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미선-
dc.creator윤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98-
dc.description.abstractSpeech and language of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 are impaired owing to long period of auditory deprivation. Their speech are characterized by low speech intelligibility, inappropriate articulation, and deviated voice quality. Parent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expect them to achieve better verbal communication skill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The appropriat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require not only speech perception ability but also speech production skills. Previous literatures have suggested several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peech production skill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age of implantation, residual hearing level before implantation, language ability before implantation, duration after implantation, children's chronological age, and educational setting etc.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assess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ation on the overall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n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 (2) to investigat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post implant speech production ability, and (3) to analyze the pot-implant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of speech. For these purposes, forty children aged from 5 to 12 years old participated as subjects. All subjects were using Nucleus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 device. The sentence test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o measu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ice quality and the word test to assess the correct percentage of 15 Korean vowels and 19 Korean consonants articulation. The data concerning implant surgery and pre-implantation stage of all subjects were obtained from the record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1. Covariance 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of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mplantation stage in the condition of excluding maturation effect. 2. The post implant speech produc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ree indices, which were speech intelligibility, correct percentage of vowels and consonants articulation, and voice quality. Th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index of speech production ability revealed that both the age of implantation and receptive verbal language level on pre implant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correct percentage of vowels and consonants articulation. The age of implant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 of voice quality. 3. The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of speech of all participants were similar to those of deaf children reported in the literatures. However, spee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were implanted earlier, were found different with children who were implanted later.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had strong correlation with the age of impla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s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could improve after cochlear implantation. Based on the regression study, we could predict the level of speech production ability of congenitally deafe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on the basis of age of implantation and the receptive verbal language level of pre implant stage. Finally, we might conclude that the spee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implantation.;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은 말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은 낮은 말명료도, 왜곡된 조음, 적절하지 못한 음성 등의 말 특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구어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와우이식은 이들 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 능력과 말산출 능력의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와우이식 후 아동들의 구어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와 말 특성을 살펴보고 와우이식 후의 말산출 능력을 예견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증하여, 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이 와우이식 후 보다 나은 구어의사소통 능력을 갖도록 하는 중재의 기초자료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와우이식 전과 후, 말을 사용하는 구어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본다. 둘째, 와우이식 후의 말산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말명료도, 조음정확도, 음성을 보았을 때, 이 세 가지 지표를 와우이식 시의 나이,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 와우이식 후 경과기간의 세 가지 변인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가를 검증한다. 셋째, 와우이식 후 아동의 말 특성을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와우이식을 받은 지 1년 이상이 경과한 현재 나이 5세에서 12세 사이의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말명료도검사, 조음검사, 및 음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들의 와우이식 전과 후의 구어의사소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 아동들이 와우이식 전에 갖고 있던 말을 이용한 구어의사소통의 수준은 주요의사소통 수단이 말이기는 하나 익숙한 사람과의 대화 시에도 말로만 의사소통을 하기가 어려운 정도였다. 그러나 와우이식 후에는 익숙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은 말로 이루어지고 익숙하지 않은 사람과의 의사소통 시에만 어려움이 있는 정도였고,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생활연령이 증가했기 때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말산출 능력의 첫 번째 지표인 말명료도의 경우,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이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말산출 능력의 두 번째 지표인 조음정확도도 동일한 두 가지 변인, 즉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이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말산출의 세 번째 지표인 음성은 와우이식 시의 나이만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와우이식 후 말 특성은 분절적인 면에서 모음정확도의 평균은 86.19 %, 자음정확도의 평균은 74.89 %이었으며, 모음 중에는 /아/ 모음, 자음 중에서는 어말 종성의 양순비음(/ㅁ/)을 가장 정확하게 발음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들이 가장 부정확하게 발음을 한 음소는 모음에서 /위/, 자음에서는 어두 초성의 치경마찰음(/ㅅ,ㅆ/)이었다. 초분절적인 면에서는 음성의 음도가 높고, 거친소리, 바람새는 소리, 쥐어짜는 소리와 같은 후두와 관련된 음성 질의 이상과, 과대비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보청기를 사용하는 심도청각장애 아동이 보이는 일반적인 말 특성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유사한 양상이었다. 이렇게 유사한 결과가 나온 가장 큰 이유는 본 연구대상 아동이 와우이식을 받은 나이의 평균이 6세 이상으로 말산출에 필요한 운동신경적인 성숙이 이미 이루어진 나이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와우이식은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말을 이용한 구어의사소통 능력 발전에 유의한 도움을 줄 수 있고,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언어능력으로 와우이식 후의 말명료도와 조음능력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음성의 질은 와우이식 시의 나이로 예측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정한 나이가 지난 후 와우이식을 받았을 때는 청각적피드백이 부족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청각장애 아동의 말 특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이 와우이식 후 정확한 발음과 의사전달 능력 뿐 아니라, 적절한 음도와 과대비성이 없는 자연스러운 음성을 갖기를 기대한다면 와우이식 시의 나이가 필수적인 요인임을 의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청각장애 아동의 말산출 능력의 평가방법과 말산출 특성 = 5 B. 청각장애 아동의 말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2 C. 와우이식 아동의 말산출 특성 = 16 D. 와우이식 아동의 말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1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절차 = 28 C. 측정도구 = 29 D. 연구가설 및 자료분석방법 = 37 Ⅳ. 연구결과 = 39 A.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와우이식 전과 후의 구어의사소통능력의 비교 = 39 B. 선천성 심도청각장애아동의 와우이식 후 말산출 능력 예측 변인 = 41 C.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와우이식 후 말산출 특성 = 55 Ⅴ. 결론 및 제언 = 67 A. 결론 및 논의 = 67 B. 연구의 제한점 = 74 C. 제언 = 76 참고문헌 = 77 부록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1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와우이식 후 말산출 능력의 예측변인 및 말산출 특성-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