3> 한국판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항목 = 118 <부록 4> 포커스 그룹에 사용한 질문 = 119 <부록 5> 분석 단계 = 120 <부록 6> 포커스 그룹 진행시 사용한 기록 양식 = 121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5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성 노인의 건강행위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