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명주, 모시, 춘포의 제직 재현 연구

Title
명주, 모시, 춘포의 제직 재현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 Making of Traditional Silk, Ramie; Blend Fabric
Authors
김보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명주(明紬), 모시(毛施), 춘포(春布)의 작업공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의 전통에 충실하여 작업하되 자연염색작업을 접목시켜 표현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직물은 인간생활의 필수요건 가운데 하나인 의생활의 바탕이 되는 근본이며 자연으로부터 섬유를 얻어 실을 제작하고 ‘직조’라는 행위를 고안해 낸 인류 보편의 지혜와 문화의 축적물이다. 우리나라 또한 유구한 역사에 걸맞게 복식문화를 꽃피워 왔으며 타문화권과의 교류를 통해 직물문화를 도입하고 발전시켰다. 근대 이후 옷감의 대량 생산, 전통 의(衣)생활의 변천 등의 요인으로 제직전통이 급속히 붕괴되어 현재에 이르러서는 겨우 명맥만이 유지되고 있는 형편이나 모시는 아직까지 가장 많은 수의 인원이 제직하고 있는 전통직물로 모시 특유의 성질을 익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직의 원리 또한 익힐 수 있는 직물이다. 다만 베틀이 개량화되었고 이에 따라 관련 도구와 공정도 변하였다. 조사를 통해 이러한 변화의 과정 속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해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명주는 무명과 더불어 기계화의 타격을 많이 받은 직물 가운데 하나이나 마을단위로 전통방식의 제직이 활발히 이루어져 직조의 핵심적 도구인 베틀의 원리와 작용을 익힐 수 있었다. 모시와 명주의 교직물인 춘포는 현재 실제 제직을 살피는 것이 불가능하나 원재료를 다루는 방식에서 모시와 명주와 연결되는 부분이 있고 제직의 원리는 동일하여 둘의 특성을 이해한다면 춘포의 제직공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새로운 직물로써의 춘포의 특징을 이해한다면 원형에 근접하는 연구를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실질적인 작업의 측면에서 모시, 명주, 춘포의 제직공정을 조사하였고 가능한 부분은 작업으로 시도해보았다. 교직물은 각기 다른 섬유가 결합하여 또 다른 직물이 탄생하는 것으로 섬유에 따라 다루는 방식을 적절히 조합하면서도 새로운 직물에 맞는 공정을 고안해낸 조화와 창조의 산물이다. 서로 다른 요소가 만나지만 각자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는 점이 현대에 전통을 접목시키는 과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전통제직의 공정은 본래 까다롭고 복잡하게 형성된 것이 아니라 세대와 경험을 통해 각 직물에 맞게 가장 알맞은 방식으로 정제된 것이라는 생각으로 현장의 작업을 조사, 연구하고 익혀 작업을 수행하였다. 춘포, 모시, 추포, 명주를 현지의 방식에 따라 제직하는 과정에 원사(原絲)를 자연염색하여 소재뿐 아니라 색으로써 사계절을 표현하였다. 또한, 직물의 끝과 시작을 잇는 과정을 통해 표현의 효과를 꾀하였을 뿐 아니라 다른 것을 잇는다는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오랫동안 행해져와 현재의 방식에 이른 명주, 모시, 춘포의 제직공정에 대한 글의 기록이자 현장에서 배우고 익힌 몸의 기록에 관한 것으로 전통제직에 대한 접근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o compare and analyze work processes of silk(Myungjoo), ramie(Mosi), spring cloth(Chunpo, woven with silk warp and ramie weft), and the other is to perform weaving faithful to the tradition of the field comparative analysis but adding artistic expressions as well. As one of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human life, fabric is the bedrock foundation of clothing, and accumulation of universal wisdom and culture in making threads and "weaving" fibers obtained from the nature. The Korean costume culture has been splendidly bloomed in rich history with textiles introduced and developed through cross-cultural exchanges. The traditional weaving culture has been rapidly collapsed since the modern age and now barely kept itself in existence. Even it is hard to keep traditional way of weaving in modern society, Mosi is remained as the mostly woven traditional textile in Korea, which enables people to learn the character of Mosi itself as well a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weaving or weaving itself. But the traditional loom has been replaced by the modified ones and other tools with related process has been changed along with it. It is noticed by the study of ramie weaving that with the change of the tools, weavers tried to search the more efficient ways than before. Silk(Myungjoo) as well as cotton is one of the most threatened by the mass production of textiles by the factory. But Korea still has the tradition of silk weaving with traditional loom in a small village called Doosan, which enables people to learn the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loom the process. Chunpo is the blend fabric of silk and ramie, it is impossible to research the actual process of making this textile now in Korea. But as it is the union of silk and ramie, by understanding throughly Myungjoo and Mosi,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unpo textile weaving if the unique character of Chunpo as newly created textile is understood, by approaching and studying each textile it would make it more possible to approach the real and actual process of Chunpo weaving. From the practical weaving and making point of view, the reserch has been taken about the Myungjoo, Mosi and Chunpo. Blend fabric is a unique product from harmonizing different types of fibers through invented processes suitable for each mixture. In combining different elements, applying new ways for harmony while preserv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has great implications to connecting traditions and contemporary ways together. I think the traditional weaving process is not just established in complicated ways, but rather refined in the most appropriated ways based on experiences over generations. So, works of this study were carried out after surveying, researching and mastering about the filed works. In my works, I expressed the four seasons in authentic seasonal fabrics that are Chunpo, Mosi, Chupo and Myungjoo dyed in seasonal colors with natural dyes. For visual effects, I included knotted spots by connecting woven pieces strand by strand, which lead me to contemplate meanings of connecting things together. This study is a written record on the traditional weaving processes of Myungjoo, Mosi, Chunpo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t the same time, a body record mastered through hands-on experiences in the field. The study would hopefully give a practical access to the traditional wea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