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은희-
dc.creator송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6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에 관한 연구로써 첫째, 정상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간의 감각처리과정에서 청각, 시각, 활동수준, 미각/후각, 자세, 움직임, 촉각, 그리고 감정/ 사회성의 각 영역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차이가 있는 영역에서 정상아동과 장애아동들은 연령에 따른 변화를 보이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상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을 각각 유아기와 학령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Freeman, 1981)에서 진단그룹에 대한 증상의 심각성이나 IQ는 감각처리과정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통제하지 않았다. 자폐와 정신지체 진단은 DSM-IV와 ICD-10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전문가들의 진단을 따랐다. 감각처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Dunn(1994)의 Sensory Profile을 사용하여 부모 혹은 양육자에게 반응을 표기하도록 하였다. 125문항에 대한 각각의 반응을 좀더 의미있는 영역들로 묶고, 문항수를 줄이기 위해 부모들의 반응을 기초로 척도에 대한 정련작업을 실시한 후 36개의 변인으로 분류하였다. 얻어진 변인에 따른 진단그룹별 차이와 차이를 보이는 변인에서의 연령에 따른 감각처리과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145명의 유아기와 학령기의 정상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 아동에 대한 부모용 체크리스트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아동과 자폐아동의 감각통합 기능수준은 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차이를 보인 영역은 8개의 영역 중 움직임과 자세영역을 제외한 6개의 영역 즉, 청각, 시각, 미각/후각, 활동수준, 촉각, 감정/사회성의 영역이었다. 2.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 기능수준은 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차이를 보인 영역은 8개의 영역 중 시각, 활동수준, 미각/후각, 자세, 촉각, 감정/사회성의 6개 영역이었다. 3. 자폐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 기능수준은 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차이를 보인 영역은 8개의 영역 중 시각, 감정/사회성의 2개 영역이었다. 시각적 어려움과 주변환경에 대한 시각적 과민반응은 자폐아동보다 정신지체아동에게 더 빈번하게 나타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어려움은 자폐아동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4. 정상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의 감각통합기능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연령에 따른 변화가 있었다. 정상아동과 달리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이 감각통합 기능수준에서 영역별로 차이를 보인 20개의 변인들 중 소리자극에 대한 이상반응, 후각적 왜곡반응, 특정촉각에 대한 회피/거부반응, 두려움에 대한 인식, 정서의 과잉표현의 5개 변인에서 연령에 따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감각통합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갖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감각관련행동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갖는 감각과정이 어떠한 것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감각통합 기능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장애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활용을 위해 유용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each category such as auditory, vision, activity level, taste/smell, body position, movement, touch, and emotion/socialization in sensory processing among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utistic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 additional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s interaction effect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between the diagnostic groups and their age. To examine the sensory processing, parents were asked to report the responses to sensory stimuli of their children using Dunn's Sensory Profile(1994). 145 subjects in total completed the Sensory Profile for the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tic children. The two categories which did not show the difference were movement and body position.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categories which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vision, activity level, taste/smell, body position, touch and emotion/socializ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i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ategories of vision and emotion/socialization. Mentally retarded children displayed more visual difficulties and hyper-responses to the circumstances than autistic children did whereas autistic children showed more difficulties in social interaction than mentally retarded children. 4.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diagnostic groups and their age in the categories wh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20 variances which showed the difference in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5 variances such as abnormal response to the sound, distorted response to the smell, aversion/refusal to a certain touch, perception of the fear, and excessive emotional expression turned out to be relevant to the age.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that autistic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experience. The result can help to verify the sensory-related behaviors and assist in planning and develop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감각통합 = 3 1. 감각통합의 개념 = 3 2. 감각통합의 과정 = 3 3. 감각통합 기능의 발달 = 4 4. 감각통합의 기능장애 = 10 B. 자폐아동의 감각운동통합 장애 = 11 1. 감각정보의 등록 = 11 2. 감각투입의 조절 = 12 3. 감각통합 = 13 C. 정신지체아동의 감각운동통합 장애 = 14 D. 감각통합기능의 평가 = 15 III. 연구 방법 = 18 A. 연구 대상 = 18 B. 측정 도구 = 19 C. 연구 절차 = 20 D. 자료 분석 = 20 IV. 연구 결과 = 22 A. 검사도구의 신뢰도 = 22 B. 감각통합 과정의 분류 = 23 1. 영역별 하위변인 = 23 C. 영역별 집단간 차이와 집단과 연령의 상호작용 = 33 1. 청각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33 1. 청각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33 2. 시각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36 3. 활동수준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38 4. 미각/후각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39 5. 자세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42 6. 움직임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44 7. 촉각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46 8. 감정/사회성영역에서의 차이검증 = 49 V. 논의 = 55 참고문헌 = 63 부록 = 70 영문초록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60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감각 통합 기능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