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9 Download: 0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성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resilience) 모델을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burn-out)에 적용하여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과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력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상담자가 경험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상담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보다 보호요소인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클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상담기관에서 전담 혹은 시간제로 상담을 하고 있는 115명의 상담자들이었고, 측정도구로는 심리적 소진에 관한 질문지(Maslach & Jackson, 1981)와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에 관한 질문지(Jayaratne & Chess, 1981), 사회적 지지에 관한 질문지(Caplan, Cobb, French, Harrison & Pinneau, 1980)를 사용하였다. 연구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사용되었다. 연구분석 결과, 첫째, 상담자가 경험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 중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대해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도전으로 나타나 상담자의 자율성을 떨어뜨리는 직무환경일수록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정도는 높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부정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의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중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은 동료의 지지와 가족의 지지라고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고, 상담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과 가설 2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상담자가 경험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가설 3에서 기대한 바와 반대로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사회적 지지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이 심리적 소진을 유발시키는데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서 직무환경의 부정적 영향력을 감소시킬 만큼 보호요소의 영향력을 충분히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들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을 완화시키고, 심리적 소진에 대해서 다양하고 강력한 대처방안 등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level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Korea.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5 counselors working either in community or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The level of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rslach & Jackson, 1986). It measured three aspects of burnout syndrome: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Occupational stress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yaratne and Jackson (1981). It is composed of four subscales: lack of challenge,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colleagues, and family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aplan, Cobb, French, Harrison & Pinneau (1980). The level of burnout was predicted throug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hypotheses are the following: 1. Occupational stress that counselors experience will influence the increase of counselors burnout level. 2.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unselors will influence the decrease of counselors burnout level. 3. Perceived social support will relatively have greater influence than occupational stress on counselors burnout. The study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found that occupational stress experienced by counselors influenced the increase of their burnout level. Second, in spite of negativ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affected the decrease of burnout level. Third, contrary to expectations in hypothesis 3, the result of comparison on relative influence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mplied that occupational stress relatively had greater influence than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ounselors burno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ccupational stress has greater influence than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ounselors burnout although perceived social support affected the decrease of burnout level.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ounselors burnout is not great enough to decrease the negativ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minimize burnout, we need to make efforts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find out various and strong coping strategies with burn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