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주영-
dc.creator하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98-
dc.description.abstractWomen have been many experience the negative impacts caused by changes i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economic environments during menop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89 women (40-64 years old) residing in Seoul city and Gyoung gi-do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0, 2001. The data was collected by structures quesstionaire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menopausal symptoms and Smithkline Beecham's 'Quality of lif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8.1 program that included Wilcoxon's rank sum test or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The averaged age of the sample was 52.08±4.24 years old and 82.38% of them were married. 2. Subjects' Menopausal Symptoms 1) The averaged year of menopause of subjects was 47.85±40.8 year and 79.93% in the subjects complained menopausal symptoms. 2) As for the menopausal symptoms, 64.36% in the subjects complained dysphoric mood, vasomotor symptom 52.60%, somatic symptom 53.29%, neuromuscular symptom 33.22%, insomnia 16.26%. 3) As for the orders of complained menopausal symptom, nervousness was 33.27%, depression was 21.80% in the dysphoric mood, hot flashes was 41.18% in vasomotor symptom, fatigue was 47.40% in somatic symptom, numbness and tingling was 31.14% in neuromuscular symptom. 3. Subjects' Quality of life 1) The mean score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was 148.92, showing above average level of quality of life. 2)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p=0.0048), marital status(p=0.0040), and level of income(p=0.0012) in the degree of total score for quality of life . 4. Relation of menopausal symptoms and Subjects' Quality of life 1) Menopausal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p<0.0001). 2) The existence of menopausal sympto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e existence of somatic symptom, neuromuscular symptom and insomnia.;여성은 35세를 지나면 난소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고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감소되어 폐경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경은 신체, 생리, 정신적으로 변화를 동반하며 다양한 형태의 증상들을 나타내어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오늘날 여성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폐경기 이후의 삶의 기간이 연장된 만큼 중년 여성들이 폐경 과정을 긍정적인 태도로 받아들여 삶에 대해 만족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이 폐경을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증상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 경기 지역의 중년 여성(40-64세) 289명을 대상으로 2001년 9월 1일부터 2001년 10월 20일 사이에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폐경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신경림(1999)이 개발한 여성건강사정도구를 일부 수정한 폐경관련상태 4문항과 윤진상 등(1998)이 한국판으로 수정, 보완한 스미스클라인 비챰의 삶의 질 도구 23문항 등 총 34문항으로 이루어졌다. 폐경관련상태에서 나타난 폐경 증상은 Ellen & Nancy(1996)에 의한 5가지 폐경증상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삶의 질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 0.91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AS 8.1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폐경 증상, 삶의 질의 모든 변수는 범주형 자료일 경우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연속형 자료일 경우 평균과 분산으로 요약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폐경 증상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Wilcoxon's rank sum test 또는 Kruskal-Wallis 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검정 결과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40-64세의 여성으로 평균연령은 52.08±4.24세였고 학력은 고졸인 경우가 51.56%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대부분인 82.35%가 기혼상태였다. 종교는 기독교 26.99%로 천주교 25.95%, 기타 23.68%, 불교 23.16%순이었고 가족형태는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형태가 72.32%로 가장 많았으며 수입은 100-199만원이 32.18%로 가장 많았고 직업이 있는 경우가 38.41%, 직업이 없는 경우가 61.5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폐경 증상 1) 대상자의 폐경 관련 상태를 조사한 결과, 폐경이행기 86명, 자연폐경 132명, 인공폐경 71명이며 대상자의 66.09%가 14-16세 사이에 초경을 하였고, 폐경 연령은 50-54세가 42.36%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폐경 연령은 47.85±4.08세였다. 2) 대상자의 폐경 증상을 조사한 결과 정서장애 증상은 64.36%, 혈관운동성 증상은 52.60%, 신체화 증상은 53.29%, 신경근육계 증상은 33.22%, 수면장애는 16.26%가 경험한다고 답하였다. 3) 대상자의 폐경 증상에 대한 조사결과, 대상자의 대부분인 79.93%가 증상을 경험한다고 답하였으며,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폐경 증상을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정서장애 증상에서는 짜증이 33.27%, 우울 21.80%, 긴장 신경과민 21.11%의 순으로 나타났고, 혈관운동성 증상으로는 얼굴이 달아오르는 열감 41.18%, 가슴 두근거림 23.53%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화 증상은 피곤 47.40%, 두통 17.65%로 많았다. 신경근육계 증상에서는 손발저림 31.14%로 나타났고 수면장애는 16.26%가 경험한다고 답하였다. 3. 삶의 질 1) 본 연구에서 삶의 질 평균점수는 148.92점, 표준편차는 34.97로 나타났고, 최저 43점에서 최고 217점의 분포를 보여 중간이상의 삶의 질 수준을 나타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p=0.0048), 학력(p=0.0144), 결혼상태(p=0.0040), 월수입(p=0.001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요인별 분석은 다음과 같다. 유능감은 연령(p=0.0060), 결혼상태(p=0.0249), 종교(p=0.0446), 월수입(p=0.0069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적 안녕은 연령(p<0.0001), 학력(p<0.0001), 결혼상태(p=0.0489), 가족형태(p=0.0065), 월수입(p=0.006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안정성은 학력(p=0.0417), 결혼상태(p=0.0058), 가족형태(p=0.0007), 월수입(p=0.033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적 안녕은 연령(p=0.0028), 학력(p=0.0038), 결혼상태(p=0.0003), 월수입(p=0.0001), 직업(p=0.033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활력은 연령(p=0.0305), 학력(p=0.0248), 종교(p=0.0036), 가족형태(p=0.0390), 월수입(p<0.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폐경 증상과 삶의 질 폐경 상태에 따른 삶의 질은 폐경 상태(p<0.0001)와 초경연령(p<0.0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경 증상 여부에 따른 삶의 질에서는 폐경 증상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신체화 증상의 유무와, 신경근육계 증상의 유무, 수면장애 유무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98, p<0.0001, p<0.0001). 영역별 폐경 증상에 따른 삶의 질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장애 증상의 유무는 삶의 질 요인 중 정신적 안녕(p<0.0001)과 신체적 안녕(p=0.006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혈관운동성 증상의 유무는 정신적 안녕(p<0.00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의 유무는 안정(p=0.0219)과 신체적 안녕(p=0.009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신경근육계 증상의 유무는 유능감(p=0.0025), 정신적 안녕(p<0.0001), 안정(p<0.0047), 신체적 안녕(p<0.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면장애의 유무 역시 유능감(p<0.0001), 정신적 안녕(p<0.0001), 안정(p<0.0001), 신체적 안녕(p<0.0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폐경 증상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은 정신적 안녕(p=0.0010)과 신체적 안녕(p=0.0112) 요인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폐경 증상과 삶의 질과의 두 개념간에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교육의 측면에서 본 연구결과가 중년 여성의 폐경 증상 중재 및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교육 자료로서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간호실무의 측면에서 본 연구결과는 중년 여성을 대하는 간호사들이 대상자의 폐경 증상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통해 그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간호연구의 측면에서 영역별 폐경 증상을 고려한 다양한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4 II. 문헌고찰 A. 중년 여성의 폐경 증상 = 6 B. 삶의 질 = 14 C. 폐경 증상과 삶의 질 = 19 III.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 24 B. 연구 대상 = 24 C. 연구 도구 = 24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25 E.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26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2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7 B. 폐경 증상 = 29 C. 삶의 질 = 36 D. 폐경 증상과 삶의 질 = 41 E. 연구의 제한점 = 46 V.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5 <부록> = 69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19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년여성의 폐경 증상과 삶의 질-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