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Title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Authors
이현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이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반영된 현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의 기초는 어떠한가? 2. 유치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반영은 어떠한가? 3.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에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반영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전국의 359개 공·사립 유치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44개 유치원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단위 유치원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하여는 '유치원 운영계획서', '연간 교육(주제) 계획안', '월간 교육 계획안', '주간 교육 계획안', '일일 교육 계획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하고 내용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경향을 살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의 기초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유치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에 가장 많이 포함되는 것은 '유치원 교육의 목표 및 방침 설정'과 '연간 행사 일정', '교육 내용 선정', '연간 교육 일수', '연간 교육 주제 계획'과 '부모교육 및 참여 계획', '일과 시간의 길이', '주간 교육 계획'의 순이었다. 둘째, 유치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은 주로 교육부 고시 교육과정 및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기초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시 많이 고려되는 것은 유아 요구나 흥미에 대한 고려, 교육부 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침, 지역사회의 특성과 여건, 교사의 요구, 이용 가능한 물리적 자원 등의 순이었다. 셋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의 활용' 정도는 연간 교육 주제 결정에의 활용도가 가장 높았고, 주제별로 다룰 교육 내용의 결정, 교육 활동의 선정에 활용하는 정도도 높았다. '유치원의 각종 행사 운영의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는 가장 낮았다. 넷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의 참여자와 참여 현황은 유치원의 설립 유형과 교직원의 직위 및 편성 항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원장, 원감 및 주임 교사의 참여 정도는 모든 항목에서 사립 유치원에서 훨씬 높았으며, 교사의 참여는 모든 항목에서 공립 교사의 참여 정도가 높았다. 원장은 '유치원의 교육 목표 및 방침 설정', '연간 교육 일수', '연간 행사 일정', '연간 중점 추진 과제'에, 원감 및 주임 교사는 '일일 교육 계획'을 제외하고는 모든 부분에, 교사는 '일일 교육 계획', '주간 교육 계획', '교수 학습자료의 개발'에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2. 유치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반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교육 목표를 많이 반영하고 있었다. 가장 많이 고려되는 목표는 사회생활 영역의 목표 중 '기본 생활습관과 자기 조절 능력을 기르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한다'였다. 둘째, 주제 선정은 교육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제시된 생활주제를 고려하면서 유치원에서 선정한 주제와 혼용하는 경향이었다. 주제 선정 시 주로 고려하는 것은 '유아의 발달 수준', '교육적 가치', '유아의 흥미와 요구', '실생활에서의 경험 가능성' 등이었다. 셋째, 단위 유치원에서 교육 내용 선정 및 배열 시에 주로 많이 고려하는 요인은 '유아의 발달 수준', '유아의 흥미와 요구', '교육적 가치', '5개 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을 통합적으로 편성하는 것', '실생활에서의 경험 가능성'의 순이었다. 국가 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생활영역별 내용은 전체적으로 많이 반영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인 '기본 생활습관'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고시 교육과정의 운영 지침을 대부분 준수하고 있었으나 '실외 교육환경을 다양한 흥미영역으로 구성'하는 것과 '부모교육의 실시'에 대한 항목에 대하여는 반영 정도가 낮았다. 계획된 교육과정의 실행 정도는 대체로 높았다.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 연간 교육 계획은 주로 계획 수립이 형식적이었기 때문이었으며, 월간 및 주간 교육 계획의 경우에는 행사와 새로운 사태의 발생으로, 일일 교육 계획은 아동의 흥미나 요구, 날씨, 교사의 준비와 노력 부족 등이 주된 이유였다. 단위 유치원에서는 교육과정을 문서로 작성하는 경향이었다. 문서로 작성하지 않는 경우는 월간 교육 계획에서 제일 많이 나타났고, 다음은 일일 교육 계획이었다. 작성된 교육과정 문서는 대체로 보관되고 있었다. 다섯째, 단위 유치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었는데, 행사 운영, 연간 교육과정, 부모교육 및 참여, 일일 교육과정의 순으로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운영 평가에 대한 고시 교육과정의 지침들은 대체로 많이 고려되고 있었다. 그러나 '평가활동 자체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 목표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단위 유치원에서는 유아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었으나 결과의 활용 면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운영 지침이 적절히 반영되지 못하는 경향이었다. 즉 유아에 대한 평가 결과를 '교육과정 운영의 자료'로 활용하기보다는 '부모 면담 자료', '생활 기록부 작성의 자료'로 사용하고 있었다. 3.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에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반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단위 유치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계획서에서부터 연, 월, 주, 일별로 문서화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문서의 형태에 따라 편성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 계획서와 연간 교육 계획의 편성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주간 교육 계획의 편성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월간 교육 계획의 편성은 가장 낮았으며, 일일 교육 계획이 편성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설문 조사결과보다도 약간 더 많이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계획서의 작성에서 편성 체제와 방식, 연령 표기, 주제를 표기하는 명칭 등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지침과 양식이 많이 반영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단위 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서에 제시된 목표들에서도 설문 조사 결과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나서 사회생활 영역의 목표가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었다. 그러나 5개 생활영역의 목표를 모두 언급하는 유치원은 적었다. 셋째, 실제로 단위 유치원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방향인 생활주제 중심으로 연간 교육 주제를 편성·운영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생활주제 외의 다른 주제 편성도 많이 나타났다. 대부분 연령별로 주제 편성을 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주제를 적용하는 정도가 다른 경우도 있었다. 넷째, 생활주제 '교통기관'을 대상으로 단위 유치원에서의 하위 주제와 개념의 편성·운영을 분석한 결과, 단위 유치원에서는 주간 교육 계획의 양식 내에서 하위 '주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않으며,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하위 주제들 중에서 일부를 선택적으로 다루는 경향이었다. 또 많이 다루는 개념은 특정한 하위 주제에 속하는 개념들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자유선택 활동과 대·소집단의 활동은 대체로 교육부에서 제시한 활동을 포함하여 편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소집단 활동은 활동에 따라 편성되지 않거나 자주 편성되지 않는 활동이 많았다. 자유선택 활동에서는 목공놀이, 물·모래 놀이, 실외놀이, 음률영역의 순으로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 실제 운영에서도 실외 자유선택 활동은 아주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실내, 실외활동의 균형성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조형 활동은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방향과는 달리 별도의 집단 활동으로 편성·운영하는 유치원이 많았다. 또한 대·소집단의 활동의 편성·운영에서는 활동 유형별로 4주간 한 번도 편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일과 계획을 하는 이야기 나누기, 음악 활동 중에서 악기 및 소리 탐색과 음악감상, 동극 등은 편성되지 않은 유치원이 많았다. 가장 자주 편성·운영된 대·소집단 활동은 이야기 나누기(개념 및 주제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와 토론) 활동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동화, 새 노래, 동시의 순이었다. 단위 유치원에서 편성·운영되는 교육 활동에는 교육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 유형이 아닌 다른 명칭의 활동들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편성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은 대개 별도의 특별활동 교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담임 교사가 진행하는 경우도, 상품화된 특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학습지를 운영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각 유치원에서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에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지침에서 의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충실히 나타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how much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as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foundation of the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 2. How much is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reflected in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3. How much is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reflected in the realities of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 - based curriculum ? Questionnaires from 359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cross the nation and 44 documents of kindergarten curricular were collected. The data of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with the method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ocuments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were assessed by the content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asis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 First,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was consisted of mainly 'educational goals and principles', 'annual plans for special events', 'curriculum contents' . Second,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was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ctivity Guidebook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children's interest and needs,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community conditions, teacher's need and available resources were considered in turns. Third, 'Activity Guidebooks' were used in the decision of annual theme plans, the theme-related curriculum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it was used little in the kindergarten special events. Fourth, participants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differred from the position of staff, the part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he director, the vice-director, the senior teacher of private kindergarten had more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and in the public, the teachers had more. The director took a part in the decision of educational goal and principles, days of teaching, annual events, and main plans of a year. The vice-director and the senior teacher, in the almost part but daily teaching plan, and the teacher, in weekly and daily teaching pla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2. The reflection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First,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much included the goals and directions of educatio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particularly the goal of 'habituation of daily living rules,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fostering abilities to live with others harmoniously' in the 'social living' area among the five curriculum areas. Second, the themes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were consisted of those selected by kindergarten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ogether. Mainly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educational value, young child's interest and need and young children's potent experience in the actual life were considered. Third,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urriculum contents, there was the reflecting on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ir interest and needs, young children's potent experience in the actual life, the integral organization of 5 curriculum areas. The contents of 5 curriculum area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large part, particularly the content of 'habituation of daily living rules'. Fourth,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mostly followed. But 'providing outdoor interest areas' and 'offering parental education' were not abided. The plans of curriculum mostly implemented. If not, due to making impracticable annual plans, unpredictable happenings in monthly and weekly plans, and children's interest and needs, weather conditions,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eaching in daily plans. Many kindergarten-based curricular were planned in written documents and kept. But monthly and daily plans were not. Fifth, many kindergartens evaluated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valuation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management of annual events', 'annual and daily plans', and 'parental education'. The most of kindergarten evaluated children but using the results,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not appropriately considered. 3. The reflection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 - based curriculum : First, the most kindergartens made written documents including report on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nual, monthly, weekly, and daily plans. But in the forms of plan, the names and balances of activities,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not fully considered. Second,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were seem to be like the result of questionnaire: the goals of curriculum area of social living were mentioned most frequently. But little kindergartens were mentioned all of the goals of 5 curriculum areas. Third, kindergartens actually organized annual plan using the themes in direction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y applied other themes by children's ages. Besides the themes suggested in 'Activities Guidebooks', some kindergartens also used their own themes. Fourth, not all the sub-themes of certain theme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And some of concepts of the themes are also partially included in the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ifth, indoor free play and almost all the forms of group activities suggested in the 'Activities Guidebooks' were included in plans. But there was no balancing between activities: outdoor play, daily plan of groups, listening to sound and music, thematic play were wanted. In the most kindergarten, special activities, not encourage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designed and managed by special teacher, with certain profit-making educational programs or worksheets. So it was difficult that daily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um actually responses to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