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현진-
dc.creator강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04-
dc.description.abstract다원화된 정보화 사회에서의 영어교육의 목표는 실제적이고 다양한 영어권 문화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의사 소통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은 과제 혹은 활동 중심의 수업 운영으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강조하며, 수준별 교수-학습을 지향하여 개별 학습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영어 교수-학습 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실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유의미하고 실제적인 영어 및 영어권 문화 교수·학습을 실행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현 상황에서는 웹기반 기술이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및 특정 학습 목표에 적절하게 통합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개별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영어 교수-학습 모델로서 학생들의 개별 학습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웹기반 영어 수업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영어과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내용과 조화를 이루면서 특정 학습 목표에 맞게 활용 가능한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보조 도구로서 바람직한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인 'e-영어교실'을 개발하여 제시하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를 시범 활용해 본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영어 학습을 실시한 실험 집단의 경우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이렇게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인 'e-영어교실'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e-영어교실'은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및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 학습에 관한 태도를 향상시켜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태도 중 학습동기, 흥미, 자신감, 학습태도를 포함하는 동기 측면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의 효과가 컸다. 셋째, 'e-영어교실' 사이트를 활용한 웹기반 영어 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은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e-영어교실'에 대한 영어 교사들의 평가 결과 'e-영어교실'은 내용 측면보다는 설계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웹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 및 교사 면담 결과 웹기반 영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체로 웹기반 영어 학습 실시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웹기반 영어 수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실제로 웹기반 영어 수업을 진행한 교사는 웹기반 영어 수업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교실 현장의 여건과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실제 웹기반 영어 수업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중학교 영어 학습 보조용 웹기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실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웹기반 영어 학습의 현장 적용이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영어과 교육과정 및 영어 교과서와 조화를 이루며 특정 학습 목표에 적절히 부합되어 우리 나라의 실제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 실제로 웹기반 영어 수업을 진행하는 현장 영어 교사의 태도와 수업 운영 방식 및 학습자 통제라는 현실적인 문제의 고려 역시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효과적인 웹기반 영어 학습을 위해서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교사는 학습의 조력자이자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영어 교과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포함하는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겸비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웹기반 환경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와 더불어 영어 수업에 컴퓨터 및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현장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철저한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According to the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in the Information Age, the purpose of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s to cultivate the cap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fluently. Moreover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various tasks and activities and contains the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features appropriate to individual learners' levels. These changes require new types of English teaching-learning models according to the learners' needs and proficiency levels. However, it has been rare to incorporate web-based instruction (WBI) to middle or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and the needs of English learning materials which agree with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English textbook are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which can improv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English textbook and can be utili zed to achiev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as a supplementary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in the classroom settings reflecting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and apply 'e-English class' to middle school classrooms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rst define the term WBI and examine its main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broad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rea, a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e-English class' was designed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did improve learners' performance in the school's own achievement tests.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did improve learners' existing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This indicates 'e-English class', th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learners'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especially in respect of motivation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interest, confidence and learning attitude. Third, in the survey for the evaluation of 'e-English class',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English learning using 'e-English class' was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WBI. In addition, English teachers evaluated that 'e-English class' should be improved and revised in regard to a design rather than contents. Fourth, most of the students in the post-experiment interview expressed their positive opinions on web-based English learning and wanted to continue using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such as 'e-English clas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WBI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English textbook are very important to implement th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in the classroom. Moreover, in order to operate web-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 more effectively, English teachers should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and a guide instead of a conventional information transmitter. They should also be familiar with computer and internet related skills in order to utilize web-based learning materials for teaching English in their curricula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English proficien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control and manage their class effectively. Furthermore,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ed on web-based learning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teachers need hands-on practice to familiarize them with WB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1. 웹기반 영어 교육의 개념 = 4 1) 영어 교수-학습에서 웹의 활용 가능성 = 4 2) 웹기반 영어 교육의 특징 = 5 3) 웹기반 영어 교육의 유형 = 8 2. 웹기반 영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 9 1) 웹기반 영어 교육의 적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10 2) 웹기반 영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13 3.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 = 17 1)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 = 18 2)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oery) = 19 3) 자기 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21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3 1. 연구 질문 = 23 2. 연구 대상 = 23 3. 영어과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 25 1) 웹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요구조사 및 분석 결과 = 25 (1) 웹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요구조사 대상 및 기간 = 25 (2) 웹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결과 = 26 2) 'e-영어교실'의 설계 방향 = 30 4. 연구 자료 개발 = 35 1) 'e-영어교실'의 설계 과정 = 35 2)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 제작 = 50 (1) 영어 학습 및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 = 50 (2) 웹기반 영어 학습에 프로그램에 관한 학생용 평가 설문지 = 52 3) 'e-영어교실'에 대한 교사용 웹사이트 평가지 제작 = 54 5. 연구 절차 = 55 6. 연구의 제한점 = 5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58 1. 웹기반 영어 수업 진행 및 관찰 결과 = 58 2. 웹기반 영어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61 3.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 조사 결과 분석 = 62 1) 영어 학습 및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 = 62 2) 웹기반 영어 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학생용 평가 설문지 = 69 4. 면담 결과 분석 = 72 1) 학습자 면담 결과 = 73 2) 교사 면담 결과 = 76 5. 'e-영어교실' 에 대한 교사들의 사이트 평가 분석 = 78 V. 결론 및 제언 = 81 참고문헌 = 86 부록 = 98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851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교 영어과 수업 보조용 웹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