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른 노부모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

Title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른 노부모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
Authors
백지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 for social network types. In particular, caregivers' elderly people were not frailed elderly person but general one. In order to achieve it, the study classified the type of social network for perceived close level score and actual received support level score and then examined the types of social network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how the caregiver's social network affect the suppor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caregiving stress, self-esteem, and well-being). The study adapted secndary were collected for the project of Moon, Choi, and Jung(1997). For the objective, 594 questionnaires for caregiver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cluster analysis, Pearson x²,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givers' types of social network are classified into each of four groups according to social network for perceived close level score and actual received support level score. The types of close social network are"Whole Social Type","Friend and Neighbor Based Type", "Isolation Type", and"Whole Harmonious Type". And social network types of actual received support are "Kin-centered Type", "Rich Support Type", "Exhausted Support Type", "Nuclear Family-centered Type".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aregiv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according to each of social network types. A number of women or high educated or older caregiver were included the "Whole Social Type" or "Rich Support Type". And comparing to other social network types of actual received support, many of caregivers who were coliving with their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the "Exhausted Support Type". Third, social network of caregiver effect on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Comparing to "Friend and Neighbor Based Type", "Isolation Type" and "Whole Harmonious Type", "Whole Social Type"increased the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And "Rich Support Type"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So closeness and support of social network have importance on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th, social network affect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Except to caregiving stress, self-esteem and well-being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ocial network. "Whole Social Type"was more positive than "Isolation Type" and "Whole Harmonious Type" on the self-esteem and well-being. And "Rich Support Type"was more positive than "Exhausted Support Type" on the well-being. From this result, high level of closeness and support with various social networks have importance on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In here, comparing social network of actual received support, close social network is showing the clear differences on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Therefore close relationship of maintenance is so important as well as actual receving support from social network.;본 연구는 취약노인이 아닌 정상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가 사회관계망과 의 친밀함을 지각한 정도, 그리고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실제로 받는 도움정도에 따라 사회관계망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부양자 및 노인관련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그리고 사회관계망이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전국의 6개 주요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부양자와 그들이 부양하는 취약노인이 아닌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숙재, 최혜경, 정순희(1997)의 연구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부양자 총 594명으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9.0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자와 사회관계망과의 관계에 있어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와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라 각각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먼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전체적 사교형', '친구·이웃 친밀형', '고립형', '전체적 원만형'의 4개의 유형으로,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라 '친족 집중형', '도움 풍요형', '도움 고갈형', '핵가족 집중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은 유형별로 부양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의'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사회관계망의 '도움 풍요형'은 여성이거나 교육수준이 높거나, 아니면 나이가 적은 부양자가 많았으며, '도움 고갈형'은 다른 도움 사회관계망에 비해 노부모와 같이 살면서 부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 유형은 부양자가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유형의 '전체적 사교형'은 '친구·이웃 친밀형', '고립형', '전체적 원만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행동과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 사회관계망유형의 '도움 풍요형'은 '도움 고갈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 공유활동적 부양, 경제적 부양행동을, '핵가족 집중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과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친족 집중형'에 비해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관계망과의 친밀함과 도움이 부양자의 역할인 부양행동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은 부양스트레스를 제외한 심리적 건강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유형의 '전체적 사교형'의 부양자가 '고립형'과 '전체적 원만형'의 부양자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복지감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 사회관계망유형에 있어서는 '도움 풍요형'이 '도움 고갈형'에 비해서 복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으로 보아 폭넓은 사회관계망과 친밀함을 느끼고 도움을 받는 것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양자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보다는 친밀함을 느끼는 지각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에 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부양자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도 심리적 건강에 중요하지만 도움을 많이 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사회관계망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관계망의 유형별로 부양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과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은 부양자의 사회관계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밀 사회관계망 유형 중에서 '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사회관계망 유형 중에서 '도움 풍요형'이 다른 사회관계망에 비해서 노부모에게 부양행동을 더 많이 제공한다는 점과 '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풍요형'이 자아존중감 및 복지감에 있어 긍정적인 경향을 높이 보인 것은 부양자가 폭넓은 사회관계망과 친밀함을 높게 느끼고 도움을 많이 받는 것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또한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이 실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른 사회관계망 유형보다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 따른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라 더 뚜렷한 차이를 보이므로 실제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양자가 사회관계망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