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비디오 운동요법 효과검증연구

Title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비디오 운동요법 효과검증연구
Authors
김성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to know about if low-dens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through audio visual media is effective to prevent community women's osteoporos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s used as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study are 31 local residents in D district, Seoul, the Republic of Korea wh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gree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3 persons and 18 persons. Low-dens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2 weeks, 5 times a week, and 30 minutes 1 tim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program, bone mineral density, osteocalcin in blood as bone turnover marker, deoxypyridinolin in urine, grip strength for physical fitness appraisal, flexibility, balance,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 measurement by Kim, Horan and Gendler(1991)'s instrument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Two sampled t-test, Wilcoxon's rank sum test, Fisher's exact test, χ2-test were used for homogeneous varification of general feature and a dependent variable. Unpaired t-test was applied to verify the avail of exercise for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for bone mineral density of distal radius (p=0.8638) and calcaneous(p=0.2206) before and after the low energy muscular exercise using audio visual media. 2.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for bone formation marker (p=0.4893) and bone resorption marker (p=0.4462) before and after the low energy muscular exercise using audio visual media. 3.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for grip strength(p=0.1903) and flexibility (p=0.0691)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for balance (p=0.0009) before and after the low energy muscular exercise using audio visual media. 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osteoporosis self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low energy muscular exercise using audio visual media. 5. After the subjects were divieded into premenopausal group and postmenopaus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balance(p=0.0476) and osteoporosis self efficacy(p=0.0146) before and after the low energy muscular exercise using audio visual media in the postmenopausal women group. In conclusion, the low-dens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for female participants from the local community for their balance-elements of physical strength, and osteoporosis self efficacy.;골다공증은 폐경기 이후 여성들에게 흔히 일어나는 전신성 골격계 질환으로 퇴행적인 골질의 감소로 인해 골절의 위험성이 높아져 있는 상태이다(대한골대사학회 2000). 여성건강이 이전의 모성보호개념에서 삶의 질에 초점을 둔 개념으로 변화됨에 따라 노화과정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던 골다공증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질병의 개념으로 새로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골다공증은 통증을 유발하고, 독립적인 기능을 상실할 뿐 아니라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여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며 이와 관련한 높은 의료비 지출로 개인과 가정, 나아가 사회, 경제적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골다공증의 예방법 중 운동요법은 골소실을 예방하고 뼈의 강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노화에 따른 근육감소와 근력약화, 저하된 균형감각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Mitchelle, Grants & Aitchison 1998) 때문에 효과적이다. 여성은 폐경기 이후 급격한 근량과 근력의 감소를 가져와 골다공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중년기 여성에게 근력강화와 골밀도 소실의 최소화, 더 나아가 골밀도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요법은 효과적인 예방법이다(이청무 1996). 운동요법은 간호영역에서 독립적인 간호중재로 매우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운동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운동지침을 제시한다면 중년여성의 질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데 의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기를 유발시키며 운동의 이행에 도움을 주는 비디오 교육매체를 활용한 운동을 실시하여 골밀도 증가, 골소실 감소, 체력강화의 효과 및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유사실험설계인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D구에 거주하는 주민으로서 이 지역 보건소와 문화 센타에서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참여를 동의한 31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8명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9월 4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실험군에게 시행한 처치는 저강도의 근력운동프로그램으로 총 12주간, 주 5회, 1회 3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요골 원위부, 종골의 골밀도와 골표지자인 혈중 오스테오칼신과 뇨중 디옥시피리디놀린, 체력 평가를 위한 악력, 유연성, 평형성, 그리고 Kim, Horan과 Gendler(1991)가 개발한 도구로 골다공증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92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저강도 근력운동 전·후 요골 원위부 골밀도(p=0.8638)와 종골 골밀도(p=0.2206)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저강도 근력운동 전·후 골형성표지자(p=0.4893)와 골흡수표지자(p=0.4462)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저강도 근력운동 전·후 체력요인인 악력(p=0.1903)과 유연성(p=0.0691)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형성(p=0.0009)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저강도 근력운동 전·후 골다공증 자기효능감(p=0.0202)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실험군과 대조군을 폐경 전과 폐경 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폐경 후 집단에서 체력요인의 하나인 평형성(p=0.0476)과 골다공증 자기효능감(p=0.0146)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역사회 여성에게 비디오 매체를 이용한 저강도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골밀도와 골표지자에는 유의한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였으나, 낙상을 예방하고 골절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체력요인의 하나인 평형성과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좀더 높은 강도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많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