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연선-
dc.creator박연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5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면무용인 처용무를 중심으로 처용가면이 지닌 역할과 기능 그리고 그 상징성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현재 처용설화와 처용무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행해져왔는데 반해, 처용가면에 관해서는 윤곽만 잡혀있을 뿐 이를 주제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면이라는 조형물이 처용무에 어떠한 영향을 주면서 어떠한 기능적 역할을 해 왔는지, 가면이 어떤 상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처용무의 주요 소품으로 등장하는 가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면의 기원을 통하여 가면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떤식으로 변화되어 왔는지 알아보고 가면의 유형을 통하여 가면의 종류와 그 사용 방법은 어떠했는지를 알고 이를 통해서 가면의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처용설화를 통해 기원되어진 처용무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 처용무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통해서 예술적 특성을 발견해 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본격적인 처용가면의 연구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처용가면의 구조와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조형적 요소를 면밀히 밝히고 있다. 다음으로 가면이 가진 특수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 처용가면의 상징성을 통해 처용무에서 처용가면이 지닌 역할과 신격의 가면을 이용해서 액신을 물리치는 벽사적인 면을 밝혀내려 하였다. 마지막으로 처용무에서 가면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요소들을 살펴본다. 처용무는 원시 주술적 벽사의식의 하나였던 처용굿에서 시작된 것으로 한국 무속문화의 하나인 굿과 연루되어 있다. 따라서 제의성이 짙은 처용무는 가면을 사용함으로서 신을 맞이하고 인간이 신격이 되며, 이로 인해 인간세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였다. 동시에 처용가면은 벽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자신들을 보호해 줄 신격인 존재를 위해 제의를 행하였고 가면을 사용하여 나약한 인간이 신격으로 환원되고 재앙이나 질병을 부르는 역신을 쫓아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였다. 이것은 일종의 구나의식으로서 벽사적인 기능을 담고 있으며 처용무의 가면을 통해서 그 역할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처용무가 조선시대 때 궁중나례를 통해 산대극과 함께 행하여지면서 그 목적과 의의 면에서 한국 전통 민속놀이인 탈춤과 일관된 점을 밝혀내고 동시에 탈춤 속에 내재 되어있는 민중 예술이 처용무의 미적인 면과 부합되어져, 처용무가 궁중에서 행해진 나례의식무의지만 그 뿌리는 소박한 민중의식에 있음을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처용설화에 의해 생성된 처용무는 당시의 혼란스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함과 동시에 가면의 기능을 한층 강화시켜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의적·벽사적·예술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처용가면이 현재 문헌자료에 의해서만 재현되어 있고 남아있는 실존가면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자료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처용가면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일반적으로 처용가면은 처용무의 연행 시, 하나의 소품으로 착용되어지는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처용가면의 상징의미에 대한 연구가 심도 깊게 다루어진다면 처용무에서의 처용가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며, 특히 처용설화를 중심으로 발달한 처용가면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은 역사적 흐름과 부합시켜 체계적으로 연구한다면 민속 탈춤에 끼친 영향력을 밝혀냄과 동시에 처용가면의 중요성이 한층 고조될 것이며, 후대 가면무용의 발전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function, ability and symbol of Cheoyong mask focusing on Cheoyongmu as one of the mask dance. Many scholars are studying about the tale of Cheoyong and Cheoyongmu. But the research of Cheoyong mask is very insufficient and there is only an obscure outline. So this is for examining closely about following these; first, what kind of aspects did the mask affect Cheoyongmu and what kind of function has it been done? second, what kind of symbolic factor does it have? In the chapter 1 to 2, there is a research about the mask as the major stuff in Cheoyongmu. It is about where a mask come from throughout its origin and how it has changed. Also it is about its type and method of use throughout a style of mask. And from this, it tells the mask's function and ability. In chapter 3, historic development process of Cheoyongmu shows the artistic characteristic after searching the origin of Cheoyongmu by its tale. In chapter 4, it is for the research of regular Cheoyong mask. Formative factor is clarified clearly by construction and process of Cheoyong mask. Next, two things are shown. The one is the role of Cheoyong mask in the Cheoyongmu by symbol of Cheoyong mask as same as particularity of mask. Another is the side of devil -dismission which beats off devil using the divinity-mask. Finally, it tells functional factors of the mask in the Cheoyongmu. Cheoyongmu began from the Cheoyong-exorcism as one of the beginning incantational ceremony and it is related to the exorcism which is one of the incantational activity. Therefore, Cheoyongmu, which is characterized with the religious service, welcomed a God and human being becomes deification by using the mask. According to this, it prayed for peace and prosperity of the human world. At the same time, Cheoyong mask functioned the side of devil-dismission. Human being acted religious service for divinity existence who might protect them. By using the mask, they believed that weak human being change to divinity and prayed peace and prosperity driving devil away. This is kind of Guna-ceremony. This functions the side of devil -dismission and is observed to the mask of Cheoyongmu in detail. Indeed, it shows some similarities with the mask dance in the definition and purpose aspects when Cheoyongmu practiced with San-De drama from the festival of the royal palace in the chosun dynasty. At once, public arts among the mask dance gathered with aesthetical side of Cheoyongmu. And the root of Cheoyongmu is based on the naive people ceremony even though it is ceremony dance of the festival in the palace. In conclusion, Cheoyongmu is from Cheoyong tale. It reflected confused historic situation and reinforced the function of mask. Even though Cheoyong mask has religious service, devil- dismission and artistic aspect at the same time, real Cheoyong mask is not enough and it is only revived by documents. But in my opinion, a lot of research has to be continued in spite of shortage of data. In general, Cheoyong mask is only known as one of the performing stuff. But if there is a hard studying about symbolic meaning of Cheoyong mask, the importance of Cheoyong mask in the Cheoyongmu could be embossed more and more. Especially, if an inner meaning and factors of Cheoyong mask gather with historic stream, it could clarify what kind of affection does it cause to the mask dance. And also the importance of Cheoyong mask will reach the climax more closely. I expect that it will play a big role in the development of mask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7 A. 가면의 기원 및 정의 = 7 B. 가면의 유형 = 8 C. 한국 가면무용의 특성 및 변천과정 = 16 III. 처용무의 유래 및 특성 = 25 A. 처용무의 유래 = 25 B. 처용무의 특성 = 29 1. 형식적 특성 및 내용분석 = 29 가. 처용굿 = 29 나. 오방처용무 = 31 다. 학연화대처용무합설 = 32 2. 예술적 특성 = 33 IV 처용가면의 역할 및 내적 요소 = 39 A. 처용가면의 구조 및 조형적 요소 = 39 1. 처용가면의 구조 = 39 2. 처용가면의 조형적 요소 = 42 가. 소재 = 42 나. 색상 = 43 다. 형태 = 44 B. 처용가면이 지닌 상징적 요소 = 47 C. 처용무에 내재된 가면의 기능적 요소 = 49 1. 제의적 기능 = 49 2. 벽사적 기능 = 56 가. 나례의식에서의 벽사기능 = 59 나. 가면극에서의 벽사기능 = 60 다. 처용무에서의 벽사기능 = 62 3. 예능적 기능 = 69 V. 결론 = 77 참고문헌 = 81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927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처용무에 나타난 가면의 역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