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병권-
dc.contributor.author박성은-
dc.creator박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7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714-
dc.description.abstractWhen the dictionary is looked up to find the meaning for the concept of ‘positive concept’, it is explained as the ‘concept that manifests the existence of any property in a positive manner.’ Here, it is not meaningful that what is positive is recognized as such, but that this definition manifests active attitude such knowledge, happiness and kindness. To me, what is positive helps me to conjure up the cheerful, joyful and happy images. These images are the enjoyable and happy memories, emotions and images themselves that emerge when I reminisce the past unconsciously. At this time, I get to experience the positive feeling that I had felt in the past from enjoyable and happy experience once again. To the author, memory pertains to the contents of experiences, an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memory presents the motivation for a work by materializing the latent memory of the inner side. Through memory, artistic depiction is leveraged to deliver the message that latent re-configuration of the ego too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the diversity when it comes to the memory, cognition and experience o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mong the memories, positive memories can be expressed with vocabularies such as joyful, cheerful and happy in general. Joyful and cheerful emotion and experience assume positive tendency, and they are sufficient to bring out the images of positive memories. To conduct research on the image of positive memory which is my research topic, positive memory that is included in the memory is defin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in detail by leveraging the researches and analyses pertaining to the memory. Moreover, to objectify the expression of the image on the positive memory, adjectives that describe emotion were used as the basis to classify the forms and colors of the positive memorie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echniques along with the vocabularies that depict positive emotion in order to generalize them.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that is re-created and re-configured were leveraged to experiment the effect when it comes to the background when the images of positive memories are re-configured and the effect when it comes to expression in order to apply to one’s speech to produce maximum effect. As for the method used, research on the illustr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images of enjoyable, refreshing and positive memories studied before, and these were defined anew as Positive Illustration. The cases of the works that manifested the contemporary artists and the works that appeared in the artistic trend that show cased the images of positive memories using positive expression method were collected centered on the defined Positive Illustration in order to examine and to clas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s’ form and expression in greater depth. The above mentioned theories were leveraged to share the works and to disclose the motivation behind the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method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frame, form, color and decorative method were explained along with the production method applied to my work when it comes to the positive expression method. Thanks to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the positive memories and the emotions that are found in my memory were transformed into the joyful and fun form that I experienced back them, which in turn enabled me to manifest the emotion and the feeling that I expressed back then on the screen. The researcher leveraged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to wish for the sustainment of the joyful and positive feeling and memory, not only in the past, but in the present and future by leveraging my work.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consensus on the positive memories was built with the viewers. In addition, by developing work out of these positive memories,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world of expression when it comes to work while attaining the goal of delivering the contents of the images of positive memories through visual expression, and delivering emotion while becoming interested in the creation of new form and the re-configuration of the memories through this. ;'긍정적 개념'을 사전에서 살펴보면 '어떤 성질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표기되어있다. 여기서 긍정적이라는 것은 그렇다고 인정하는 의미도 있지만 지식, 행복, 친절과 같은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인에게 있어 긍정적이라는 것은 밝고 유쾌하며 행복한 이미지들을 떠올리게 한다. 이 이미지들은 무의식중에 과거를 회상하면서 즐겁고 행복했던 기억들이나 그러한 감정, 이미지를 떠올리는데 이 때, 과거의 즐겁고 행복했던 경험에서 느꼈던 긍정적 감정을 다시 새롭게 체험하게 된다. 작가에게 있어 기억이란 경험의 내용이며, 내면의 잠재된 기억을 형상화함으로써 작품의 동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기억을 통한 자아의 잠재적 재구성도 기억, 지각 및 경험 혹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다양성이 공존할 것이라는 점에서 예술적인 묘사를 통해 전달된다. 기억 중 에서도 긍정적인 기억은 일반적으로 유쾌한, 즐거운, 행복한 이란 어휘로 표현 될 수 있다. 즐겁고 유쾌한 감정과 경험은 긍정적 성향을 띠고 있고 긍정적인 기억이미지를 불러일으키는 데에 충분하다. 이러한 본인의 연구 주제인 긍정적 기억이미지를 연구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기억을 연구한 자료와 분석을 통해 기억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여 기억에 포함되는 긍정적 기억을 정의한다. 그리고 긍정적 기억이미지의 표현을 객관화 하기위해 형용사 감성어휘를 기초로 긍정적 기억의 형태와 색채, 표현기법 특징들을 긍정적 감성어휘에 맞추어 분류해보고 이를 일반화 하고자 한다. 또한 재창조, 재구성 되어지는 기억의 특성을 이용해 긍정적 기억이미지가 재구성 될 때의 배경과 표현에서의 효과를 실험하여 본인의 화법에서 적용시켜 최대한의 효과를 기대해보고자 하였다. 방법적 연구에서는 앞서 연구한 즐겁고 유쾌하며 긍정적인 기억이미지를 토대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연구를 하였고 이것을 포지티브 일러스트레이션(Positive Ilustration)이라고 새롭게 정의하였다. 정의 내린 포지티브 일러스트레이션(Positive IIlustration)을 중심으로 긍정적 기억이미지를 긍정적 표현방식으로 나타낸 현대작가와 미술사조에 나타난 작품사례를 수집하여 작품의 형식과 표현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 분류하였다. 위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작품전개 및 제작의도를 밝히고 구도, 형태, 색, 장식적인 기법 등의 조형요소를 통한 표현 방식과 앞서 연구한 긍정적인 표현 기법을 본인의 작품제작 과정과 함께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본인의 기억에서의 긍정적 기억과 감정은 그 때의 재밌고 유쾌한 형태로 변형되어 화면에서 그 때의 감정과 기분을 나타내줄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본인의 작품을 통해 즐겁고 행복한 긍정적 감정과 기억이 과거 뿐 아니라 현재, 미래에까지 지속되기를 바라고 동시에 감상자와 긍정적 기억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 기억을 작품화함으로써, 시각표현을 통해 긍정적 기억이미지의 내용, 감성전달이라는 목적과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창조와 이를 통한 기억의 재구성이라는 흥미를 느끼며 작품의 표현세계를 확대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이론적 배경 4 A.긍정적 기억이미지와 재구성 4 1.긍정적 기억이미지 4 2.기억이미지의 재구성 8 B.긍정적 기억이미지의 표현 10 1.긍정적 감성어휘 11 2.긍정적 색채 14 3.감각적 형태 18 4.유동적 구도 19 5.장식적 기법 24 Ⅲ.방법적 연구 26 A.포지티브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26 B.포지티브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사례 29 Ⅳ.작품제작 및 분석 44 A.작품 제작 의도 44 B.작품 제작전개 및 과정 46 C.작품 분석 51 Ⅴ.결론 65 참고문헌 67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966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긍정적 기억을 재구성한 포지티브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행의 기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ositive Illustration Expression that Re-configured Positive Memory-
dc.creator.othernamePark, Sung Eun-
dc.format.pagei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